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유관순 열사와 이순신 장군을 영웅으로 만든 사람들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2.25 19:21

                                                              유관순 열사와 이순신 장군을 영웅으로 만든 사람들                                                                                           

유관순 열사는 3ㆍ1운동에 참여한 이화학당 학생 200여명 중 한 명이다. 그러나 역사 기술 과정에서 도드라지게 다뤄지면서 상징성을 갖게 됐다. 주ㆍ조연이 등장하는 이야기는 역사 교육에 유용하다. 굳이 누락할 이유도 없지만 그렇다고 반드시 포함해야 하는 것도 아니란 얘기다. 어차피 역사 서술엔 취사가 불가피하고 그건 역사가의 몫이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단지 친일파가 띄웠단 이유로 유관순을 교과서에서 뺐다면 문제다. 진영 논리여서다. 하지만 교육 효과나 사실 경중이 고려됐다면 다르다. 학계가 좌편향이란 매도가 외려 섣부르다.
    “박창해는 1945년 광복 직후부터 3년 동안 초등학교 국어교과서를 제작했다. (…) 그는 2010년 타계했지만 2006년 한 학술잡지에 ‘나의 국어 편수사 시절’이라는 회고의 글을 남겼다. 그는 이 글에서 유관순이 널리 알려지게 된 과정을 전하고 있다. 어느 날 교과서에 들어갈 내용을 논의하다가 3ㆍ1운동 때 우리 여성 가운데 프랑스의 잔 다르크처럼 활동한 사람을 찾아내기로 했다. 그와 함께 교과서를 만들던 사람은 소설가 전영택이었다. (…) 유제한은 “집안에 3ㆍ1운동으로 옥살이한 이화학당 학생이 있다”고 전했다. (…) 이 증언에 따르면 유관순을 널리 알린 주인공은 전영택 박창해와 유관순의 조카 유제한이다. 이 시기는 광복 이듬해인 1946년으로 추정된다. 최초의 유관순 전기인 ‘순국처녀 유관순전’을 전영택이 1948년 펴낸 것을 보아도 이 회고는 꽤 신빙성이 있다. 일각에서 제기해온 ‘유관순은 친일파가 만들어낸 영웅’이라는 논란이 다시 불거졌다. 이화학당 출신의 박인덕과 신봉조 교장이 자신들의 친일 행적을 가리기 위해 의도적으로 띄웠다는 주장이다. 올해 선보인 고교 한국사 교과서 8종 가운데 4종이 유관순을 다루지 않고 있다. 최근 김정인 춘천교대 교수는 그 이유에 대해 “친일 전력이 있는 박인덕이 발굴해 영웅으로 만들었다는 연구 성과가 있어 교과서에 기술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김 교수가 ‘연구 성과’로 제시한 논문을 찾아보니 근거가 너무 허술했다. (…) 이 논란을 통해 다시 확인되는 것은 일부 역사학자들의 우파에 대한 반감이다. 이들에게 우파는 ‘친일 세력’과 동의어인 경우가 많다. (…) 채택률 0%를 기록한 우파 역사관의 교학사 교과서가 나왔을 때도 역사학계 대부분은 똘똘 뭉쳐 돌을 던졌다. (…) 정부는 역사교과서를 국정으로 되돌리는 문제를 놓고 저울질하고 있다. 검정에서 국정 체제로 바뀌더라도 교과서의 상당 부분은 역사학자들이 집필하게 될 것이다. 학계의 편향성이 근본적으로 시정되지 않는 한 국정이든 검정이든 올바른 역사교육은 요원하다.”
       *홍찬식, "‘순국처녀 유관순’ 발굴의 진실", 동아일보, 2014.9.4일자. A30면. 

