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쌀 종주국 한국의 긍지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3.03.02 10:55

 

                                                  쌀 종주국 한국의 긍지



   가난했던 보리고개 시절 우리 국민이 가장 원했던 것은 무엇이었을까. 실컷 쌀밥을 먹었으면 하는 염원이었을 게다. 지금도 식량사정이 좋지 않은 북한 주민들에겐 '하얀 쌀밥에 고기국'이 간절한 소망인지도 모른다.

  어린 시절 어머니들은 아침밥을 지을 때만 쌀을 사용했다. 깡 보리 위에 살짝 쌀을 올려놓고 도시락과 연세 많은 어른들의 밥을 푸고 나면 나머지 식구들은 쌀밥 구경하기가 힘들었다.

  내 고향 서산은 곡창지대라서 쌀이 풍부했지만 가난한 주민들의 삶은 마찬가지였다. 겨울 철 하얀 눈이 오면 대부분 어머니들은 '저 눈이 쌀이었으면 얼마나 좋을까'라고 탄식했던 것을 기억한다.

  지금은 쌀이 칼로리가 높은 탄수화물이어서 날씬한 몸매를 추구하는 현대인들이 외면하는 풍조가 생겼으니 금석지감이 있다. 쌀이 남아돌아가 전국의 쌀 창고마다 골치를 앓은 적이 있었다.

  삼사십년 전만 하더라도 쌀로 밀주를 만들어 먹다 걸리면 벌금을 물어야 했다. 새참용으로 쓸 가양주도 마음대로 만들어 먹지 못했다. 밀주 단속반이 시퍼런 눈을 뜨고 농가를 급습하는 일도 있었다.

   술독에 쌀밥과 누룩을 섞어 넣고 아랫목에 놓으면 보글보글 가스가 올라오면서 향긋한 술 냄새가 죽인다. 꿀꺽 침 넘어가는 것을 막을 수 없으니 어찌하랴.

   술이 아직 안됐는데 몰래 용수를 박고 살짝 떠먹으면 입에 쩍쩍 달라붙는 맛이 최고다. '엄니 술 다 됐어유~. '아이고 승질도 급혀~ 하루 더 둬야 혀~' 지금은 옛 분들이 모두 이 세상을 떠났으니 모두 그리운 추억이 되고 말았다.

   얼마 전 까지만 해도 쌀 종주국은 중국이며 양자강 상류에서 출토된 볍씨가 최고라는 지식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 쌀 종주국은 한국이었으며 이는 청주시 소로리에서 출토 된 볍씨가 가장 오래 된 것이라는 연구결과 세계에서 공인 됐다는 지식을 얻었다.

   소로리볍씨는 중국 보다 훨씬 오래인 1만 2~3천년전의 탄소측정이 나왔다. 양자강 볍씨보다 2천여년이나 오래 된 것이라고 한다. 이를 소개한 한국 관광공사 유트뷰를 보니 재미난 지식을 얻을 수 있다.

   우리 한국의 벼농사 역사가 세계 최고라는 것은 자랑스러운 일이다. 매일 쌀밥을 지어 먹으면서도 이런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청주 소로리는 바로 미호쳔 유역이며 세종시와 가장 가까운 곳이다. 이 곳을 흐르는 미호천은 세종시를 관통하여 대평리에서 공주 금강에 합류한다.

   소로리 볍씨는 이미 한국에서는 구석기 시대부터 쌀 농사를 지으면서 살았다는 것을 알려주는 자료라고 한다. 대전 괴정동에서 출토 된 청동기에서 농사를 짓는 그림이 나오고 있다는 점이다. 필자가 현재 살고 있는 갑천 일대에서도 수 천년 조상들이 쌀 농사를 지으며 살았다는 것을 알려주는 자료라고 한다.

   얼마 전 한 신문을 보니 한국인의 IQ가 세계에서 가장 높다고 한다. 이웃인 일본, 중국인들보다 뛰어나다. 5천년 역사동안 이 민족의 숱한 외침을 당하면서 민족성을 지켜온 것도 이런 우수한 DNA가 있기 때문이 아닐까.

   세종대왕은 한글을 창제하여 우리가 세계 속에서 가장 우수한 민족으로 설수 있도록 했다. 지금 세계 여러 나라가 한글을 모국어로 쓰려고 배운다.

   미국, 영국, 프랑스, 아프리카, 동남아 청년들이 BTS의 한국 노래를 따라 부른다. 가난했던 한국, 쌀밥을 그리워했던 대한민국이 이제 선진국 대열에 섰다. 많은 분야의 지표가 일본을 앞지르고 있다. 오늘따라 뿌듯한 심정이며 한국인으로 태어난 것이 자랑스럽게 느껴진다. 
                                                                 <참고문헌>

   1. 한평용, "쌀 종주국 한국의 긍지", 중도일보, 2023.2.19일자.



시청자 게시판

2,150개(25/108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7829 2018.04.12
1669 자율주행 연구의 선구자인 한민홍 박사 이야기 사진 신상구 2650 2021.06.18
1668 인천 외국인묘지 군상 사진 신상구 1853 2021.06.16
1667 6.15 남북공동선언 21주년의 역사적 의의 신상구 371 2021.06.16
1666 탄소중립, 환경과 생존 그리고 복지 신상구 522 2021.06.16
1665 국가보훈 대상자 84만7565명 중 1600여명 비닐하우스-판잣집 살아 사진 신상구 447 2021.06.16
1664 혁신도시 등 호재 입은 대전역, 新 성장동력 핵심으로 뜬다 사진 신상구 2760 2021.06.15
1663 국민은 변화를 넘어 개혁을 원한다 사진 신상구 314 2021.06.15
1662 신라 유물의 타임캡슐, 경주 월지 사진 신상구 978 2021.06.15
1661 홍성으로 돌아온 '홍주의병 대마도 유배일기' 사진 신상구 2276 2021.06.15
1660 태안군, 역사자원 체계적인 보존 정비. 역사 관광 기반 마련 사진 신상구 401 2021.06.13
1659 대전 '혁신도시' 지정 쾌거 사진 신상구 1090 2021.06.13
1658 신미양요 150주년 사진 신상구 410 2021.06.13
1657 충청민의 염원 ‘충청대망론’ 부활 움직임 사진 신상구 425 2021.06.13
1656 고사위기의 지방대, 원도심 캠퍼스타운 조성이 해법이다 신상구 375 2021.06.13
1655 한국은행 머릿동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글씨 정초(定礎) 그대로 보 사진 신상구 1056 2021.06.13
1654 북한 MZ세대, 北 체제 흔든다 사진 신상구 543 2021.06.12
1653 3000년을 거슬러 올라가는 현충원의 기원 사진 신상구 402 2021.06.12
1652 6만년 전 네안데르탈인, 동물 뼈에 홈 뚫어 숫자 셌다 신상구 446 2021.06.11
1651 계룡산국립공원 지정과 620사업 사진 신상구 638 2021.06.11
1650 <특별기고> 제66회 현충일을 맞이하여 첨부파일 신상구 797 2021.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