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해발 734m의 육십령, 고대 가야 반파국의 철광석 로드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12.21 02:49


해발 734m의 육십령, 고대 가야 반파국의 철광석 로드


영호남을 왕래하는 길은 평탄한 길이 없다. 전북 장수군과 경남 함양군을 연결하는 고갯길이 해발 734m의 육십령(六十嶺)이다. 나는 이 고갯길을 넘어갈 때마다 그 이름에 의문이 들곤 하였다.

산적들의 약탈을 피하기 위해서는 고개를 넘을 때 적어도 60명이 모여서 넘어야 한다는 전설이 있다. 산적 떼가 그 옛날 이 험한 오지 산길에서 얼마나 털어갈 물건이 있었다고?

그 오래된 의문이 근래에 가야사를 연구하는 곽장근(60·군산대·’전북 고대 문화 역동성’) 교수의 설명을 들으면서 풀렸다. “전북 장수가 고대의 철(鐵) 생산지입니다. 장수군 일대가 질 좋은 철광석 산지입니다.

여기서 제련한 쇳덩어리나, 철제 무기를 경상도 지역의 대가야나 금관가야 지역으로 수출했던 것입니다. 당시 최고 제품이었던 철기를 수출하려면 반드시 육십령을 넘어야 했죠.”

가야 문화의 특징을 꼽으라면 철기 문화다. 가야는 철이 발달했던 것이다. 강력한 쇠로 만든 칼이나 무기들이 전쟁의 승패를 좌우하였다. 문제는 이 철을 어디에서 공급받느냐 하는 것이었다.

전북 장수는 고대 가야의 소국 가운데 하나였던 ‘반파국’이 있었던 지역이다. 서기 300년대 후반 시작되어 500년대 초반까지 대략 150년 동안 유지되었던 소국이다.

장수군 장계면에는 반파국 왕궁이 자리 잡고 있었다. 반파국의 수출품은 철이었다. 이 일대 지질 구조가 모두 철광석을 함유한 산맥이었다.

대가야의 고령이나 금관가야의 김해 쪽에는 지형적으로 이런 철광석 산맥이 드물었다. 고고학자들의 조사 발굴에 따르면 장수군 일대에서 제철 유적지가 현재까지 80군데 발견되었다. 화로 속에다 철광석을 넣고 숯으로 가열해서 철만 뽑아내는 제련 유적지가 80군데라는 이야기다.

철을 뽑아내려면 2000도까지 가열해야만 한다. 도가지(독의 방언)를 굽는 가마 온도가 대강 1300도이다. 화로 속에 숯과 철광석을 시루떡처럼 차곡차곡 쌓아 올려 2000도까지 고온으로 가열하는 기술이 당시의 첨단 기술이었다.

철광석에다가 이 첨단 기술을 가야 소국 가운데 하나인 반파국이 가지고 있었다는 이야기이다. 요즘으로 치면 반도체에 해당하는 철을 고령의 대가야나 김해의 금관가야까지 운반하려면 반드시 육십령을 넘어야 한다.

이 값나가는 철기를 털려고 고갯길에서 산적들이 기다리고 있었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적어도 60명이 모여서 넘어가야 하는 ‘육십령’은 고대의 아이언 로드(iron road)였던 것이다.

​ <참고문헌>

1. 조용헌, "육십령, 고대의 아이언 로드", 조선일보, 2021.12.20일자. A33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10/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19974 2018.04.12
2245 충남 예산군 대술면에 위치한 한국토종씨앗박물관 이야기 사진 신상구 514 2024.07.30
2244 공화정 지키려 카이사르 암살, 결과는 제국의 탄생 사진 신상구 377 2024.07.28
2243 영화배우 유지태씨, 미국서 북한 인권 침해 실태 고발 사진 신상구 390 2024.07.28
2242 유럽 전도사 이원복 교수의 신유럽론 사진 신상구 382 2024.07.28
2241 지방대 신화 박근희 부회장의 성공 키워드 사진 신상구 715 2024.07.28
2240 유엔군 참전의 날을 경축하며 신상구 486 2024.07.28
2239 김호연재, 겉도는 남편에 치솟는 비통함, 240수 시로 달래 사진 신상구 418 2024.07.27
2238 임시정부 주석 네 차례 지내, 정치 반대파에게도 존경 받아 신상구 620 2024.07.26
2237 세종특별자치시, 대한민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선정 신상구 547 2024.07.25
2236 ‘독립문’ 글자 누가 썼을까 사진 신상구 667 2024.07.24
2235 대전시, 우수건축문화유산 308건, 동구·중구서 가장 많아 사진 신상구 443 2024.07.24
2234 귀여움을 이용해라, 우리 증산도의 귀여운 캐릭터를 만들어야 합니다. 안창현 638 2024.07.24
2233 명필로 이름날렸던 독립운동가 김가진 선생 서예전 23일 오전 서울 사진 신상구 404 2024.07.24
2232 '아침이슬'처럼 떠나 별이 된 김민기 사진 신상구 493 2024.07.24
2231 문명사적 변혁과 대혼란 사진 신상구 499 2024.07.23
2230 고통받은 프리다 칼로, 삶 예찬하는 수박 그림 남겨 신상구 566 2024.07.23
2229 한국화 대가 청전 이상범 사진 신상구 663 2024.07.22
2228 문학은 아름다운 사회를 만드는 백신이다 신상구 539 2024.07.22
2227 학전 이끈 '아침이슬' 김민기 별세 소식 사진 신상구 465 2024.07.22
2226 한국 독립운동사 연구의 큰 별, 박걸순 박사 타계를 애도하며 사진 신상구 435 2024.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