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2020 대전의 사회지표 조사 현황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2.16 12:42

                                                                대전시민 2명 중 1명 “대전시민이라서 자랑스럽다”

   대전시가 조사한‘2020 대전의 사회지표’에 대전 시민의 2명 중 1명은 대전 시민이라서‘자랑스럽게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전시는 시민이 체감하고 느끼는 분야(소득·소비, 보건, 과학기술, 환경, 사회복지, 문화·여가, 안전, 공동체, 코로나19 등)에 대해 시대적 사회상과 시민의 생각을 진솔하게 담은‘2020 대전의 사회지표’조사 결과를 지난 10일 발표했다.

   ‘2020 대전의 사회지표’는 대전시 내 5,000가구(15세 이상 모든 가구원 약 1만 2,000명)를 대상으로 실시한 사회조사(2020. 8. 19. ~ 9. 29.)와 행정지표조사(공공기관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통계자료를 수집, 분석) 등의 과정을 거쳐 작성됐으며, 시민의 생각과 삶의 질 등 13개 관심 부문 156개 사회지표 항목을 담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년도에 이어 2020년에도 시민의 2명 중 1명은 대전 시민이라는 것이‘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답했고, 시민의 54.3%는 여전히 대전 시민이라는 것이‘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나타났다.

   대전지역 화폐‘온통대전’만족도는 사용 경험자 중에서 78.2%는 사용에‘만족’한다고 답했고,구별로 살펴보면, 서구의‘만족’ 비율 84.5%로 가장 높게 나타난 가운데, 동구의‘만족’ 비율은 69.8%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가계 부채의 주된 이유로는‘주택 임차 및 구입’을 꼽은 비율이 62.4%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사업·영농자금’(13.0%), ‘재테크 투자’(8.9%)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보면 30대의 80.2%가‘주택 임차 및 구입’을 주원인으로 꼽아 타 연령 대비 높았으며, 20대는‘기타 생활비’(19.3%) 응답이 타 연령대 대비 높게 나타났다.

   대전 시민의 절반 이상(56.2%)이‘공원 및 산 등의 산책로’에서 주로 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민간상업 체육시설’(17.8%), ‘집에서 간단한 운동’(15.8%), ‘학교체육시설’(4.3%)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고연령층은‘공원 및 산 등의 산책로’ 응답이 많고, ‘민간상업 체육시설’ 응답은 낮았다.

   이는 코로나19의 거리 두기 영향으로, 실외 시설이나 집에서 운동한다는 응답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대전시민은 미래 성장 동력확보를 위한 기술로는‘바이오, 의료’(19.5%), ‘인공지능(AI)’(16.6%), ‘자율주행차’(14.1%), ‘정보보안기술’(10.8%) 순으로 응답했다.

   연령별로는 나이가 많을수록 ‘바이오·의료’응답이 많았으며, 적을수록‘인공지능(AI)’ 응답이 많은 경향을 보였다.

   노인의 고충 문제로‘경제적 문제’와‘건강문제’(32.9%)로 공동 1위, 이어 ‘외로움·고독·사회적 소외’(24.9%), ‘소일거리 부족’(7.1%), ‘자녀와의 갈등’(2.2%)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건강문제’를 꼽은 비율은 전년(23.3%) 대비 9.6%로 크게 상승했는데 이는 코로나19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가장 선호하는 노인 복지서비스는‘노인일자리 제공’(38.0%), 다음은‘건강한 삶을 위한 의료서비스 확대’(35.4%), ‘소외노인 지원 강화’(1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시민들은 밤에 혼자 있을 때‘두렵지 않다’는 응답이 66.1%로, 전년 대비(2018년 52.9%) 13.2%가 상승했다.

   밤에 혼자 동네 골목길을 걸을 때‘두렵지 않음’ 응답도 48.1%로 전년 대비 (2018년 37.4%) 10.7%로 비율이 각각 크게 상승했다.