     “역사인물과 일화를 중심으로 구성하는 초등 교육과정을 고려할 때, 5학년 2학기용 국정 교과서에서 유관순 열사를 특화해 다루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고등학교 1학년용 교과서도 반드시 그래야 할 이유는 없다. 오히려 고교생에게는 3ㆍ1운동의 전체상과 특징을 보여주는 내용과 구성이 더 적당하다. (…) 그동안 언론은 교과서를 비판하면서 사실이 있다, 없다만으로 좋고 나쁨을 판단하는 오류를 반복해 왔다. 잘못을 되풀이하는 이유는 초ㆍ중ㆍ고 교육과정의 계열성과 교과서들의 편집구성을 고려하지 않은 데 큰 원인이 있다. 두 가지 사항은 교과서 분석의 최소 전제임에도 불구하고 교육부 장관조차 이를 망각한 것 같다.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유관순을 언급하지 않은 점이 문제라는 특정 언론의 주장에 동조했기 때문이다. 어쩌면 국정제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여론을 조성할 수 있는 호재라고 판단했을지도 모르겠다. (…) 오히려 지금 교육부가 한국사 교육과 관련해 해야 할 일은 따로 있다. (…) 한국사 수업의 부실을 걱정한다. (…) 교육과정이 체계적으로 계열화되어 있지 않은 현실은 역사과 교육과정을 조금만 들여다보아도 여기저기서 확인된다. 가령 고등학교의 동아시아사와 한국사 교과서에서 말하는 동아시아의 공간범주가 다른데 지금도 정정되지 않고 있다. 심지어 한국사 교과서 사이에서도 통일되어 있지 않다. (…) 정부는 작년 교과서 파동의 해법으로 국정제와 편수국 부활을 제시했다. 그러나 파동의 직접적인 원인은 정부가 교육과정 개발을 게을리했고, 교과서 검정제를 잘못 운영한 데 있다. 정부의 해법은 한국 사회가 수용할 수 있는 상식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사고를 보장하는 민주주의 원칙을 부정하는 접근이다.”

    * 신주백, "교과서 논란, 정작 교육부가 해야 할 일", 경향신문, 2014.9.1일자.   

    유관순 빠진다고 역사가 망가지진 않는다. 되레 영웅 만들기 뒤에 음모가 도사리기 일쑤다. 무지가 맹신을 빚기도 한다. 다만 아나키즘은 안 된다. 무리한 기술을 피해야 하는 이유다.

    “본지는 한국사의 중요 인물을 집필자가 사관(史觀)에 따라 자의적으로 누락했다면 큰 문제라고 판단해 이를 집중 보도했다. (…) 그런데 지난달 30일과 지난 1일, 진보를 표방하는 두 언론은 ‘예전에 국정으로 발행된 국사 교과서도 유관순을 기술하지 않았는데, 보수 언론이 한국사 교과서를 국정으로 전환하려는 의도로 유관순 논란을 부추긴다’는 취지의 기사를 내보냈다. 이들이 근거로 든 건 2002년부터 사용된 7차 교육과정의 마지막 국정 국사 교과서다. (…) 하지만 이 시기는 전근대사를 주로 서술한 국사 교과서가 국정으로 발행됐고, 그 이후 시기를 담은 근현대사 교과서는 검정으로 별도 발행됐다. 이 때문에 국정 국사 교과서는 3ㆍ1운동을 비롯해 근현대사에 매우 적은 분량만 할애했다. 그런데도 이런 사실은 쏙 빼놓은 채 ‘국정 교과서에도 유관순이 없었다’고만 주장한 것이다. (…) 올 초 교학사의 한국사 교과서를 채택한 고등학교에는 진보ㆍ좌파 성향 단체들이 집요하게 압력을 가했다. 당시 이들이 교학사 교과서를 ‘친일(親日)’로 낙인찍은 근거 중 하나는 일본군위안부 사진 설명에 ‘일본군 부대가 이동할 때마다 따라다니는 경우가 많았다’고 쓴 대목이었다. (…) 유관순 열사를 한국사 교과서에서 아예 빼는 건 문제가 없고, 자칫 집필자의 세심하지 못한 실수로도 볼 수 있는 거슬리는 어휘 선택은 ‘친일’의 확고한 증거라고 주장하는 이들의 행태는 자기 눈의 들보는 외면한 채 남의 눈의 티끌만 트집 잡는 것이다.”

       *곽수근, " ‘유관순 논란’ 폄하하는 언론", 조선일보, 2014.9.4일자.

