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원칙과 신념을 굽히지 않고 행동으로 보여준 일본의 지식인 오에 겐자부로 타계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3.07.04 04:22

 원칙과 신념을 굽히지 않고 행동으로 보여준 일본의 지식인 오에 겐자부로 타계

읽기모드 글자크기 설정 레이어 열기 뉴스듣기 프린트
  1960년대 일본 문학계에서는 ‘엄청난 재능을 지닌 작가가 나타나서 작가 지망생들이 붓을 꺾었다’는 말이 돌았다. 그 주인공이 1994년 노벨문학상을 받은 오에 겐자부로다. 1950년대 후반 등단해 ‘만연원년(万延元年·1860년)의 풋볼’ 등 세계적 명작들을 남긴 그가 타계했다고 일본 언론이 13일 전했다. 오에를 추모하는 이들은 대문호로서의 명성 못지않게 ‘일본의 양심’으로 그를 기억한다.

  “일왕이 사람의 목소리로 말한다는 것에 놀랐고 실망했다.” 오에는 1945년 8월 15일 라디오로 일왕의 항복 선언 연설을 들었던 순간을 이렇게 기억했다. 1935년 태어나 군국주의 교육을 받았던 그는 어릴 적 “일왕은 신비한 하얀 새와 비슷할 것”이라고 상상했다. 그런데 일제의 패망과 함께 일왕 역시 사람임을 깨달은 것이다. 당시 느꼈던 충격과 미 군정 체제에서 경험한 민주주의가 오에의 세계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1958년 소설 ‘사육’으로 일본 최고 권위의 문학상인 아쿠타가와상을 최연소 수상하며 필명을 떨치기 시작했다. 하지만 1963년 아들이 중증 장애를 안고 태어나면서 그의 삶은 크게 바뀐다. 낙담한 오에는 생후 한 달 된 아들을 병원에 놔둔 채 히로시마로 떠났다. 하지만 원폭 피해자들을 돌보던 의사에게서 ‘아픈 사람이 있다면 우리는 뭔가를 해야만 한다’는 말을 듣고선 “너무나 부끄러웠다”고 미 뉴요커와의 인터뷰에서 회고했다. 도쿄로 돌아와 아들을 돌보며 쓴 소설 ‘개인적 체험’ 등은 그의 대표작이 됐다. 그는 “아들과 공동 집필한 것이나 다름없다”고 했다.

  오에는 평소 조용하고 배려심이 깊은 인물이었다. 한국인들이 자택으로 찾아온다고 하면 문패 위에 한글로 이름을 써서 붙여놨을 정도였다고 윤상인 전 서울대 교수는 전했다. 하지만 폭력, 특히 국가의 폭력에는 강하게 반대했다. 그는 에세이에서 “권력이 쌓아올리는 사실에 대해서는, 민주주의적으로 저항하는 목소리를 한결같이 계속 내는 길밖에 없다”고 썼다. 그리고 이를 실천으로 옮겼다.


  오에는 “일본은 아무리 사죄해도 충분하지 않을 만큼 엄청난 범죄를 한국에 저질렀다”며 지속적으로 일본 정부에 사과를 요구했다. 그는 신사참배에 반대하고, 일왕이 주는 문화훈장을 거부했다는 이유 등으로 극우세력에게서 살해 위협을 받기도 했다. 협박 전화가 너무 많이 와서 지인들과는 전화 대신 팩스로 연락을 주고받았다고 한다. 그런데도 그는 노년까지 집회에 참여해 “평화헌법을 지켜야 한다”고 호소했다. 원칙과 신념을 굽히지 않고 행동으로 보여준 일본의 지식인이 또 한 명 귀천했다는 소식이 안타깝다.
                                                 <참고문헌>

  1. 장택동, "‘일본의 양심’ 오에 겐자부로 잠들다", 동아일보, 2023.3.14일자. 


시청자 게시판

2,128개(18/107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6725 2018.04.12
1787 2000년간 내려온 유태인의 사람 분별법 사진 신상구 468 2021.12.29
1786 대전 소제동에 근대역사문화공간 조성 사진 신상구 575 2021.12.28
1785 매력적인 글쓰기의 8S 법칙 신상구 313 2021.12.27
1784 중국에 바친 여자, 공녀(貢女) 이야기 사진 신상구 366 2021.12.26
1783 대전대 한상수 교수, 은사 한성기 시인 편지 모아 책 발간 화재 사진 신상구 374 2021.12.26
1782 단재 신채호 선생 탄신 141주년을 경축하며 신상구 426 2021.12.25
1781 2300년 전 거대 제국을 이룩했던 흉노의 비밀병기는 메신저 사진 신상구 565 2021.12.25
1780 카메라 사진과 견주어도 손색없는 조선의 초상화 사진 신상구 341 2021.12.24
1779 역사왜곡금지법 찬반논쟁 사진 신상구 700 2021.12.23
1778 한국과 호주의 동병상련·동상이몽 사진 신상구 326 2021.12.22
1777 초기 자본주의 문을 연 스콜라철학 사진 신상구 336 2021.12.22
1776 해발 734m의 육십령, 고대 가야 반파국의 철광석 로드 신상구 331 2021.12.21
1775 디지털 혁명 시대를 맞이한 AI의 미래의 탐험 여행 신상구 333 2021.12.21
1774 가장 이상적인 국제질서 유지에 적합한 자유주의적 국제주의 신상구 327 2021.12.19
1773 백제와 일본의 닮은 꼴 사찰 사진 신상구 336 2021.12.18
1772 조선민족 대동단 실체 사진 신상구 423 2021.12.18
1771 한민족 사진 140년사 사진 신상구 437 2021.12.18
1770 평화통일의 필요성 신상구 446 2021.12.18
1769 [특별기고] 제9회 '세계천부경의 날'의 역사적 의미와 당면 과제 사진 신상구 416 2021.12.16
1768 박수근 화백의 미술세계 : 고목과 여인 사진 신상구 438 2021.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