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대전 골령골 집단학살 백서 발간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3.03.08 03:02

                                       대전 골령골 집단학살 백서 발간

                                              '대전 골령골 73년간의 진실, 골령골'

대전 골령골 집단학살 진실규명 여정 기록한 책 출간
         대전 골령골 집단학살 진실규명 여정 기록한 책 출간


   한국전쟁 당시 대전시 동구 낭월동 골령골에서 자행된 민간인 집단학살에 대한 진실찾기 여정이 한 권의 책으로 정리됐다.

   대전산내사건희생자유족회는 최근 607쪽 분량의 '대전 골령골 73년간의 진실, 골령골'을 출간했다고 16일 밝혔다.

   책 제1장 '드러난 반쪽의 진실'에는 50년 동안 비밀문서로 분류돼 미국 국립문서보존소에 잠들어있던 밥 에드워드 중령의 골령골 학살사건 정보보고서와 애벗 소령이 촬영한 학살현장 사진, 앨런 위닝턴 기자의 골령골 사건 보도 원문, 한국 내 첫 보도(1992년 2월)와 뒤이은 후속보도(2000년 2월) 원문이 소개됐다. 

   제2장 '진실을 찾아서'(산내 골령골 발자취)에서는 골령골 민간인학살 진상규명 운동사와 연도별 주요 발자취를 조명했다.

   제3장에는 유해 발굴 현황 및 매장지와 대전산내골령골학살사건 가해자 체계도를 실었다.

   부록에는 현재까지 확인된 희생자 명단과 주요 판결문, 각종 관련 조사보고서 목록(8개), 골령골 관련 43개 작품(소설·시집·다큐멘터리·영상보도물·공연·전시·그림·노래 등), 진상규명 연대표를 수록했다.

2020년 발굴된 대전 골령골 민간인 학살 희생자 유해
                                                    2020년 발굴된 대전 골령골 민간인 학살 희생자 유해

[연합뉴스 자료사진]

  책을 엮은 발간위원회는 책머리에 '골령골에서 대규모 학살이 일어난 지 73년이 흘렀다'며 '이 중 55년은 정부에 의한 은폐와 왜곡의 시간이었고, 나머지는 사건의 진실을 밝히기 위한 치열한 싸움의 시간이었다'고 적었다.

  전미경 희생자유족회장은 발간사를 통해 '제게는 희생자와 모든 유가족이 진실규명서를 받는 일, 가해자들의 죄상이 널리 알려지는 일, 평화공원 건립 등 세 가지 소원이 있다'며 '유족회의 발걸음을 처음 기록한 이 책을 가신 임들의 영전에 바친다'고 덧붙였다.

   골령골에서는 한국전쟁 발발 초기인 1950년 6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대전교도소에 수감된 민간인들이 집단 학살된 뒤 암매장된 것으로 전해진다. 1천800명에서 많게는 7천여 명이 희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2007년부터 지금까지 희생자 유해 1천441구와 유품 4천587점이 발굴돼 세종시 추모의 집에 임시 안치돼 있다.

   유해와 유품은 전국 희생자 추모시설, 전시관, 숲 체험 공간, 기념탑 등을 갖춘 평화공원(진실과 화해의 숲)이 내년 골령골에 준공되면 이전해 안치될 예정이다.

                                                             <참고문헌>

    1. 정윤덕, "대전 골령골 집단학살 진실규명 여정 기록한 책 출간", 연합뉴스, 2023.2.16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10/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440 2018.04.12
2245 충남 예산군 대술면에 위치한 한국토종씨앗박물관 이야기 사진 신상구 527 2024.07.30
2244 공화정 지키려 카이사르 암살, 결과는 제국의 탄생 사진 신상구 389 2024.07.28
2243 영화배우 유지태씨, 미국서 북한 인권 침해 실태 고발 사진 신상구 402 2024.07.28
2242 유럽 전도사 이원복 교수의 신유럽론 사진 신상구 393 2024.07.28
2241 지방대 신화 박근희 부회장의 성공 키워드 사진 신상구 726 2024.07.28
2240 유엔군 참전의 날을 경축하며 신상구 503 2024.07.28
2239 김호연재, 겉도는 남편에 치솟는 비통함, 240수 시로 달래 사진 신상구 429 2024.07.27
2238 임시정부 주석 네 차례 지내, 정치 반대파에게도 존경 받아 신상구 633 2024.07.26
2237 세종특별자치시, 대한민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선정 신상구 559 2024.07.25
2236 ‘독립문’ 글자 누가 썼을까 사진 신상구 681 2024.07.24
2235 대전시, 우수건축문화유산 308건, 동구·중구서 가장 많아 사진 신상구 458 2024.07.24
2234 귀여움을 이용해라, 우리 증산도의 귀여운 캐릭터를 만들어야 합니다. 안창현 654 2024.07.24
2233 명필로 이름날렸던 독립운동가 김가진 선생 서예전 23일 오전 서울 사진 신상구 413 2024.07.24
2232 '아침이슬'처럼 떠나 별이 된 김민기 사진 신상구 507 2024.07.24
2231 문명사적 변혁과 대혼란 사진 신상구 513 2024.07.23
2230 고통받은 프리다 칼로, 삶 예찬하는 수박 그림 남겨 신상구 583 2024.07.23
2229 한국화 대가 청전 이상범 사진 신상구 676 2024.07.22
2228 문학은 아름다운 사회를 만드는 백신이다 신상구 549 2024.07.22
2227 학전 이끈 '아침이슬' 김민기 별세 소식 사진 신상구 476 2024.07.22
2226 한국 독립운동사 연구의 큰 별, 박걸순 박사 타계를 애도하며 사진 신상구 445 2024.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