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무당과 유생의 대결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2.08 02:42

                                                                      무당과 유생의 대결


   중국 산둥(山東)성 취푸(曲阜)의 공자(孔子) 묘에는 면류관을 쓰고 용포를 입은, 화려한 제왕의 모습을 한 공자의 신상이 있다. 일본 도쿄(東京) 유시마성당(湯島聖堂) 등 공자를 모신 사당도 신사처럼 화려하게 꾸며져 있다.
   그러나 한국 곳곳에 퍼져 있는 공자와 유학자들을 모시는 사당에는 그들의 이름을 새긴 위패만 놓여 있을 뿐이다. 500년 역사 유교의 나라 조선왕조를 거친 한국에서 공자와 유자들이 이렇게 ‘푸대접’받는 것은 어찌 된 일인가.
   비교종교학자 한승훈의 새 책 ‘무당과 유생의 대결’은 이 같은 물음에 대한 답이다. 저자는 송나라의 신유교로 무장한 조선의 지배층이 마치 서구 종교개혁을 이끈 프로테스탄트처럼 유교화라는 강력한 종교개혁을 밀어붙였다고 말한다. 이전의 유교가 국가 제도와 의례 체계에 머물렀다면 신유교는 불교와 도교의 영역이었던 우주론과 수양론까지 모두 대체하려는 시도로 나타났다. 조선의 설계자 격인 정도전의 ‘불씨잡변’이 신호탄이었다.
   문화 전반을 유교화하려는 조선의 종교개혁은 유교의 종주국인 중국보다도 더 급진적인 양상을 띠는데,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아이코노클래즘(iconoclasm), 즉 ‘형상에 대한 파괴’다. 16세기 들어 유생들은 불상을 파괴하고, 신당을 불태우고, 신상을 부숴 내다 버렸다. 성상 파괴는 공자상 철거에까지 이르렀다.
   이런 움직임은 조선왕조가 문을 닫을 때까지 이어져, 적어도 수도 한양에서는 사람들이 거대한 신상에 절하는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게 됐다.
   그러나 조선의 종교전쟁이 유자들의 일방적 승리로 끝난 것은 아니다. 한양 도성을 한 발짝만 나가도 유교의 영향력은 급속히 약해졌다. 도성 출입을 금하는 법제를 비웃기라도 하듯 궁궐 안까지 들어가 활동한 무당도 여럿 있었다.
   저자는 “망자(亡者)의 영과 죽음의 세계에 대한 접근권에서는 무당의 우세가 유지됐다”며 “결국 민속종교 무대에서 조선은 마지막 순간까지도 유교화를 완수하지 못했다”고 말한다.
                                                                                          <참고문헌>
   1. 오남석, "불상 신당 파괴했던 조선 유교...망자의 영역 무속의 힘은 넘지 못해", 문화일보, 2021.2.5일자. 12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10/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19907 2018.04.12
2245 충남 예산군 대술면에 위치한 한국토종씨앗박물관 이야기 사진 신상구 513 2024.07.30
2244 공화정 지키려 카이사르 암살, 결과는 제국의 탄생 사진 신상구 374 2024.07.28
2243 영화배우 유지태씨, 미국서 북한 인권 침해 실태 고발 사진 신상구 389 2024.07.28
2242 유럽 전도사 이원복 교수의 신유럽론 사진 신상구 382 2024.07.28
2241 지방대 신화 박근희 부회장의 성공 키워드 사진 신상구 715 2024.07.28
2240 유엔군 참전의 날을 경축하며 신상구 483 2024.07.28
2239 김호연재, 겉도는 남편에 치솟는 비통함, 240수 시로 달래 사진 신상구 417 2024.07.27
2238 임시정부 주석 네 차례 지내, 정치 반대파에게도 존경 받아 신상구 620 2024.07.26
2237 세종특별자치시, 대한민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선정 신상구 547 2024.07.25
2236 ‘독립문’ 글자 누가 썼을까 사진 신상구 667 2024.07.24
2235 대전시, 우수건축문화유산 308건, 동구·중구서 가장 많아 사진 신상구 443 2024.07.24
2234 귀여움을 이용해라, 우리 증산도의 귀여운 캐릭터를 만들어야 합니다. 안창현 636 2024.07.24
2233 명필로 이름날렸던 독립운동가 김가진 선생 서예전 23일 오전 서울 사진 신상구 403 2024.07.24
2232 '아침이슬'처럼 떠나 별이 된 김민기 사진 신상구 492 2024.07.24
2231 문명사적 변혁과 대혼란 사진 신상구 499 2024.07.23
2230 고통받은 프리다 칼로, 삶 예찬하는 수박 그림 남겨 신상구 564 2024.07.23
2229 한국화 대가 청전 이상범 사진 신상구 661 2024.07.22
2228 문학은 아름다운 사회를 만드는 백신이다 신상구 539 2024.07.22
2227 학전 이끈 '아침이슬' 김민기 별세 소식 사진 신상구 465 2024.07.22
2226 한국 독립운동사 연구의 큰 별, 박걸순 박사 타계를 애도하며 사진 신상구 435 2024.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