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나다운 나이듦이란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2.12 09:00

                                                                                        나다운 나이듦이란


    요즘 어떻게 나이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한 나이듦인가에 관한 논의가 다양하고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책도 나오고 잡지나 신문에도 관계기사가 나오고 유튜브에도 소개되고 있다. 학술논문도 여러 분야에 걸쳐서 제출된다. 내용은 대체로 비슷하다.
   주로 중장년세대의 관점에서 ‘나이듦=노화=고령화=퇴화=열화(劣化)=약화’로 보고 그와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변화‧ 증상‧상황을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좋은가에 대한 방법의 탐색인 경우가 많다. 내가 보기에는 대부분의 견해들이 좋게 이야기해서 만병통치약 같은 일반론이고, 비판하자면 공리공론에 불과하다.
    그래서 나 나름의 생각을 해보았다. 결국 나답게 나이 들어가는 것이 그런대로 무난할 것 같다. 할 말은 많지만 이번에는 용기 있는 나이듦에 대하여 세 가지만 이야기 해보려한다. 반론, 반박이어도 환영이고 평언 또한 환영이다.
    첫째는 외로움을 두려워하거나 불안해 하지 않고 정면 대처하는 가운데서 의미를 창출하기 위한 모험을 감행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 외로움을 잘 견디어 나가면서 뜻있게 활용하면 오히려 새로운 ‘가치공창(Value co-creation)’을 위한 절호의 기회가 될 수도 있지 않은가?
   결코 외로움에 굴복하거나 패배해서는 안 된다. 나이 들면 외롭다고 말하지만 젊을 때도 외롭지 않은 때보다 외로운 때가 더 많았는데, 그 절실함을 느끼지 못했거나 느꼈다 해도 불충분했던 것뿐이다. 삶이란 기본적으로 외로운 것이다.
나이 들어간다는 것은 외로움에 익숙해진다는 것이기도 하다. 나이 들어 외롭다고 호들갑 떨지 말고 의젓하게 견디도록 하자.
   둘째로 청소년세대나 중장년세대에게 따돌림 받거나 무시당하거나 혐오의 대상이 된다 해도 너무 슬퍼하거나 자멸‧ 자책‧ 자포하지 말자. 그들도 머지않아 똑같이 나이 들어 같은 처지에 놓이게 되면, 같은 경험을 하게 되는 인생살이의 자연스런 과정이라고 여기고 초연할 수 있는 용기를 가지고 달관할 수 있도록 하자.
   환심을 사고 호감을 갖게 하고 비위를 맞추기 위해서 아부할 필요가 없다. 나이에 걸맞는 마음가짐과 몸가짐을 반듯하게 견지하면 언젠가 나이듦이 가져다주는 신체적, 심리적, 영성적 변화의 실상을 그들도 알게 되겠지. 그들은 다만 아직 나이가 덜든 상태에서 나이든 인간의 애환을 충분히 깨닫지 못한 것뿐인 것이다. 너무 탓하지도 나무라지도 말자.
    셋째는 결국 언젠가는 죽음을 맞이하게 되는데 기품 있게 수용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 태어났으면 나이 들어가다가 죽게 되는 것이 생명의 어길 수 없는 법칙이다. 인간의 품위가 최종적으로 등급이 매겨지는 것은 어떻게 죽느냐에 달려있다.
   평소에 자기 나름의 생사관을 어느 정도 정리해둘 필요가 있다. 일반론이 아니라 나 자신의 생사관이 중요한 것이다. 그것은 인식의 문제라기보다는 자각의 문제요 그것을 의연하게 수용하는 용기의 문제다.
   결국 나다운 나이듦이란 외로움을 의미 있게 견딜 수 있는 용기, 혐오당해도 굴하지 않을 수 있는 용기, 그리고 죽음을 의연하게 맞이할 수 있는 용기, 즉 용기 있게 삶을 엮어가는 것이다. 비겁하지 말자. 굴종하지 말자. 절망하지 말자.
                                                                                       <참고문헌>
   1. 김태창, "나다운 나이 듦이란", 동양일보, 2020.10.27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10/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310 2018.04.12
2245 충남 예산군 대술면에 위치한 한국토종씨앗박물관 이야기 사진 신상구 522 2024.07.30
2244 공화정 지키려 카이사르 암살, 결과는 제국의 탄생 사진 신상구 388 2024.07.28
2243 영화배우 유지태씨, 미국서 북한 인권 침해 실태 고발 사진 신상구 398 2024.07.28
2242 유럽 전도사 이원복 교수의 신유럽론 사진 신상구 389 2024.07.28
2241 지방대 신화 박근희 부회장의 성공 키워드 사진 신상구 722 2024.07.28
2240 유엔군 참전의 날을 경축하며 신상구 498 2024.07.28
2239 김호연재, 겉도는 남편에 치솟는 비통함, 240수 시로 달래 사진 신상구 426 2024.07.27
2238 임시정부 주석 네 차례 지내, 정치 반대파에게도 존경 받아 신상구 627 2024.07.26
2237 세종특별자치시, 대한민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선정 신상구 555 2024.07.25
2236 ‘독립문’ 글자 누가 썼을까 사진 신상구 675 2024.07.24
2235 대전시, 우수건축문화유산 308건, 동구·중구서 가장 많아 사진 신상구 452 2024.07.24
2234 귀여움을 이용해라, 우리 증산도의 귀여운 캐릭터를 만들어야 합니다. 안창현 648 2024.07.24
2233 명필로 이름날렸던 독립운동가 김가진 선생 서예전 23일 오전 서울 사진 신상구 409 2024.07.24
2232 '아침이슬'처럼 떠나 별이 된 김민기 사진 신상구 503 2024.07.24
2231 문명사적 변혁과 대혼란 사진 신상구 507 2024.07.23
2230 고통받은 프리다 칼로, 삶 예찬하는 수박 그림 남겨 신상구 575 2024.07.23
2229 한국화 대가 청전 이상범 사진 신상구 672 2024.07.22
2228 문학은 아름다운 사회를 만드는 백신이다 신상구 546 2024.07.22
2227 학전 이끈 '아침이슬' 김민기 별세 소식 사진 신상구 473 2024.07.22
2226 한국 독립운동사 연구의 큰 별, 박걸순 박사 타계를 애도하며 사진 신상구 442 2024.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