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18세기 ‘노비詩人 정초부’ 한시집 발견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3.09 01:54

                                                                    18세기 ‘노비詩人 정초부’ 한시집  발견



                                   ■ 성균관대 안대회 교수, 90여 수 담긴 ‘초부유고’ 발굴

      
정초부가 지은 약 90수의 시가 들어 있는 초부유고(樵夫遺稿) 일부. 가는 글씨로 베껴 쓴 필사본 형태다. 당대의 문인인 정약용 박제가 이학규의 작품들과 한 책에 묶여 있다. 안대회 교수 제공

    조선시대 노비가 지은 한시집이 발굴됐다. 조선 정조 때 활약했던 노비 시인 정초부(鄭樵夫·1714∼1789·‘정씨 나무꾼’이라는 뜻)의 한시집 ‘초부유고(樵夫遺稿)’로 약 90수의 한시가 실려 있다.
    안대회 성균관대 교수(한문학)는 27일 그동안 다른 문헌을 통해 그 존재만 알려졌던 ‘초부유고’를 고려대 도서관에서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견된 초부유고는 18세기 일급 문인으로 분류되는 정약용 박제가 이학규 등 4명의 시만 골라 묶은 필사본 시집 ‘다산시령(茶山詩零)’에서 발견돼 정초부의 명성이 대단했음을 짐작하게 한다.

    지금까지는 정초부의 주인이 누구인지 명확하지 않았으나 안 교수가 이번에 여춘영(呂春永·1734∼1812)의 문집 ‘헌적집(軒適集)’도 함께 찾아냄에 따라 그의 생몰연도, 정초부와 주인의 관계 등이 명확해졌다.

    정초부의 이름은 봉(鳳)일 가능성이 높은데 이번에 발굴된 초부유고에는 이재(彛載)라는 이름으로도 나온다. 정초부는 부모 모두 노비였던 것으로 보인다. 17세기 노비 출신으로 젊은 나이에 양인이 된 홍세태(洪世泰·1653∼1725)나 18세기 또 다른 노비 시인으로 불리는 이단전(李亶佃·1755∼1790)의 아버지가 노비가 아니었던 것과 다른 점이다. 안 교수는 “조선 전체를 통틀어 노비 시인으로 불릴 만한 작가는 5, 6명이지만 완전한 의미에서 노비 시인의 작품집이 발견된 것은 사실상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정초부의 주인이었던 여춘영은 조선 후기 문벌가문의 일원으로서 자기보다 스무 살 많았던 노비 정초부를 인간적으로 대등한 관계로 대했다. 여춘영은 1789년 정초부가 76세로 사망하자 만시(輓詩) 12수를 남겼는데, 그 가운데 “어릴 때는 스승, 어른이 되어서는 친구로 지내며, 시에서는 오로지 내 초부뿐이었지(少師而壯友, 於詩惟我樵)”라는 구절이 나와 두 사람의 돈독했던 관계를 짐작하게 한다.

단원 김홍도의 도강도(혹은 도선도). 정초부가 동호의 풍경을 읊은 시가 쓰여 있다. 정초부의 시는 당대에 회자되면서 글자가 고쳐지기도 했는데 맨 앞 글자가 원문과 달리 높을 고(高)자로 돼 있다. 그림 출처 진준현 저 ‘단원 김홍도 연구’

