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카메라 사진과 견주어도 손색없는 조선의 초상화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12.24 02:38
   카메라 사진과 견주어도 손색없는  조선의 초상화
태조 이마의 작은 혹, 추사 뺨 천연두 자국까지 그렸죠!
똑같은 주름과 검버섯, 알고 보니 같은 사람?
얼굴이 너무 닮아서 보는 사람을 놀라게 하는 두 초상화가 있습니다. 정조 때 '호조참판'을 지낸 '이채(1745~1820)'와 영조 때 '대제학'을 지낸 그의 할아버지 '이재(1680~1746)'의 초상화로 알려진 그림이죠.
머리털 한 올도 다르면 안 돼
조선의 국가 철학'성리학(유교)'에서 전통적으로 그림이나 조각이 원래 사람과 조금이라도 다르면 안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공자 같은 성인의 상(像)'진짜 같지 않다'는 이유로 모두 땅에 파묻고 나무로 만든 신주(죽은 사람의 위패)를 대신 놓았다고 하죠. 결국 초상화도 주인공을 최대한 사실적으로 묘사하려 하면서 자연스레 세밀한 초상화가 발달하게 된 것입니다.
임금의 비서실 격인 '승정원'의 기록 '승정원일기'에 이런 말이 나오죠. "털끝 하나 머리털 한 가닥이(일모일발·一毛一髮) 조금이라도 차이가 나면(소혹차수·小惑差殊) 곧 다른 사람이다(즉편시별인·卽便是別人)."
피부병 분석까지 가능한 조선 초상화
이 총장은 훗날 조선 시대 초상화를 바탕으로 피부 질환에 대한 논문을 썼죠. 초상화 268점을 조사한 결과 20종의 피부 병변(병 때문에 일어나는 생체의 변화)을 발견했습니다. 초상화 113점에선 '점', 85점에선 '검버섯', 37점에서 '지루각화증(돌출한 검버섯)'이 발견됐죠. 또 73점에선 '천연두 흉터'를, 9점에선 '흑색 황달'을 찾아냈습니다.
예컨대 태조 이성계(1335~1408)의 초상화에선 '오른쪽 눈썹 위 이마의 작은 혹(모반세포성모반)이 보였다'고 하죠. 이런 피부병 흔적은 과시욕이 강하게 드러나는 중국 초상화나 얼굴을 밝게 칠한 일본 초상화에선 결코 볼 수 없습니다. 이에 대해 "올곧음과 정직함이라는 조선 선비 정신이 초상화 기법에서 드러난 것"이라고 보기도 하죠.
사람의 기품까지 그려냈다
카메라의 원조
현대 사진기가 발명되기 전 서양에서 쓰던 원시적 형태의 사진기가 카메라 오브스쿠라(camera obscura)입니다. '어두운 방'이라는 뜻의 라틴어이죠. 캄캄한 공간에서 벽에 작은 구멍을 뚫고 빛을 통과시키면 반대쪽 벽에 바깥 풍경이 거꾸로 비치는데, 르네상스 시대 레오나르도 다빈치 같은 화가들은 이 원리를 이용해 캔버스에 영상이 비치게 하고 그림을 그렸다고 합니다.
17~18세기 조선에도 '카메라 오브스쿠라'가 들어왔죠. 다산 정약용은 형 정약전 집에서 학자 이기양'칠실파려안'을 설치하고 거꾸로 비친 그림자를 따라 초상화 초본을 그리게 했다는 기록을 남겼는데, '칠실파려안'카메라 오브스쿠라로 여겨집니다.
초상화가 '이명기'가 문인이자 화가'강세황'의 71세 때 초상화를 그릴 때 '카메라 오브스쿠라'를 사용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입체감을 살린 얼굴 표현, 옷 주름 묘사의 명암법이 그 근거라는 것이죠!
<참고문헌>
1. 유석재/김연주, "태조 이마의 작은 혹, 추사 뺨 천연두 자국까지 그렸어요", 조선일보, 2021.12.23일자. A32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10/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440 2018.04.12
2245 충남 예산군 대술면에 위치한 한국토종씨앗박물관 이야기 사진 신상구 527 2024.07.30
2244 공화정 지키려 카이사르 암살, 결과는 제국의 탄생 사진 신상구 389 2024.07.28
2243 영화배우 유지태씨, 미국서 북한 인권 침해 실태 고발 사진 신상구 402 2024.07.28
2242 유럽 전도사 이원복 교수의 신유럽론 사진 신상구 393 2024.07.28
2241 지방대 신화 박근희 부회장의 성공 키워드 사진 신상구 726 2024.07.28
2240 유엔군 참전의 날을 경축하며 신상구 503 2024.07.28
2239 김호연재, 겉도는 남편에 치솟는 비통함, 240수 시로 달래 사진 신상구 429 2024.07.27
2238 임시정부 주석 네 차례 지내, 정치 반대파에게도 존경 받아 신상구 633 2024.07.26
2237 세종특별자치시, 대한민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선정 신상구 559 2024.07.25
2236 ‘독립문’ 글자 누가 썼을까 사진 신상구 681 2024.07.24
2235 대전시, 우수건축문화유산 308건, 동구·중구서 가장 많아 사진 신상구 459 2024.07.24
2234 귀여움을 이용해라, 우리 증산도의 귀여운 캐릭터를 만들어야 합니다. 안창현 654 2024.07.24
2233 명필로 이름날렸던 독립운동가 김가진 선생 서예전 23일 오전 서울 사진 신상구 413 2024.07.24
2232 '아침이슬'처럼 떠나 별이 된 김민기 사진 신상구 507 2024.07.24
2231 문명사적 변혁과 대혼란 사진 신상구 513 2024.07.23
2230 고통받은 프리다 칼로, 삶 예찬하는 수박 그림 남겨 신상구 583 2024.07.23
2229 한국화 대가 청전 이상범 사진 신상구 676 2024.07.22
2228 문학은 아름다운 사회를 만드는 백신이다 신상구 549 2024.07.22
2227 학전 이끈 '아침이슬' 김민기 별세 소식 사진 신상구 476 2024.07.22
2226 한국 독립운동사 연구의 큰 별, 박걸순 박사 타계를 애도하며 사진 신상구 445 2024.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