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한국 아동문학을 개척하고 처절하고 아름다운 삶을 살다간 권정생 선생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12.30 02:35

                                        한국 아동문학을 개척하고 처절하고 아름다운 삶을 살다간 권정생 선생

                                        이충렬 작가가 쓴 전기 '아름다운 사람 권정생' 출간

2006년 '랑랑별 때때롱'을 집필할 때의 권정생 선생 모습.
                                                     2006년 '랑랑별 때때롱'을 집필할 때의 권정생 선생 모습.

                                                                       [권정생어린이문화재단 제공]

이충렬 작가
                                                                                  이충렬 작가

    권정생은 서른 살도 되기 전에 결핵균으로 상한 콩팥 두 개 중 하나를 떼어내고 상태가 악화해 방광 절제술까지 받는다. 그 후 옆구리에는 고무 호스로 연결한 소변 주머니를 차게 됐고, 평생 이것을 갈아 끼우며 고통과 싸워야 했다. 당시 수술을 해준 의사는 '조심하면 2년가량은 살 수 있을 것'이라며 잘 견디라고 한다. 몸을 쓰는 일을 하지 못하고 앓는 것밖에 할 수 없었던 그는 함께 살던 남동생에게 짐이 되기 싫어 동생을 결혼시켜 내보낸 뒤 동네 교회에서 '종지기' 생활을 시작한다. 교회 문간방을 쓰는 대신 무임으로 교회 허드렛일과 시간 맞춰 종을 울리는 일을 하게 된 것이다.

    그는 자신의 생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생각에 유일한 꿈인 글쓰기, 이야기 짓기에 매달린다. 자신의 이름을 세상에 한 줄이라도 남기고 싶다는 바람에서다. 초등학교에 다닌 것이 학력의 전부인 그가 글쓰기를 배운 적도 없이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글을 아픈 와중에 한 줄 한 줄 써내려간다. 그렇게 쓴 동화를 지방 신문 신춘문예에 응모한 뒤 애타게 소식을 기다리고, 몇 차례 최종 후보까지 오르면서도 아쉬운 점이 있다는 심사평을 받아들고 한숨짓는 모습은 독자의 마음을 안타깝게 한다.

    병세가 악화해도 너무 가난해 보건소에서 받은 약으로 겨우 버티고, 등단한 뒤에도 원고 청탁이 없거나 원고를 써보내도 원고료가 오지 않아 하루하루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모습은 그야말로 처절하다. 그러면서도 그는 늘 이번 작품이 마지막이 될 수 있다는 생각으로 혼신을 다해 글을 쓴다.

   이 책에는 특히 전쟁과 분단, 베트남 파병 등 질곡의 현대사 속에 가족을 잃고 가난에 시달리며 힘겹게 사는 시골 이웃, 아이들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직시하며 이들을 진정으로 보듬어줄 작품을 쓰려고 노력한 권정생의 작가 정신이 상세히 기술돼 있다.

   작가는 권정생의 작품 원전을 꼼꼼히 찾아보는 과정에서 그가 열여덟 살 때 써 잡지 '학원'에 아명 '권경수'로 발표한 소설 '여선생'을 발굴해 이 책에 부록으로 처음 공개했다.

   또 평생 홀로 살았던 권정생이 특별한 감정으로 만난 한 여인의 이야기도 처음 다뤘다. 유언장에 "다시 태어난다면 연애를 하고 싶고, 벌벌 떨지 않고 잘할 것이다"라고 쓴 기록을 토대로 생가 마을 사람들을 수소문해 찾아낸 여성이다. 그 여성은 이충렬 작가와의 인터뷰에서 권정생으로부터 지인 이현주 목사를 통해 '대리 청혼'을 받았지만, 직접 청혼한 것이 아니어서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사연을 털어놓는다.

   작가는 "이 책을 쓰는 데 총 2년 반 정도 걸렸다. 실제로 쓴 것은 6개월밖에 안 걸렸지만, 기본 연보를 만드는 데 2년이 걸렸다. 그만큼 자료 조사에 많은 시간을 쏟아부었고, 본인이 말한 내용도 신문기사나 잡지 기록과 비교했다. 중요한 내용은 다 다뤘고 오류가 없도록 했다는 점에서 이 책이 권정생 연구의 정본(定本)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동문학가 권정생의 처절하고 아름다운 삶 - 2


시청자 게시판

2,426개(10/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208 2018.04.12
2245 충남 예산군 대술면에 위치한 한국토종씨앗박물관 이야기 사진 신상구 522 2024.07.30
2244 공화정 지키려 카이사르 암살, 결과는 제국의 탄생 사진 신상구 388 2024.07.28
2243 영화배우 유지태씨, 미국서 북한 인권 침해 실태 고발 사진 신상구 398 2024.07.28
2242 유럽 전도사 이원복 교수의 신유럽론 사진 신상구 389 2024.07.28
2241 지방대 신화 박근희 부회장의 성공 키워드 사진 신상구 722 2024.07.28
2240 유엔군 참전의 날을 경축하며 신상구 498 2024.07.28
2239 김호연재, 겉도는 남편에 치솟는 비통함, 240수 시로 달래 사진 신상구 426 2024.07.27
2238 임시정부 주석 네 차례 지내, 정치 반대파에게도 존경 받아 신상구 626 2024.07.26
2237 세종특별자치시, 대한민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선정 신상구 555 2024.07.25
2236 ‘독립문’ 글자 누가 썼을까 사진 신상구 675 2024.07.24
2235 대전시, 우수건축문화유산 308건, 동구·중구서 가장 많아 사진 신상구 451 2024.07.24
2234 귀여움을 이용해라, 우리 증산도의 귀여운 캐릭터를 만들어야 합니다. 안창현 648 2024.07.24
2233 명필로 이름날렸던 독립운동가 김가진 선생 서예전 23일 오전 서울 사진 신상구 408 2024.07.24
2232 '아침이슬'처럼 떠나 별이 된 김민기 사진 신상구 499 2024.07.24
2231 문명사적 변혁과 대혼란 사진 신상구 505 2024.07.23
2230 고통받은 프리다 칼로, 삶 예찬하는 수박 그림 남겨 신상구 574 2024.07.23
2229 한국화 대가 청전 이상범 사진 신상구 672 2024.07.22
2228 문학은 아름다운 사회를 만드는 백신이다 신상구 545 2024.07.22
2227 학전 이끈 '아침이슬' 김민기 별세 소식 사진 신상구 473 2024.07.22
2226 한국 독립운동사 연구의 큰 별, 박걸순 박사 타계를 애도하며 사진 신상구 441 2024.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