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일본계 미국인 슈쿠로 마나베와 독일의 클라우스 하셀만, 이탈리아의 조르조 파리시가 2021년 노벨물리학상 공동 수상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10.16 01:35

                                                       전체 115회에 걸쳐 218명이 영광…여성은 총 4명

                                                                 역대 최연소는 25세·최고령은 96세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이의진 기자 =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일본계 미국인 슈쿠로 마나베와 독일의 클라우스 하셀만, 이탈리아의 조르조 파리시가 공동 수상했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5일(현지시간) 기후의 물리학적 모델링과 지구온난화의 수학적 예측 가능성 증진에 기여한 공로로 마나베와 하셀만을, 원자에서 행성 단위에 이르기까지 물리학적 체계에서 무질서와 변동의 상호작용을 발견한 공로로 파리시를 물리학상 수상자로 공동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노벨상 가운데서도 물리학상이나 생리의학, 화학 등 과학 분야는 최근 수십 년 사이 이 분야의 연구 동향을 가늠케 해 더욱 큰 관심이 쏠린다.

   노벨 물리학상은 1901년부터 올해까지 총 115차례 수여됐으며, 제1·2차 세계대전 기간 등 6차례(1916년, 1931년, 1934년, 1940∼1942년) 수상자를 배출하지 못했다.

   올해까지 상을 받은 사람은 총 218명으로, 여성 수상자는 4명이다.

   노벨 물리학상을 두 차례 이상 받은 경우는 존 바딘이 유일하다. 그는 반도체 연구와 트랜지스터 발명으로 1956년 최초 수상했고, 1972년에 초전도 현상을 양자역학으로 설명하는 이론을 제시해 두 차례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역대 최연소 수상자는 영국의 윌리엄 로런스 브래그로 1915년 X선 회절에 관한 연구로 내놓아 수상했다. 당시 그는 25세에 불과한 학생 신분이었다.

   최고령 수상자는 미국의 아서 애슈킨으로 입자, 원자, 바이러스 등 매우 작은 물질을 손상 없이 집을 수 있는 광학 집게를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수상 당시 그는 96세였다.

   노벨물리학상은 1901년 X선을 발견한 뢴트겐이 처음 수상했으며, '가장 유명한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방사능 분야의 선구자인 마리 퀴리 등 유명 과학자 다수를 수상자로 배출했다.

연합뉴스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
[연합뉴스TV 제공]



                                다음은 2000∼2021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및 수상 업적.

   ▲ 2021년: 슈쿠로 마나베(미국), 클라우스 하셀만(독일), 조르조 파리시(이탈리아)

= 지구온난화 예측 가능성 증진, 기후 모델링 등 복잡계 연구를 발전시킨 공로

   ▲ 2020년: 로저 펜로즈(영국), 라인하르트 겐첼(독일), 앤드리아 게즈(미국)

= 블랙홀 연구에 기여

   ▲ 2019년: 제임스 피블스(미국), 미셸 마요르·디디에 쿠엘로(이상 스위스),

= 우주 진화의 비밀을 풀고 우주 속 지구의 위치를 밝히는 데 기여

   ▲ 2018년: 아서 애슈킨(미국), 제라르 무루(프랑스), 도나 스트리클런드(캐나다)

= 레이저 물리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레이저 파동 개발에 기여

   ▲ 2017년: 라이너 바이스(미국), 배리 배리시(미국), 킵 손(미국)

= 고급레이저간섭계중력파관측소(라이고·LIGO)로 중력파 존재를 실제로 확인

   ▲ 2016년: 데이비드 사울레스(영국), 덩컨 M 홀데인(영국), J 마이클 코스털리츠(영국)

= 위상(位相)적 상전이와 물질의 위상적 상을 이론적으로 발견

   ▲ 2015년: 가지타 다카아키(일본) 아서 맥도널드(캐나다)

= 중성미자 진동 발견

   ▲ 2014년: 아카사키 이사무·아마노 히로시(이상 일본) 나카무라 슈지(미국)

= 청색 발광다이오드(LED) 개발

   ▲ 2013년: 피터 힉스(영국)·프랑수아 앙글레르(벨기에)

= 힉스 입자 존재 예견

   ▲ 2012년: 세르주 아로슈(프랑스)·데이비드 J. 와인랜드(미국)

= 양자 입자 파괴 없이 측정 가능한 방법 발견

   ▲ 2011년: 사울 펄무터(미국)·브라이언 P. 슈미트(미국·호주)·애덤 G. 리스(미국)

= 초신성 연구로 우주의 '가속 팽창' 성질 규명

   ▲ 2010년: 안드레 가임(네덜란드)·콘스탄틴 노보셀로프(러시아·영국)

