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戰後 일본의 양심’ 오에 겐자부 타계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3.03.14 16:31

           ‘戰後 일본의 양심’ 오에 겐자부 타계

3일 노환으로 별세 뒤늦게 알려져… 日 역대 두번째 노벨문학상 수상
일왕제 비판하며 문화훈장 거부… 韓 위안부 문제에 日 사과 요구도
3일 별세한 일본 작가 오에 겐자부로는 전후 세대를 대표하는 일본 지성의 양심으로 통했다. 동아일보DB3일 별세한 일본 작가 오에 겐자부로는 전후 세대를 대표하는 일본 지성의 양심으로 통했다. 동아일보DB
  제2차 세계대전 패전 이후 일본 청년들의 정신 상황을 표현하며 일본 문학을 대표한 작가 오에 겐자부로(大江健三郞)가 3일 노환으로 별세했다고 일본 언론이 13일 보도했다. 향년 88세.

  ‘설국’ 작가 가와바타 야스나리(1968년) 이후 일본인으로는 두 번째로 1994년 노벨문학상을 받은 고인은 1935년 에히메현에서 태어나 도쿄대 불문과에 다니던 1958년 단편 ‘사육’으로 등단했다. 그해 23세이던 그는 사육으로 최고 권위 신인문학상인 아쿠타가와(芥川)상을 최연소로 수상했다. 이 작품은 패전 이후 일본 사회의 불안감을 섬세하게 그려냈다.

  그에게 노벨문학상을 안긴 대표작 ‘만엔 원년의 풋볼’(1967년)은 패전 후 미일안보조약 체결 반대 투쟁, 재일조선인과 일본인 간의 갈등을 배경으로 일본인이 겪은 정신적 공황을 통해 인간 실존 문제를 적나라하게 묘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1963년 장애인 아들 히카리를 낳아 기른 경험을 토대로 이듬해 장애인의 출생을 주제로 인권을 유린당한 전후 세대 문제를 파헤친 작품 ‘개인적인 체험’을 펴냈다. 고인은 스페인 언론인 사비 아옌과의 인터뷰에서 “작가로서 나는 아들의 삶을 통해 보는 세상을 묘사했다. 나한테는 히카리가 현실을 여과하는 렌즈였던 셈”이라고 말했다. ‘공생(共生)’이라는 작품 세계의 주요 주제를 던져준 것도 아들이었다. 히카리는 현재 유명 작곡가로 활동 중이다.


  스스로를 전전(戰前·제2차 세계대전 이전) 일왕제 중심의 초국가주의와 군국주의적 사회 지배구조를 벗어난 ‘전후 민주주의자’라고 칭한 고인은 사회주의 계열 잡지 세카이(世界)에 히로시마를 취재한 경험과 소회를 담은 ‘히로시마 노트’를 연재하며 반핵(反核)과 반전을 주장했다.

  ‘전후 일본의 양심’ ‘살아 있는 지성’으로 불린 그는 일본 정부가 노벨상 수상자에게 관례적으로 수여하던 문화훈장을 “국가와 관련된 훈장”이라며 거부했다. 국가주의와 일왕제에 비판적이었고 평화헌법 수호 단체 ‘헌법 9조를 지키는 모임’의 중심 구성원이었다.

  • 그는 노벨문학상 시상식에서 “일본이 아시아인들에게 잘못을 저질렀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라며 일본의 반성을 촉구했다. 또 1995년 동아일보가 후원한 ‘해방 50년과 패전 50년’ 심포지엄을 위해 한국을 찾은 고인은 김지하 시인과의 대담에서 “일본은 패전 후 신생(新生·새로운 삶)을 위해 한국인에게 사죄하고 과거 죄과를 청산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못했다”고 일갈하기도 했다.

                                                      <참고문헌>
    1. 이상훈, " ‘戰後 일본의 양심’ 오에 겐자부로 떠나다", 동아일보, 2023.3.14일자. A26면. 




시청자 게시판

2,140개(25/107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6992 2018.04.12
1659 대전 '혁신도시' 지정 쾌거 사진 신상구 1080 2021.06.13
1658 신미양요 150주년 사진 신상구 404 2021.06.13
1657 충청민의 염원 ‘충청대망론’ 부활 움직임 사진 신상구 419 2021.06.13
1656 고사위기의 지방대, 원도심 캠퍼스타운 조성이 해법이다 신상구 368 2021.06.13
1655 한국은행 머릿동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글씨 정초(定礎) 그대로 보 사진 신상구 1053 2021.06.13
1654 북한 MZ세대, 北 체제 흔든다 사진 신상구 539 2021.06.12
1653 3000년을 거슬러 올라가는 현충원의 기원 사진 신상구 395 2021.06.12
1652 6만년 전 네안데르탈인, 동물 뼈에 홈 뚫어 숫자 셌다 신상구 430 2021.06.11
1651 계룡산국립공원 지정과 620사업 사진 신상구 623 2021.06.11
1650 <특별기고> 제66회 현충일을 맞이하여 첨부파일 신상구 785 2021.06.11
1649 <특별기고> 제26회 세계 환경의 날을 맞은 한국의 주요 환경 첨부파일 신상구 551 2021.06.11
1648 난관 맞이한 한중 관계 사진 신상구 419 2021.06.09
1647 일중 김충현’ 탄생 100주년 기념 서울 백악미술관서 특별전 개최 사진 신상구 525 2021.06.09
1646 제26회 환경의 날을 맞이하여 신상구 364 2021.06.05
1645 공직자의 양심과 인격을 팔지 말라는 국민의 경고 신상구 386 2021.06.05
1644 조총에 쓰러진 수많은 조선 동학농민군 사진 신상구 454 2021.06.05
1643 &lt;특별기고&gt; 제11회 의병의 날의 역사적 의의와 신상구 461 2021.06.04
1642 의당 박세화 선생의 절명시(絶命詩) 원본, 111년만에 공개 사진 신상구 343 2021.06.01
1641 상해임시정부 법무총장을 지낸 예관 신규식 선생 사진 신상구 2296 2021.05.29
1640 ‘반일’ 이전에 ‘항청’, 속국을 거부한 조선의 싸움 사진 신상구 390 2021.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