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한국 최초의 소설 <금오신화>의 저자 김시습 이야기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03.27 20:10

                                                             한국 최초의 소설 <금오신화>의 저자 김시습 이야기

   세종 다음 문종이 즉위했으나 3년 만에 세상을 떠나자 그의 아들 단종이 즉위했다. 겨우 나이 12세.
   이 틈을 노려 단종의 숙부인 수양대군이 김종서와 황보인 등 원로 중신들을 죽이고 단종을 폐위시켰으며 끝내 죽음에 이르게 했다.
   이에 성삼문, 박팽년 등 6명의 신하들이 단종 복위운동을 벌이다 거사 직전 발각되어 처참한 고문 끝에 사형을 당했는데 이들 여섯 신하를 '사육신(死六臣)'이라 한다.
   이때 죽음으로 세조에 저항한 사육신과는 달리 살아서 세조가 내리는 일체의 벼슬을 거부하고 숨어 살거나 방랑으로 일생을 살다간 여섯 신하는 '생육신(生六臣)'.
   김시습, 원호, 이맹전, 조려, 성담수, 남효온 등이 그들이다. 특히 김시습(金時習)은 서울 한강변에서 성삼문 등 사육신의 흩어진 시신을 수습하여 노량진에다 묘를 썼다. 이것이 지금도 노량진에 보존돼 있는 '사육신묘'다.
   '반역죄인'으로 죽음을 당하면 시신도 거둘 수 없을 때인데 김시습은 위험을 무릅쓰고 밤을 이용하여 이 일을 해낸 것이다. 매월당(梅月堂)이라는 호를 가진 김시습. 그는 1435년에 태어났는데 불과 세 살 때 한문으로 시를 짓는 등 신동 소리를 들어 다섯 살 때는 세종 임금이 특별히 궁궐로 불러 시를 짓게 했다. 세종은 그 글솜씨에 감탄하여 비단 50필을 하사하기도 했다.
   이렇듯 학문에 매진하던 김시습은 세조가 어린 단종을 내쫒고 왕위를 찬탈한 것에 실망, 책을 불태우고 삼각산 중흥사에 들어가 삭발을 했다. 법명은 설잠(雪岑).
   그러는 한편, 김시습은 간신들이 나라를 어지럽히고 자신들의 권력에 집착하여 백성에게 분노를 일으키는 내용의 소설을 썼다. '금오신화'. 그가 직접 목격한 세조의 왕위 찬탈과 그에 충성하는 신하들의 추태를 빗대어 쓴 소설이다.
   한문으로 쓰여졌으나 우리 나라 최초의 소설로 평가 받고 있다. 그 당시 양반 귀족사회에 큰 충격을 준 것은 물론이다.
   집권자들이 '백성은 생각하지 않고 벌떼처럼 권력을 찾아 헤매는 간신배들'로 묘사했으니 그럴만도 했다. 결국 50대 후반에 들어 세상을 조소하며 유랑하던 김시습은 충남 부여군 외산면에 있는 무량사에 정착, 말년을 보냈다.
   왜 그는 부여 무량사에 마지막 일생을 맡겼을까?
   어쩌면 그는 무량사를 병풍처럼 에워싸고 있는 만수산 풍치에 반했을 지도 모른다. 울창한 송림과 기암 괴석의 계곡을 따라 흐르는 맑은 물 소리, 하늘에 떠있는 구름… 김시습은 이 아름다운 자연풍경에 한없는 위안을 받았을 것이다.
   무량사 자체도 대단한 역사를 지니고 있다. 신라 문성왕 때 범일국사가 지은 사찰인데다 국보급 보물을 6점이나 보유하고 있고, 보물 158호의 5층 석탑은 부처님의 사리를 간직하고 있어 불심을 더하고 있다.
   그래서 일까. 조선을 개국한 태조 이성계도 한 때 이곳에서 기도를 드렸다는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다.
   무엇 보다 무량사의 특징은 이곳에 김시습의 초상화가 있다는 것이다. 이 역시 보물 1497호로 지정돼 있을 정도로 문화재적 가치도 크다. 작자 미상인 이 초상화는 어쩌면 자신이 그린 자화상일지 모른다는 설도 있다.
   초상화를 한참 마주하노라면 생전 김시습의 청정하면서도 초연한 삶이 살아 움직이는 듯 하다. 김시습은 1493년 59세 나이로 이곳 무량사에서 조용히 생을 마감했고 시신은 화장하여 불교식으로 부도에 안치했다. 지금도 이곳을 찾는 많은 사람들이 그 부도앞에 와서 한 시대를 살다간 천재요 풍운아이며 정의감에 불탔던 그를 기리곤 한다.
                                                                                     <참고문헌>
   1. 병평섭, "주군 잃은 비운의 천재… 佛心 가득 자연에서 위로받아", 충청투데이, 2020.3.27일자. 13면.

시청자 게시판

2,130개(18/107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6778 2018.04.12
1789 동화작가 권정생과 '종' 사진 신상구 335 2021.12.30
1788 한국 아동문학을 개척하고 처절하고 아름다운 삶을 살다간 권정생 선생 사진 신상구 324 2021.12.30
1787 2000년간 내려온 유태인의 사람 분별법 사진 신상구 469 2021.12.29
1786 대전 소제동에 근대역사문화공간 조성 사진 신상구 591 2021.12.28
1785 매력적인 글쓰기의 8S 법칙 신상구 318 2021.12.27
1784 중국에 바친 여자, 공녀(貢女) 이야기 사진 신상구 367 2021.12.26
1783 대전대 한상수 교수, 은사 한성기 시인 편지 모아 책 발간 화재 사진 신상구 375 2021.12.26
1782 단재 신채호 선생 탄신 141주년을 경축하며 신상구 428 2021.12.25
1781 2300년 전 거대 제국을 이룩했던 흉노의 비밀병기는 메신저 사진 신상구 566 2021.12.25
1780 카메라 사진과 견주어도 손색없는 조선의 초상화 사진 신상구 342 2021.12.24
1779 역사왜곡금지법 찬반논쟁 사진 신상구 704 2021.12.23
1778 한국과 호주의 동병상련·동상이몽 사진 신상구 329 2021.12.22
1777 초기 자본주의 문을 연 스콜라철학 사진 신상구 336 2021.12.22
1776 해발 734m의 육십령, 고대 가야 반파국의 철광석 로드 신상구 331 2021.12.21
1775 디지털 혁명 시대를 맞이한 AI의 미래의 탐험 여행 신상구 333 2021.12.21
1774 가장 이상적인 국제질서 유지에 적합한 자유주의적 국제주의 신상구 330 2021.12.19
1773 백제와 일본의 닮은 꼴 사찰 사진 신상구 337 2021.12.18
1772 조선민족 대동단 실체 사진 신상구 425 2021.12.18
1771 한민족 사진 140년사 사진 신상구 438 2021.12.18
1770 평화통일의 필요성 신상구 450 2021.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