    정초부의 재능을 한양의 사대부 사회에 널리 퍼뜨릴 정도로 그의 재주를 아꼈던 여춘영은 정초부가 죽자 자신의 아들 둘을 데리고 정초부의 무덤을 찾아가 그를 기리는 제문을 짓기도 했다.
    정초부는 나무를 하는 노비였다. 어린 시절 낮에는 나무를 하고 밤에는 주인집 자제들이 배우는 글을 어깨너머로 배웠다. 정초부가 어린 시절 읊는 한시를 외우는 것을 본 주인이 이를 기특하게 여겨 한자를 가르친 것으로 전해진다. 그의 시는 서정성이 풍부하고 회화적인 것이 특징이다. 오늘날 한강 동호대교 부근의 풍경을 읊은 시는 당대에 특히 유명해 단원 김홍도가 ‘도강도(혹은 도선도)’를 그릴 때 그림의 시구(화제·畵題)로 사용했다.
    안 교수는 “정초부는 천부적 재능이 있어 한시를 지었지만 학문이 깊지는 않아 교양인이라면 누구나 알 만한 글자로 시를 지었다. 이 때문에 오히려 많은 사람이 더 친숙하게 받아들였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초부가 시를 잘 짓는 노비로 명성을 얻음에 따라 그가 살던 양근현(지금의 경기 광주시 남종면 수청리)에는 길을 지나던 사대부들이 그를 보러 그의 집을 방문하곤 했다. 가까이 살던 수원 부사를 지낸 김상묵(金尙默·1726∼1779)도 그와 친분을 나누었다. 당대 노론 사대부의 폐쇄적 시회였던 ‘동원아집(東園雅集)’에 불려가 고관을 지낸 인사들과 함께 시를 짓기도 했다.
    안 교수는 “그가 남긴 약 90수의 시는 서정적이고 조금은 우수에 찬 느낌”이라며 “노비가 한시작가로 두각을 나타낸 현상은 18세기 조선 문화계에 새로운 세력이 등장하던 시기였음을 보여주는 표지”라고 말했다.
                                                                        <참고문헌>
   1. 허진석, "18세기 ‘노비詩人 정초부’ 한시집 찾았다", 동아일보, 2011.2.28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10/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646 2018.04.12
2245 충남 예산군 대술면에 위치한 한국토종씨앗박물관 이야기 사진 신상구 534 2024.07.30
2244 공화정 지키려 카이사르 암살, 결과는 제국의 탄생 사진 신상구 395 2024.07.28
2243 영화배우 유지태씨, 미국서 북한 인권 침해 실태 고발 사진 신상구 406 2024.07.28
2242 유럽 전도사 이원복 교수의 신유럽론 사진 신상구 401 2024.07.28
2241 지방대 신화 박근희 부회장의 성공 키워드 사진 신상구 730 2024.07.28
2240 유엔군 참전의 날을 경축하며 신상구 511 2024.07.28
2239 김호연재, 겉도는 남편에 치솟는 비통함, 240수 시로 달래 사진 신상구 436 2024.07.27
2238 임시정부 주석 네 차례 지내, 정치 반대파에게도 존경 받아 신상구 637 2024.07.26
2237 세종특별자치시, 대한민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선정 신상구 563 2024.07.25
2236 ‘독립문’ 글자 누가 썼을까 사진 신상구 689 2024.07.24
2235 대전시, 우수건축문화유산 308건, 동구·중구서 가장 많아 사진 신상구 462 2024.07.24
2234 귀여움을 이용해라, 우리 증산도의 귀여운 캐릭터를 만들어야 합니다. 안창현 661 2024.07.24
2233 명필로 이름날렸던 독립운동가 김가진 선생 서예전 23일 오전 서울 사진 신상구 418 2024.07.24
2232 '아침이슬'처럼 떠나 별이 된 김민기 사진 신상구 513 2024.07.24
2231 문명사적 변혁과 대혼란 사진 신상구 517 2024.07.23
2230 고통받은 프리다 칼로, 삶 예찬하는 수박 그림 남겨 신상구 588 2024.07.23
2229 한국화 대가 청전 이상범 사진 신상구 682 2024.07.22
2228 문학은 아름다운 사회를 만드는 백신이다 신상구 553 2024.07.22
2227 학전 이끈 '아침이슬' 김민기 별세 소식 사진 신상구 483 2024.07.22
2226 한국 독립운동사 연구의 큰 별, 박걸순 박사 타계를 애도하며 사진 신상구 448 2024.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