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노벨상' 학자 양성 사업에 사회활동 주력한 정년퇴임 교수 선정 논란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08.29 18:36

                                 '노벨상' 학자 양성 사업에 사회활동 주력한 정년퇴임 교수 선정 논란

     정부가 ‘한국을 대표할 연구역량을 지닌 우수학자’를 지원·양성하는 사업에 정년퇴임한 고령의 명예교수를 선정해 학계의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이 사업은 학자 개인에게 5년간 매년 5,000만원씩 총 2억5,000만원을 지원하는 인문학계 최대 국책사업으로 해당 명예교수는 박근혜 정부시절 한국사교과서국정화저지네트워크 상임대표로 활동한 이력이 있다.
    교육부 산하 한국연구재단은 지난 24일 ‘2020년 우수학자지원사업 예비선정 결과를 발표해 이의신청 접수 중이며 이를 반영해 8월 말까지 최종 확정한다’고 안내했다. 27일 재단 홈페이지에 따르면 인문·사회·융복합분야에 학자 8명이 선정됐다. 한데 이들 중 한상권(66) 덕성여대 명예교수는 지난해 정년퇴임한 노학자로, 애초 지원사업 취지에 맞지 않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2005년 시작된 우수학자 지원사업은 2017년까지 기초학문 분야의 한국을 대표할 학자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학자 개인에게 5년간 총 1억5,000만원의 연구비를 지원해왔다. 2018~2019년 중단됐던 사업은 올해 부활하면서 지원 금액이 총 2억5,000만원으로 대폭 오르기까지 했다. 교육부는 앞서 신청 결과를 발표하며 “(선정한) 우수학자는 노벨상 수상자가 될 역량을 갖추기 위해 국가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게 된다”고 설명한 바 있다. ‘노벨상’을 양성하겠다는 사업에 정년 은퇴한 학자를 뽑은 셈인데, ‘과제 종료 2년’ 안에 연구결과물을 내면 되는 규정 상 한 명예교수는 73세에 책을 출간하면 된다.


     이보다 더 심각하게 지적되는 사안은 한 명예교수의 연구실적이다. 그는 학술단체협의회, 민가협양심수후원회, 역사정의실천연대 등에서 꾸준히 활동했다. 박근혜 정부시절 한국사교과서국정화저지네트워크의 상임대표를 맡아 국정교과서 도입을 무산시키는 데 앞장섰다. 연구보다 사회단체 활동으로 알려진 ‘운동형 지식인’이다.


    재단 홈페이지에 공개된 한 명예교수의 최근 10년간 발표 논문은 총 13편, 이중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KCI)는 12편이다. 서울 한 사립대 관계자는 “조교수 호봉승급 기준은 1년에 KCI급 학술지 논문 발표 2건인데, 실제로 2건 내면 교수 승진에서 탈락한다”며 “1년에 논문 1편씩 10년을 발표했으면 낙제 수준”이라고 말했다. 다른 사립대 관계자는 “재임용 탈락기준이 2년에 논문 3편”이라며 “최근에는 연평균 KCI등재 논문 3편을 발표해도 교수 승진 심사에서 탈락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요컨대 재임용 탈락기준을 턱걸이로 넘은 실적으로 ‘세계 수준의 연구역량’을 지닌 학자 8인에 선정된 셈이다. 복수의 학계 연구자들은 “논문의 질적 수준이 얼마나 탁월한지 모르겠지만, 현재 학계 현실에 비춰 납득하기 힘든 결과”, “(심사과정을) 합리적으로 의심할만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절차에 따른 결과라는 입장이다. “자격 요건에 나이제한이 없다”는 재단 관계자는 “박사학위 15년 이상 정교수,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기존 우수학자 선정자, 각 학문분야 학회장 등으로 평가위원을 구성해 위원회 별로 독자적으로 심사한다”며 “신청자들의 이해관계자를 심사위원에서 제외한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인맥을 걸러낼 제도를 운영하기는 한계가 있다”고 덧붙였다.

                                                                          <참고문헌>

    1. 이윤주, "노벨상 받을 한국 대표 학자 양성한다면서 사회할동 주력 정년퇴임 교수 선정 논란", 한국일보, 2020.8.29일자. 10면.  
            


시청자 게시판

2,116개(7/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5494 2018.04.12
1995 짧고 불꽃 같은 생을 살았던 조영래 천재 인권변호사 사진 신상구 391 2023.03.17
1994 무원칙과 편의의 원칙 사이에 광화문 월대의 비밀은 영원히 비밀로 남고. 사진 신상구 684 2023.03.16
1993 ‘戰後 일본의 양심’ 오에 겐자부 타계 사진 신상구 282 2023.03.14
1992 ‘조선인요시찰인약명부’에 남은 충남의 독립운동가 사진 신상구 221 2023.03.13
1991 대전 문화자본 신상구 202 2023.03.13
1990 악비, 천고에 길이 남을 忠의 화신 사진 신상구 424 2023.03.12
1989 도심융합특구 조성으로 새롭게 도약하는 대전을 기대하며 사진 신상구 389 2023.03.10
1988 초하(初河) 유성종 박사의 모범적인 삶 사진 신상구 280 2023.03.10
1987 3·1 독립정신 사진 신상구 241 2023.03.10
1986 <특별기고> 3.8민주의거 63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경과와 사진 신상구 353 2023.03.09
1985 대전 골령골 집단학살 백서 발간 사진 신상구 223 2023.03.08
1984 <특별기고> 3.1독립만세운동의 발생 배경과 경과와 영향 사진 신상구 276 2023.03.03
1983 쌀 종주국 한국의 긍지 신상구 440 2023.03.02
1982 윤석열 대통령 3.1운동 104주년 기념사 전문 신상구 251 2023.03.02
1981 천안·아산 3.1운동 공적 미서훈 독립운동가 250여 명 발굴 사진 신상구 368 2023.03.01
1980 해방 78년, 아직도 청산되지 못한 친일파 군상 신상구 441 2023.02.28
1979 사르후 전투에서 조선·명나라 연합군 10만명이 후금 3만 병력에 大敗 사진 신상구 258 2023.02.28
1978 독립운동가이자 작가인 심훈 선생, 시 영화 기사로 일제에 저항 사진 신상구 279 2023.02.27
1977 약탈 논란 문화재 ‘금동관음보살좌상’ 소유권 다툼 신상구 281 2023.02.26
1976 <특별기고> 자작나무의 특징과 한국 무속 신상구 327 2023.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