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사라지는 상여(喪輿)…상엿집·상엿소리 문화재로 보존해야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12.31 02:44

                            사라지는 상여(喪輿)…상엿집·상엿소리 문화재로 보존해야

@문화재청

[내고향 新풍속도] 달라진 장례 풍경

매장보다 화장 선호 추세 상여 멜 사람도 없어…


   경기 평택시 오성면 안화리의 농협연합장례식장. 이승을 등진 한 고인(故人)의 마지막 가는 길은 고요하고 단출했다. 색색깔 꽃으로 장식한 꽃상여도, 구슬픈 상엿소리도 없었다. 대신 검은 영구차, 통곡과 침묵이 그 자리를 메웠다. 도시와 크게 다를 것 없는 장례 풍경이 농촌 마을에도 스며들었다. 불과 10여년 사이의 변화다.

   예부터 우리는 마을 주민 중 누군가 숨을 거두면 동네 청년들을 비롯한 이웃들이 앞장서 상여를 멨더랬다. 조립식 목재 상여는 워낙 무거워 장정 12명이 들어도 버거울 정도였다. 그럼에도 서로 힘을 합쳐 마을 어귀부터 고인의 집을 거쳐 장지까지 망자를 모셨다. “이제 가면 언제 오나~” “어~허~야~” 가는 내내 울려 퍼지는 애잔한 상엿소리는 고인은 물론이요 남겨진 이들의 마음을 어루만졌다. 2000년대에 접어들어서도 농촌에선 이러한 풍경을 종종 볼 수 있었다.

   “10~15년 전까지만 해도 평택시 읍·면에서 상여로 장례를 치렀어요. 그런데 요즘 매장보다 화장을 택하는 사람들의 비중이 80% 정도로 늘면서 농촌에서도 상여 쓸 일이 그만큼 줄었지요. 1~2년 전엔 그나마 장지 근처에서 짧게라도 상여를 메는 경우가 있었는데 근래엔 거의 찾아볼 수 없어요.”

   정문용 농협연합장례식장장의 말처럼 이제 더이상 농촌에서도 상여를 보기 힘들어졌다. 집이 아닌 장례식장에서 상을 치르고, 매장에서 화장으로 장례 방식을 간소화하는 흐름이 도시 너머 농촌에까지 흘러들었기 때문이다.

   상여가 사라진 데는 ‘농촌에 더이상 상여를 들 사람이 없어진 것’도 한몫했다.

   “옛날엔 동네에 누가 돌아가셨다고 하면 너나 할 것 없이 하던 일 멈추고 상 치르는 걸 돕고 상여도 멨지. 그때야 나이가 많든 적든 사람이 많았지만 요즘에야 어디 그런가. 마을에 사람도 줄어든 데다가 몇 없는 젊은이도 환갑인 지경이니 상여 멜 사람이 있나.” 마을 토박이인 황인호씨(69·오성면 창내리)가 씁쓸한 미소를 지으며 말했다.

   상여가 쓰임새를 잃으면서 상여 같은 장례 도구를 보관하던 상엿집도 찬밥 신세가 됐다. 주로 마을 외딴곳에 있는 상엿집들은 오랜 시간 방치해둔 탓에 흉물 취급을 받으며 철거 대상으로 전락했다. 이에 문화재청은 사라져가는 유산을 지키기 위해 최근 경북 경산시 하양읍의 상엿집을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하기도 했다. 몇몇 지역의 상엿소리 역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돼 있어 이제 머지않아 상여를 비롯한 옛 장례 모습은 박물관 전시물로만 남을지도 모르겠다. 농촌에서나마 이어오던 우리의 문화가 그렇게 또 하나 사라져간다.  
                                                         <참고문헌>
   1. 평택 하지혜, "사라지는 상여(喪輿)…상엿집·상엿소리 문화재로 보존", 농민신문, 2018.3.5일자.


시청자 게시판

2,114개(10/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5095 2018.04.12
1933 블랙홀 100년 만에, 이론에서 실재가 되다 사진 신상구 262 2022.07.18
1932 인촌 김성수선생 통합 리더십, 대한민국 건국 계기 만들어 사진 신상구 483 2022.07.18
1931 김진표 국회의장, '제74주년 제헌절' 경축사 전문 신상구 299 2022.07.18
1930 103세 철학자 김형석 교수가 꼽은 늙지 않는 세가지 방법 신상구 375 2022.07.16
1929 세계화 시대 저물면 대한민국은 몹시 큰 피해자 중 하나가 될 것이다. 사진 신상구 253 2022.07.16
1928 신선이 노는 복되고 신성한 땅, 경주 낭산 사진 신상구 304 2022.07.15
1927 대전은 스토리의 보고 신상구 278 2022.07.14
1926 가짜 뉴스를 만들어서라도 가지고 싶었던 권력 사진 신상구 297 2022.07.13
1925 대전의 역사 이야기와 도시 정체성 사진 신상구 251 2022.07.13
1924 윤동주·장인환 등 독립유공자 156명 호적 생긴다 신상구 283 2022.07.12
1923 中도 원조 주장 못 펴는 '고려 인삼'의 원천 기술 사진 신상구 285 2022.07.10
1922 사또를 고소하는 자는 곤장 100대에 처한다 사진 신상구 324 2022.07.09
1921 국가 수학등급 최상위 승격, 필즈상 수상, 올해는 한국 수학의 해 사진 신상구 470 2022.07.09
1920 국학박사 신상구,『충남연구』통권9호에 학술논문「아산지역 상여연구」게재 사진 신상구 346 2022.07.09
1919 천부경은 우리 얼을 담은 최고의 경전 신상구 626 2022.07.02
1918 한국효문화진흥원, 사단법인 한국시조협회와 하계효문화포럼 개최 사진 신상구 394 2022.07.01
1917 한반도 비파형동검 분포 사진 신상구 516 2022.07.01
1916 백제의 ‘익산 천도론’ 비밀의 열쇠 수부 사진 신상구 328 2022.06.30
1915 세종의 정치 배신한 세종의 인재들 사진 신상구 426 2022.06.29
1914 소정 정훈 선생 유품 개인 소장자 대전문학관에 기증해야 사진 신상구 396 2022.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