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6·10 만세 운동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2.06.11 05:20

                                     6·10 만세 운동


6.10 만세 운동. 일본 경찰이 만세 시위를 벌이려는 군중을 진압하고 있다.

  6·10 만세 운동(六十萬歲運動)은 일제 강점기 조선에서 학생을 중심으로 하여 일어난 독립운동이다. 순종의 인산일(因山日)인 1926년 6월 10일에 일어났기 때문에 6·10 만세 운동으로 명명되었다. 1926년이 간지로 병인년이므로 병인만세운동(丙寅萬歲運動)으로 불리기도 한다.

  6·10 만세 운동은 3·1 운동을 잇는 전국적·전민중적인 항일운동으로, 사전에 치밀하게 준비되었다. 그러나 일제는 3·1운동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하여 철저한 경계 태세를 갖추었고, 경성부에는 7000여 명의 육·해군을 집결시켰다. 주동자는 2차 조선공산당수 강달영, 사회주의계의 권오설김단야이지탁, 인쇄직공 민영식이민재연희전문의 이병립박하균중앙고보의 이현상경성대학의 이천진천도교의 박내원권동진 등으로, 이들은 10만장에 달하는 격문을 준비하고, 오전 8시 30분경 순종의 상여가 종로를 지날 때 일제히 만세를 부르고 격문을 살포, 수많은 사람들이 이에 호응했다.

  격문의 내용은 "일본 제국주의 타도," "토지는 농민에게," "8시간 노동제 채택," "우리의 교육은 우리들 손에" 등이었다. 6월 10일 순종의 인산에 참가한 학생은 2만 4000여 명이었다. 군중의 호응으로 시위가 확대되었으나 조직 사이의 유대 결여와 민족진영의 조직약화, 노총계 사회주의계열의 사전체포 등으로 일본 경찰에 저지당하여 곧 실패하였다.

   그러나 만세운동은 곧 전국으로 번져, 고창원산개성홍성평양강경대구공주 등지에서 대규모의 만세시위운동이 일어났다.

송진우는 정인보와 함께 순종의 유언을 위조하여 만세운동의 확산을 시도하였다.

   이 사건으로 천여 명이 체포, 투옥되었으며, 제2차 고려공산청년회 책임비서 권오설을 비롯한 다수의 공산당원이 체포됨으로써 제2차 조선공산당이 무너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1927년 신간회·근우회·신정회·연정회 등의 조선인 사회단체 조직과 1929년 11월의 광주 학생 운동(光州學生運動)에도 영향을 끼쳤다.

   이때 송진우는 정인보(鄭寅普)와 함께 순종의 '유칙' 위작(遺勅僞作)을 획책하였다가 발각되어 이루지 못하였다.  그들은 곧 6·10 만세 운동을 배후에서 조종한 혐의로 종로 경찰서에 불려가 취조를 받았다. 한편 수감된 공산주의자 박헌영 역시 배후 조종 혐의로 고문을 당했으나, 관련이 있다는 근거는 찾아내지 못했다.

   그해 11월 송진우는 3·1운동 7주년 기념사 관련 항소에서 패소하고 곧 서대문 형무소에 수감되었다.[ 이어 11월 ‘국제농민본부기념사’ 사건으로 징역 6월형이 확정되어 복역하였다가 1927년 2월 일본 신임 천황 히로히토 즉위기념 특사로 출옥하였다.

                                                                 <참고문헌>

   1. "6.10만세 운동", 위키백과, 2022.6.11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16/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19905 2018.04.12
2125 박기봉 비봉출판사 대표를 아는가 사진 신상구 873 2024.05.05
2124 조계총림 송광사 방장 현봉 스님 입적 신상구 524 2024.05.05
2123 <특별기고>대전 신흥초등학교 개교 100주년을 경축하며 사진 신상구 846 2024.05.04
2122 심수봉 명곡, '백만 송이 백만 송이 꽃은 피고' 감상 사진 신상구 604 2024.05.01
2121 만승(萬升) 김현길 국립교통대 명예교수의 향토문화 연구 편력 신상구 650 2024.04.30
2120 젊은이들에게 조국정신이 필요하다! 신상구 725 2024.04.30
2119 베를린 유학시절 황진남 아인슈타인 처음 만나 조선의 아인슈타인 열풍에 불 사진 신상구 564 2024.04.30
2118 <특별기고> 매헌 윤봉길 의사 상해의거 92주년을 경축하며 사진 신상구 1009 2024.04.30
2117 <특별기고>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생애와 업적과 탄신 479주 사진 신상구 1470 2024.04.29
2116 일본어 제친 한국어 열풍, 베트남선 영어와 동급 사진 신상구 554 2024.04.28
2115 기초과학연구원 아시아에서 일본 다음으로 노벨상 사관학교 구축 사진 신상구 508 2024.04.26
2114 사라진 판소리 7마당 사진 신상구 1618 2024.04.26
2113 학전블루 소극장, 2024년 3월 15일 33년의 역사를 뒤로하고 문 사진 신상구 633 2024.04.22
2112 <특별기고> 제57회 과학의 날의 유래와 기념식 개최 현황 사진 신상구 595 2024.04.22
2111 <특별기고> 4.19혁명 64주년을 경축하며 사진 신상구 641 2024.04.19
2110 셀트리온 창업자 서정진 인물 탐구 사진 신상구 1151 2024.04.18
2109 2024 기지시줄다리기 축제 성료 사진 신상구 691 2024.04.17
2108 한배달을 이끌 새로운 이사장 이종진 박사 초빙 소식 신상구 653 2024.04.17
2107 한암당 존페 위기 극복 요망 신상구 550 2024.04.17
2106 머지않아 도래할 인간 수준 인공지능 사진 신상구 971 2024.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