= 차세대 나노 신소재로 주목받는 2차원 그래핀(graphene) 연구 업적

   ▲ 2009년: 찰스 K. 가오(高)(영국·미국)

= 광섬유의 빛 전달과정 연구로 광통신 기초 마련

윌러드 S. 보일(캐나다·미국)·조지 E. 스미스(미국)

= 디지털영상 촬영에 쓰이는 전하결합소자(CCD) 센서 개발

   ▲ 2008년: 고바야시 마코토(小林誠)·마스카와 도시히데(益川敏英)(이상 일본)

= 자연계에서 쿼크의 존재를 보여주는 대칭성 깨짐의 기원 발견

난부 요이치로(南部陽一郞)(미국)

= 아원자물리학에서 자발적 대칭성 깨짐의 메커니즘 발견

   ▲ 2007년: 알베르 페르(프랑스)·페테르 그륀베르크(독일)

= 나노 기술 및 거대자기저항(GMR) 발견에 기여

  ▲ 2006년: 존 매더·조지 스무트(이상 미국)

= 극초단파 우주배경복사의 흑체 형태와 이방성(異方性) 발견, 은하와 별의 기원 연구에 기여

  ▲ 2005년: 로이 글로버(미국)

= 양자 광학이론 이용, 빛의 결맞음 이론 정립 공헌

존 홀(미국)·테오도어 헨슈(독일)

= 레이저 정밀 분광학 개발 기여

  ▲ 2004년: 데이비드 그로스·데이비드 폴리처·프랭크 윌첵(이상 미국)

= 원자핵 내의 강력과 쿼크의 작용 규명

  ▲ 2003년: 알렉세이 아브리코소프(러시아)·앤서니 레깃(영국)·비탈리 긴즈부르크(러시아)

= 양자역학 분야의 초전도와 초유동 현상 연구

  ▲ 2002년: 레이먼드 데이비스 주니어(미국)·고시바 마사토시(일본)

= 우주 중성미자 연구

리카도 지아코니(미국)

= 우주 X선 원천 발견으로 천체물리학에 기여

  ▲ 2001년: 에릭 코널·칼 위먼(이상 미국)·볼프강 케테르레(독일)

= 보스-아인쉬타인 응축물로 알려진 새로운 초저온 기체 물질 생성

  ▲ 2000년: 조레스 알페로프(러시아)·헤르베르트 크뢰머(독일)·잭 킬비(미국)

pual07@yna.co.kr

시청자 게시판

2,426개(13/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19905 2018.04.12
2185 숨은 독립운동가 백용성 스님 이야기 사진 신상구 702 2024.06.18
2184 서울대 관악캠퍼스 설립자 박정희 전 대통령 망각 너무한 것 아닌가 사진 신상구 874 2024.06.18
2183 몽골 울란바토르에 이태준 기념관 세운다 사진 신상구 532 2024.06.18
2182 2024 세계대학평가 사진 신상구 744 2024.06.17
2181 설봉 강백년의 삶과 문학 신상구 708 2024.06.17
2180 변화의 바람 부는 동구 대전역세권 옛 명성 되찾는다 사진 신상구 467 2024.06.14
2179 정문술 전 미래산업 회장 별세 사진 신상구 581 2024.06.14
2178 이중섭 미공개 편지화 3장 서울미술관 특별전서 공개 사진 신상구 477 2024.06.14
2177 한글 우수성 외국에 알린 호머 헐버트 선교사 사진 신상구 1369 2024.06.14
2176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 스님, 禪명상 보급 진두지휘 사진 신상구 670 2024.06.13
2175 도산 안창호선생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의 사진 신상구 709 2024.06.13
2174 한 최초 칸 취화선 속 달항아리, 세계에 우리의 것 위상 높였다. 신상구 791 2024.06.12
2173 베네치아 비엔날레와 한국 작가들 사진 신상구 715 2024.06.11
2172 보문산 동굴 일제 군사용 목적과 민간신앙 활용 독특한 사례 사진 신상구 877 2024.06.11
2171 6.10 정신으로 민주주의 되살려야 신상구 637 2024.06.11
2170 세계 양자 물리학계 스타였던 한국계 과학자 남세우 박사 별세 신상구 594 2024.06.11
2169 삶의 추억 원로시인 김광림 별세 신상구 624 2024.06.10
2168 단오절의 유래와 풍습 신상구 448 2024.06.10
2167 호암미술관 고미술 기획전'진흙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 6월16일 폐막 사진 신상구 941 2024.06.09
2166 불교 조계종 대종사 옹산 스님, 불교의 '참된 진리' 사람들에 전하며 올 사진 신상구 472 2024.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