   대전 시민의 5명 중 4명(81.9%)은 소화기 사용 방법을‘인지’한다고 답했으며, 연령별로는 60세 이상(56.2%)을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인지’비율이 8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심폐소생술의 경우‘인지’하고 있는 비율은 71.6%로 전년(2018년 63.4%) 대비 8.2% 증가하였고, 성별로는 남성(78.4%)의‘인지’ 비율이 여성(65.0%)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전염병 등 발생 시 조치 요령에 대해서는‘인지’하는 비율은 81.8%로 전년( 2018년 66.2%) 대비 15.6% 증가하여, 최근 시대상을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

   ‘공기업’ 응답은 2018년 이후 3년 동안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어‘국가기관’(26.0%), ‘대기업’(17.3%), ‘전문직 기업(법률 회사· 일반적 회사 등)’(9.0%) 순으로 나타났다.

   직장 선호 이유는 ‘고용의 안전성’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직업 선택 시 ‘학력·기능·자격이 맞지 않아서’ 어렵다는 응답이 3년 연속으로 선택됐다.

   지난 1년(2019.8.1.~2020.7.31.) 동안 기부 경험이 ‘있다’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기부 횟수를 조사한 결과 1인당 평균 7.8회 후원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연평균 후원금은 28만 3천원으로 ‘기타’방법으로 후원한 금액(51만 6천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전 시민의 88.7%는 코로나19 감염이‘걱정된다.’고 응답하였으며, 연령별로는 나이가 많은 연령층일수록‘걱정된다.’는 응답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감염 예방 참여 정도는‘외출 시 마스크 착용’이 99.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비누로 손 씻기’, 손 소독제 사용이 95.5%, ‘행사·모임 참석 자제’ 94.0%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본인이 아닌 타인의 감염 예방 실천 정도를 물어본 결과 ‘실천한다.’는 응답이 91.7%로 높게 나타났다.
                                                                                             <참고문헌>
   1. 김태선, "2020 대전의 사회지표 발표 … 대전의 미래 성장 동력 확보 기술은‘바이오·의료’분야", 대전투데이, 2021.2.16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10/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878 2018.04.12
2245 충남 예산군 대술면에 위치한 한국토종씨앗박물관 이야기 사진 신상구 541 2024.07.30
2244 공화정 지키려 카이사르 암살, 결과는 제국의 탄생 사진 신상구 402 2024.07.28
2243 영화배우 유지태씨, 미국서 북한 인권 침해 실태 고발 사진 신상구 412 2024.07.28
2242 유럽 전도사 이원복 교수의 신유럽론 사진 신상구 405 2024.07.28
2241 지방대 신화 박근희 부회장의 성공 키워드 사진 신상구 736 2024.07.28
2240 유엔군 참전의 날을 경축하며 신상구 514 2024.07.28
2239 김호연재, 겉도는 남편에 치솟는 비통함, 240수 시로 달래 사진 신상구 440 2024.07.27
2238 임시정부 주석 네 차례 지내, 정치 반대파에게도 존경 받아 신상구 641 2024.07.26
2237 세종특별자치시, 대한민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선정 신상구 571 2024.07.25
2236 ‘독립문’ 글자 누가 썼을까 사진 신상구 694 2024.07.24
2235 대전시, 우수건축문화유산 308건, 동구·중구서 가장 많아 사진 신상구 466 2024.07.24
2234 귀여움을 이용해라, 우리 증산도의 귀여운 캐릭터를 만들어야 합니다. 안창현 670 2024.07.24
2233 명필로 이름날렸던 독립운동가 김가진 선생 서예전 23일 오전 서울 사진 신상구 423 2024.07.24
2232 '아침이슬'처럼 떠나 별이 된 김민기 사진 신상구 515 2024.07.24
2231 문명사적 변혁과 대혼란 사진 신상구 523 2024.07.23
2230 고통받은 프리다 칼로, 삶 예찬하는 수박 그림 남겨 신상구 595 2024.07.23
2229 한국화 대가 청전 이상범 사진 신상구 701 2024.07.22
2228 문학은 아름다운 사회를 만드는 백신이다 신상구 558 2024.07.22
2227 학전 이끈 '아침이슬' 김민기 별세 소식 사진 신상구 488 2024.07.22
2226 한국 독립운동사 연구의 큰 별, 박걸순 박사 타계를 애도하며 사진 신상구 453 2024.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