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홍범도 장군 유해, 서거 78년만에 고국 품으로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8.14 03:22

                                                                                                               홍범도 장군 유해, 서거 78년만에 고국 품으로

광복절 도착… 18일 대전현충원 안장
청산리-봉오동 전투 승전 이끈 영웅
스탈린 강제이주로 카자흐에 묻혀
文대통령, 현지에 특사단 파견… 건국훈장 최고등급 대한민국장 추서
   일제강점기 청산리·봉오동전투를 승전으로 이끌었던 독립운동가 홍범도 장군(1868∼1943·사진)의 유해가 서거 78년 만에 광복절인 15일 고국으로 돌아온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은 12일 브리핑에서 “카자흐스탄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대통령이 문재인 대통령의 초청으로 16, 17일 우리나라를 국빈 방문한다”며 “토카예프 대통령 방한과 연계해 카자흐스탄 키질로르다에 안장돼 있는 여천 홍범도 장군의 유해를 모셔올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15일 오후 도착하는 홍 장군의 유해는 16, 17일 이틀간 국민 추모 기간을 거친 후 18일 대전현충원에 안장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유해 봉환을 위해 14일 황기철 국가보훈처장을 특사로 하는 특사단을 카자흐스탄에 파견할 예정이다. 특사단에는 홍범도장군기념사업회 이사장인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국민대표 자격으로 신흥무관학교사업회 홍보대사인 배우 조진웅 씨가 참여한다. 앞서 문 대통령은 2019년 4월 카자흐스탄 국빈 방문 당시 홍 장군의 유해 봉환을 요청했고 이후 정부가 카자흐스탄 측과 실무협의를 진행해왔다. 정부는 지난해 봉오동전투 승전 100주년을 맞아 유해 봉환을 추진했으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미뤄졌다.

   강신철 대통령국방개혁비서관은 “홍 장군은 연해주에 거주하던 1937년 스탈린의 한인 강제 이주정책에 따라 카자흐스탄으로 이주됐고 다음 해 카자흐스탄 키질로르다에 정착한 뒤 1943년 세상을 떠났다”며 “홍 장군이 1921년 연해주로 이주한 지 100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오는 만큼 이번 유해 봉환의 의미는 더욱 크다”고 말했다. 이어 “홍 장군은 민족정기 선양과 국민 애국심 고취, 고려인의 민족 정체성 함양뿐 아니라 한국과 카자흐스탄 간 우호 증진에 기여한 공적을 새롭게 인정받아 이번에 건국훈장 최고등급인 대한민국장이 추서되기 때문에 유해 봉환의 의미가 더욱 크다”고 했다. 홍 장군은 1962년 건국훈장 2등급인 대통령장을 받은 바 있다.

   한편 토카예프 대통령 방한은 2016년 이후 5년 만이다. 지난해 1월 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된 이후 해외 정상의 첫 국빈 방한이다. 박 대변인은 “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에서 우리의 최대 교역국이자 투자 대상국으로 신북방정책 추진의 핵심 협력국”이라며 “교통·인프라·건설, 정보통신기술(ICT), 보건,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양국의 실질 협력을 확대하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양국은 내년 수교 30주년을 맞는다.
                                                   <참고문헌>

   1. 박효목, "홍범도 장군 유해, 서거 78년만에 고국 품으로", 동아일보, 2021.8.13일자. A29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10/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714 2018.04.12
2245 충남 예산군 대술면에 위치한 한국토종씨앗박물관 이야기 사진 신상구 534 2024.07.30
2244 공화정 지키려 카이사르 암살, 결과는 제국의 탄생 사진 신상구 398 2024.07.28
2243 영화배우 유지태씨, 미국서 북한 인권 침해 실태 고발 사진 신상구 407 2024.07.28
2242 유럽 전도사 이원복 교수의 신유럽론 사진 신상구 401 2024.07.28
2241 지방대 신화 박근희 부회장의 성공 키워드 사진 신상구 732 2024.07.28
2240 유엔군 참전의 날을 경축하며 신상구 511 2024.07.28
2239 김호연재, 겉도는 남편에 치솟는 비통함, 240수 시로 달래 사진 신상구 436 2024.07.27
2238 임시정부 주석 네 차례 지내, 정치 반대파에게도 존경 받아 신상구 637 2024.07.26
2237 세종특별자치시, 대한민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선정 신상구 565 2024.07.25
2236 ‘독립문’ 글자 누가 썼을까 사진 신상구 689 2024.07.24
2235 대전시, 우수건축문화유산 308건, 동구·중구서 가장 많아 사진 신상구 463 2024.07.24
2234 귀여움을 이용해라, 우리 증산도의 귀여운 캐릭터를 만들어야 합니다. 안창현 665 2024.07.24
2233 명필로 이름날렸던 독립운동가 김가진 선생 서예전 23일 오전 서울 사진 신상구 419 2024.07.24
2232 '아침이슬'처럼 떠나 별이 된 김민기 사진 신상구 513 2024.07.24
2231 문명사적 변혁과 대혼란 사진 신상구 518 2024.07.23
2230 고통받은 프리다 칼로, 삶 예찬하는 수박 그림 남겨 신상구 590 2024.07.23
2229 한국화 대가 청전 이상범 사진 신상구 687 2024.07.22
2228 문학은 아름다운 사회를 만드는 백신이다 신상구 553 2024.07.22
2227 학전 이끈 '아침이슬' 김민기 별세 소식 사진 신상구 484 2024.07.22
2226 한국 독립운동사 연구의 큰 별, 박걸순 박사 타계를 애도하며 사진 신상구 449 2024.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