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소설가 김주영 <객주> 초고, 세상 다 줘도 못 바꿔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4.02 01:19

     

                           소설가 김주영 <객주> 초고, 세상 다 줘도 못 바꿔 



김주영 소설가가 객주문학관 3층 전시실에서 대하소설 ‘객주’의 육필 원고를 들어 보이고 있다. /신현종 기자© 제공: 조선일보

집에 있는 날은 한 달에 열흘도 채 안 됐다. 극단적으로 작은 글씨는 짐을 줄이기 위한 묘수였다. 소설가 고(故) 이문구는 김주영의 노트를 보고 “이것은 그의 피다. 피 흘리는 김주영의 모세혈관”이라고 평했다. 작가의 치열함, 치밀함의 정수 그 자체라는 것이다. 연재가 끝난 해에 창작과비평사에서 ‘객주’를 9권의 책으로 묶어 냈다. 이후 2013년 마지막 10권을 내면서 연재를 시작한 지 34년 만에 마침표를 찍었다.

2014년 객주문학관이 개관한 이래 김주영은 고향 청송에 내려와 지낸다. 대부분 시간은 문학관 내 집필실 ‘여송헌’과 진보면 모처의 작업실에서 보낸다. 그는 “고향을 떠올리면 아픈 기억밖에 없다”고 했다. 물로 배를 채우는 날이 허다했고, 소풍 날에는 도시락통에 삶은 감자 한 알을 넣어갈 정도로 가난했다. 이날 점심, 인근 식당에서 기자와 갈치조림을 먹으면서도 그는 감자를 골라냈다. “그때 생각이 나서 못 먹습니다.” 하지만 장이 열리던 날을 떠올리면서는 눈을 반짝였다. “내 앞에 펼쳐진 진풍경에 매혹돼 장날마다 학교를 빠졌습니다. 그게 결국 ‘객주’의 시작이었던 셈입니다.”

◇우리말 갈래 노트와 저울추

21일 오후 경북 청송군 객주문학관에서 김주영 소설가의 ‘객주’ 육필원고와 전시물. /신현종 기자© 제공: 조선일보
21일 오후 경북 청송군 객주문학관에서 김주영 소설가의 ‘객주’ 육필원고와 전시물. /신현종 기자© 제공: 조선일보
21일 오후 경북 청송군 객주문학관에서 김주영 소설가의 ‘객주’ 육필원고와 전시물. /신현종 기자© 제공: 조선일보

“이 문학관에 오는 관람객들이 ‘옛날 거 많이 모아놨구나’ 이야기를 해요. 그럴 때 저도 ‘아, 내가 옛날 사람이구나’ 하는 느낌을 받지요.” 김주영은 이날 문학관에서 또 다른 ‘보물’을 공개했다. 소설 ‘객주’를 쓸 당시 참고하기 위해 그가 직접 정리한 ‘우리말 갈래 노트’들이다. ‘객주’는 그 시대의 말을 제대로 살린 소설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작가 자신도 집필 당시 필요한 단어를 꼼꼼히 정리해 자기만의 우리말 갈래 사전을 만든 것이다.

말[馬]과 관련된 단어만 정리한 노트 한쪽만 봐도 생소한 말이 가득하다. “구마(마구간에 있는 말), 기재마(타기도 하고 짐도 싣는 말), 관전마태(고을에서 관마와 군마를 사육하는 사료로 쓰는 콩), 먹총이(검은 털과 흰 털이 섞여 난 말), 이도수아(청록 또는 홍록으로 땋은 두 가닥의 끈을 말 굴레의 장식으로 드리우는 것)….”

그는 과거 한 출판사로부터 ‘옛말이 너무 어려우니 쉬운 말로 고쳐서 다시 내자’는 제안도 받았지만 끝내 거절했다. “호텔에 가서 쓰든, 외국에 가든 경비를 다 대줄 테니 쉬운 말로 고쳐서 내면 아주 많이 팔릴 거라고…. 한동안 나도 그 유혹에 빠졌는데, 그 단어를 찾기 위해서 내가 얼마나 고생했나. 여기에 딱 맞는 말을 찾기 위해 숱한 밤을 새우지 않았나. 못 바꾸겠더라고.”

전국 각지를 떠돌며 모은 재래식 저울추 50여 점도 그의 애장품이다. “상인들한테 돈 주고 사기도 하고, 골동품점에서 사기도 했다”며 “어디서 어떻게 가져왔는지는 이제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했다. “정말 흥미로운 물건입니다. 물건의 가치가 저울에 의해서 결정되거든요. 저울이 생기면서 규격화가 된 거지요.” 조선 후기 보부상 집단의 출현과 그 상업 활동을 소설로 담아낸 ‘객주’를 써낸 작가에게 보부상들이 써왔던 저울추는 ‘초기 자본주의의 씨앗’과도 같은 매혹적인 물건이라고 했다.

                                                                    <참고문헌>

   1. 황지윤, "노트 20권에 3mm 글씨로 까맣게 채운  소설<객주> 초고, 세상 다 줘도 못 바꿔", 조선일보, 2024.3.26일자. A18면.

시청자 게시판

2,123개(3/107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6623 2018.04.12
2082 대전시 2048년 그랜드 플랜 가동 신상구 52 2024.03.13
2081 20년간 공고해진 좌편향 ‘한국사 시장’ 오류 저격하는 젊은 역사 유튜버 사진 신상구 40 2024.03.11
2080 <특별기고> 대전 3.8민주의거 제64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기 사진 신상구 68 2024.03.10
2079 영화 '파묘' 처럼... 현충원 친일파, 언제쯤 들어낼 수 있을까 사진 신상구 47 2024.03.09
2078 소운서원 이정우 원장, 동·서양 아우른 첫 ‘세계철학사’ 완간 신상구 57 2024.03.07
2077 누구나 읽을 수 있는 백화문으로 위안스카이 독재 비판 사진 신상구 44 2024.03.07
2076 민족사학의 큰별, 박정학 한배달 이사장 별세 사진 신상구 50 2024.03.04
2075 한국이 그려야 할 선진국의 모습 사진 신상구 86 2024.03.04
2074 영화 '파묘'보다 더 기겁할만한 일제의 만행들 사진 신상구 50 2024.03.04
2073 소설가 한강 , 한국 최초 프랑스 4대 문학상인 '메디치상' 수상 신상구 37 2024.03.03
2072 누가 자꾸 역사의 시계를 과거로 되돌리나 사진 신상구 68 2024.03.03
2071 현대사회에서 종교는 정말 필요 없어졌나 사진 신상구 51 2024.03.02
2070 3·1운동은 통일로 완결 사진 신상구 41 2024.03.02
2069 한국의 파브로 석주명 박사의 생애와 업적 사진 신상구 55 2024.02.29
2068 ‘조선 독립 호소’ 외교문건 12점 첫 공개 사진 신상구 85 2024.02.29
2067 &lt;특별기고&gt; 3.1운동의 원인과 경과와 영향 사진 신상구 59 2024.02.28
2066 시부는 중국, 남편은 북한... 죽어서도 가족 못 보는 비운의 독립운동가 사진 신상구 99 2024.02.27
2065 ‘토종 박사’ 차미영 교수, 한국인 첫 獨 막스플랑크 연구소 단장 선임 신상구 68 2024.02.26
2064 풍수를 한국 전통지리학으로 정초한 최창조 선생을 기리며 사진 신상구 83 2024.02.26
2063 <특별기고> 2024년 정월대보름 맞이 대동 장승제 봉행을 경 사진 신상구 100 2024.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