    “3ㆍ1 운동을 기술하면서 상징성으로는 33인보다 더 큰 유관순 열사에 대한 기술을 어떻게 빠뜨릴 수 있을까. (…) 친일파가 발굴해 띄워서, 원래 그 정도는 아니었던 유관순 열사가 노래로까지 불릴 정도로까지 지나치게 떴다고 치자. 그렇다고 그의 만세운동과 옥중 순국이 날조된 것도 아니고, 3ㆍ1 운동의 전국적 성격과 일제 탄압의 잔학성을 동시에 드러내기에 그만한 인물이 없다. 그래도 친일파가 띄운 사람이어서 폄훼(貶毁)할 수밖에 없다면, 이순신 장군에 대해서도 비슷한 자세를 보일 수 있는지 묻고 싶다. (…) 이순신 장군의 공적이야 두말할 나위도 없지만, 세종대왕을 비롯한 한국사의 다른 위인들을 현창(顯彰)하는 시설에 비해 현충사는 너무 컸다. (…) 대학시절 박 대통령의 현충사 성역화 작업을 비롯한 ‘이순신 영웅 만들기’에 비판적 시각을 가졌다. 무인(武人)의 역사적 업적을 두드러지게 함으로써 5ㆍ16 쿠데타를 정당화하고, ‘군사 독재’에 대한 비판 의식을 희석하려는 정치적 의도가 의심스러웠다. 그 정도의 의심이 아니더라도, 진보사학계에 박정희 대통령이야말로 진보학계가 친일파의 핵심이자, 비판해 마지않은 군사독재와 10월 유신의 장본인 아니던가. 그런 박 대통령이 본격적이고 대대적으로 띄운 인물이니, 이순신 장군도 평가절하해야 하지 않을까? (…) 어떤 이유로 누락했든, 집필자가 어떤 사관을 갖든 집필 단계에서의 학문과 양심의 자유는 존중돼 마땅하다. 다만 검정 절차에서 중대한 오류는 걸러져야 하고, 무리한 누락이나 과잉 기술도 수정ㆍ보완돼야 한다. 모든 검정 절차를 거쳐 교육현장에서 쓰이고 있는 교과서에 유관순 열사가 누락된 것은 검정절차의 허점을 드러낸 것이다. (…) 또한 이 문제로 보수ㆍ진보세력의 역사 갈등이 재연되거나 국정교과서 체제로의 회귀 주장에 순식간에 힘이 붙는 일도 바람직하지 않다. 경험상 교과서는 그저 교과서일 뿐 학생들의 역사인식을 좌우하지는 못한다.”

    *황영식, "이순신과 유관순", 한국일보, 2014. 8. 29일자. 

시청자 게시판

2,114개(10/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5285 2018.04.12
1933 블랙홀 100년 만에, 이론에서 실재가 되다 사진 신상구 264 2022.07.18
1932 인촌 김성수선생 통합 리더십, 대한민국 건국 계기 만들어 사진 신상구 484 2022.07.18
1931 김진표 국회의장, '제74주년 제헌절' 경축사 전문 신상구 301 2022.07.18
1930 103세 철학자 김형석 교수가 꼽은 늙지 않는 세가지 방법 신상구 375 2022.07.16
1929 세계화 시대 저물면 대한민국은 몹시 큰 피해자 중 하나가 될 것이다. 사진 신상구 253 2022.07.16
1928 신선이 노는 복되고 신성한 땅, 경주 낭산 사진 신상구 304 2022.07.15
1927 대전은 스토리의 보고 신상구 278 2022.07.14
1926 가짜 뉴스를 만들어서라도 가지고 싶었던 권력 사진 신상구 298 2022.07.13
1925 대전의 역사 이야기와 도시 정체성 사진 신상구 251 2022.07.13
1924 윤동주·장인환 등 독립유공자 156명 호적 생긴다 신상구 283 2022.07.12
1923 中도 원조 주장 못 펴는 '고려 인삼'의 원천 기술 사진 신상구 285 2022.07.10
1922 사또를 고소하는 자는 곤장 100대에 처한다 사진 신상구 326 2022.07.09
1921 국가 수학등급 최상위 승격, 필즈상 수상, 올해는 한국 수학의 해 사진 신상구 471 2022.07.09
1920 국학박사 신상구,『충남연구』통권9호에 학술논문「아산지역 상여연구」게재 사진 신상구 346 2022.07.09
1919 천부경은 우리 얼을 담은 최고의 경전 신상구 628 2022.07.02
1918 한국효문화진흥원, 사단법인 한국시조협회와 하계효문화포럼 개최 사진 신상구 395 2022.07.01
1917 한반도 비파형동검 분포 사진 신상구 520 2022.07.01
1916 백제의 ‘익산 천도론’ 비밀의 열쇠 수부 사진 신상구 329 2022.06.30
1915 세종의 정치 배신한 세종의 인재들 사진 신상구 428 2022.06.29
1914 소정 정훈 선생 유품 개인 소장자 대전문학관에 기증해야 사진 신상구 396 2022.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