제목 문학은 아름다운 사회를 만드는 백신이다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7.22 23:31

                                                    문학은 아름다운 사회를 만드는 백신이다

문학 작품은 살아있는 생명체처럼 끊임없이 움직이고 변화하며 발전한다. 이 작품을 영속(永續)으로 살아 움직이게 하려면 무엇보다 독자(대중)의 사랑을 받아야 한다. 문학 작품이 문인의 손에서 떠나면 그 순간부터 독자가 그 주인이 된다.

인문학이 홀대받고 문학을 비롯한 예술의 가치를 소중하게 여기지 않는 현상이 우리 사회에 만연된 게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지나친 비유지만, 만약 가족 중에 ‘식사’를 하지 않는 사람이 있다고 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 그냥 보고만 있을 수 없다. 식사가 우리의 신체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수단이라면, 문학 작품은 우리의 삶을 향기롭고 웅숭깊게 해준다. 식사를 하지 않으면 삶을 영위할 수 없듯 문학 작품을 읽지 않으면 개인의 삶도, 우리 사회도 사막처럼 삭막해진다.

21세기 한국 문학은 새로운 발전 동력을 모색해야 한다. 그 첫 번째 실천 덕목은 독자를 문학에 초대하는 일이다. 이제 문학은 책 밖으로 나와 독자 속으로 들어가 함께 즐기는 문화로 바뀌어야 한다. 문학을 문인의 전유물로 여기며 독자가 찾아와 주길 기다리는 게 아니라, 문학 작품의 주인이 독자라는 의식 변화가 있어야 한다. 문학 작품은 ‘지식’으로 쌓아 놓는 게 아니라 예술 미학으로 환치해 생활 속 ‘행동’으로 옮아가야 한다. 노벨 문학상 같은 영광과 권위가 창작 목표가 아니라, 문인은 국민 모두 문학을 생활 속에서 향수(享受)하도록 훌륭한 작품을 집필해 독자에게 전하는 일을 우선 덕목으로 삼아야 한다. 이것이 동력이 되면 한국 문학은 저절로 세계 속에 크게 자리매김할 것이며 노벨상 수상자도 나올 것이다. 내적 성장 없이 외부에서 영광을 기대하는 건 모순이다.

한국문인협회는 회원들의 창작 활동을 위해 발행하는 『월간문학』과 계간 『한국문학인』을 웹진으로 병행 발행하기 위한 작업을 거의 마무리했다. 새로 가동하는 웹진은 1만6000여 회원뿐만 아니라 일반인(독자)이 함께 참여해 문학을 향수할 수 있도록 ‘광장’을 마련했다. 유료 독자 외에도 일반인이 무시로 드나들며 문인들과 함께 어울려 문학을 생활 속으로 가져갈 수 있는 장치다.

이와 더불어 ‘한국문협방송’ 시스템도 구축했다. 이를 통해 국내외 200여 개의 협회 지회·지부 활동에만 머물지 않고 방송 네트워크를 활용해 전국으로 ‘문학 권역’을 확대할 것이다. 이는 전국 방방곡곡에서 창작 활동을 하는 문인들의 작품과 활동 모습을 전 국민이 공유하도록 하는 일이기도 하다. 이를 통해 문학 작품이 사람을 향기롭게 하고, 우리 사회를 밝고 아름답게 바꾸는 백신 역할을 하게 되길 기대한다.

                                                                      <참고문헌>

  1. 김호은, "문학은 아름다운 사회를 만드는 백신이다", 중앙일보, 2024.7.22일자. B4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10/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02861 2018.04.12
2245 충남 예산군 대술면에 위치한 한국토종씨앗박물관 이야기 사진 신상구 419 2024.07.30
2244 공화정 지키려 카이사르 암살, 결과는 제국의 탄생 사진 신상구 285 2024.07.28
2243 영화배우 유지태씨, 미국서 북한 인권 침해 실태 고발 사진 신상구 298 2024.07.28
2242 유럽 전도사 이원복 교수의 신유럽론 사진 신상구 300 2024.07.28
2241 지방대 신화 박근희 부회장의 성공 키워드 사진 신상구 626 2024.07.28
2240 유엔군 참전의 날을 경축하며 신상구 385 2024.07.28
2239 김호연재, 겉도는 남편에 치솟는 비통함, 240수 시로 달래 사진 신상구 316 2024.07.27
2238 임시정부 주석 네 차례 지내, 정치 반대파에게도 존경 받아 신상구 529 2024.07.26
2237 세종특별자치시, 대한민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선정 신상구 429 2024.07.25
2236 ‘독립문’ 글자 누가 썼을까 사진 신상구 574 2024.07.24
2235 대전시, 우수건축문화유산 308건, 동구·중구서 가장 많아 사진 신상구 330 2024.07.24
2234 귀여움을 이용해라, 우리 증산도의 귀여운 캐릭터를 만들어야 합니다. 안창현 464 2024.07.24
2233 명필로 이름날렸던 독립운동가 김가진 선생 서예전 23일 오전 서울 사진 신상구 311 2024.07.24
2232 '아침이슬'처럼 떠나 별이 된 김민기 사진 신상구 411 2024.07.24
2231 문명사적 변혁과 대혼란 사진 신상구 401 2024.07.23
2230 고통받은 프리다 칼로, 삶 예찬하는 수박 그림 남겨 신상구 425 2024.07.23
2229 한국화 대가 청전 이상범 사진 신상구 487 2024.07.22
>> 문학은 아름다운 사회를 만드는 백신이다 신상구 426 2024.07.22
2227 학전 이끈 '아침이슬' 김민기 별세 소식 사진 신상구 376 2024.07.22
2226 한국 독립운동사 연구의 큰 별, 박걸순 박사 타계를 애도하며 사진 신상구 343 2024.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