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주역과 천부경의 대가 대산 김석진 선생 타계를 추모하며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3.02.19 03:33

                            주역과 천부경의 대가 대산 김석진 선생 타계를 추모하며

                                         야산 이달의 제자로 말년까지 왕성한 활동
                                        주역 관련 저서 10권 넘게 남겨...대중화 공헌


clip20230215183115

주역(周易)의 대중화를 이끈 대산(大山) 김석진 옹./연합


주역(周易)과 천부경의 대중화를 이끈 대산(大山) 김석진 선생이 15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5세.


  1928년 충남 논산에서 태어난 김 옹은 19세에 주역에 입문했으며 야산 이달(1889∼1958) 선생의 문하에서 13년 동안 유학의 삼경(역경·시경·서경)을 배웠다.


  이달 선생은 당대 주역의 대가이자 빼어난 유학자로 역사학자 이이화(1937∼2020)의 부친이기도 하다.


  김 선생은 스승이 작고한 후 독학으로 주역을 파고들었으며 50대인 1980년대부터 약 30년 동안 전국 각지를 돌며 주역을 가르쳤다. 생계를 꾸리기 위해 한때 한약방을 운영하면서도 주역 연구를 포기하지 않는 결과였다.


  그는 미수(米壽·88세) 기념집 발간을 계기로 2015년 기자들을 만났을 때는 "주역은 세상이 변하는 것, 즉 이치를 알고 점을 쳐서 미래를 알려주는 것"이라며 "미래에 슬기롭게 대처해 나갈 수 있는 이치를 설명해준다는 점에서 일반인들도 주역을 배울 필요가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별세 소식을 알린 이찬구 한국홍역학회장은 "대산 선생의 제자로 공부한 이들이 약 1만 명, 1년 정도 공부해서 수료한 뒤 호를 받은 제자가 3000명에 달한다"며 "어려운 주역의 대중화에 공헌하신 분"이라고 말했다.


  고인은 주역을 현대인이 알기 쉽게 풀어낸 '대산 주역강의'를 비롯해 주역 관련 저서를 10권 넘게 남겼다.


  고령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고인은 2019년에 '새로 쓴 대산 주역강의'를 냈고, 지난달 언론 매체와 인터뷰할 정도로 왕성하게 활동했다.


  필자는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과 박사과정에 재학하고 있을 때에 국학원에서 

대산 김석산 선생의 천부경 강연을 듣고 감명을 받은 바 있다. 


  유족으로는 아들 김한성·한명·한기 씨와 딸 김한숙 씨가 있다.


  장례는 고인이 설립한 한국홍역학회의 학회장으로 치러지며 주역 제자인 김주한 전 대법관이 장례위원장을 맡는다.


  발인은 17일 오전 8시, 장지는 세종시 소재 대전공원묘원이다.


                                                                        <참고문헌>

1. 황의종, "주역의 ‘큰산’ 대산 김석진 선생 별세...약 1만명 제자 배출", 아시아 투데이", 아시아투데이, 2023.2.15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10/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84922 2018.04.12
2245 충남 예산군 대술면에 위치한 한국토종씨앗박물관 이야기 사진 신상구 302 2024.07.30
2244 공화정 지키려 카이사르 암살, 결과는 제국의 탄생 사진 신상구 194 2024.07.28
2243 영화배우 유지태씨, 미국서 북한 인권 침해 실태 고발 사진 신상구 199 2024.07.28
2242 유럽 전도사 이원복 교수의 신유럽론 사진 신상구 207 2024.07.28
2241 지방대 신화 박근희 부회장의 성공 키워드 사진 신상구 538 2024.07.28
2240 유엔군 참전의 날을 경축하며 신상구 294 2024.07.28
2239 김호연재, 겉도는 남편에 치솟는 비통함, 240수 시로 달래 사진 신상구 217 2024.07.27
2238 임시정부 주석 네 차례 지내, 정치 반대파에게도 존경 받아 신상구 445 2024.07.26
2237 세종특별자치시, 대한민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선정 신상구 331 2024.07.25
2236 ‘독립문’ 글자 누가 썼을까 사진 신상구 495 2024.07.24
2235 대전시, 우수건축문화유산 308건, 동구·중구서 가장 많아 사진 신상구 218 2024.07.24
2234 귀여움을 이용해라, 우리 증산도의 귀여운 캐릭터를 만들어야 합니다. 안창현 342 2024.07.24
2233 명필로 이름날렸던 독립운동가 김가진 선생 서예전 23일 오전 서울 사진 신상구 213 2024.07.24
2232 '아침이슬'처럼 떠나 별이 된 김민기 사진 신상구 317 2024.07.24
2231 문명사적 변혁과 대혼란 사진 신상구 289 2024.07.23
2230 고통받은 프리다 칼로, 삶 예찬하는 수박 그림 남겨 신상구 296 2024.07.23
2229 한국화 대가 청전 이상범 사진 신상구 310 2024.07.22
2228 문학은 아름다운 사회를 만드는 백신이다 신상구 331 2024.07.22
2227 학전 이끈 '아침이슬' 김민기 별세 소식 사진 신상구 271 2024.07.22
2226 한국 독립운동사 연구의 큰 별, 박걸순 박사 타계를 애도하며 사진 신상구 237 2024.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