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한국사 대중화에 앞장선 재야 민중사학자 이이화 선생 글쓴이 localhi 날짜 2015.05.02 03:09

                                한국사 대중화에 앞장선 재야 민중사학자 이이화 선생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국학박사, 향토사학자, 시인, 칼럼니스트) 신상구(辛相龜)
  재야 역사학자인 이이화(李離和)는 1937년 대구에서 야산 이달의 4째 아들로 태어났다.  주역의 대가였던 아버지 야산 이달 선생은 열다섯 살까지 학교를 보내지 않고 한문을 가르쳤다. 일제 때는 학교에 가면 일본놈이 된다고 했고, 해방 뒤에는 서양놈이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그는 고아원에 가면 학교를 갈 수 있다는 말에 가출했다. 여러 고아원을 전전하며 공부에 열중해 19세에 광주고에 입학해 3년만에 졸업을 했다. 서라벌예대 문예창작과에 입학했으나 등록금이 없어 1년만에 자퇴했다. 그 후 10여개 직업을 전전하며 어렵게 살았다. 1964년 불교전문지인 불교시보의 기자가 되어 고승들을 접하고 불교 관련 기사를 쓰면서 한국사 연구에 뜻을 세웠다.
  그는 1967년 동아일보사에 임시직으로 입사해 기사색인 작업을 하고, 논설집과 고전백선을 만드는 일을 했다. 그리고 민족문화추진회에서 한문 고전 번역작업을 했고, 서울대 규장각에서 고전 해제 작업을 하면서 역사학을 전문적으로 공부하게 되었다. 그는 역사공부를 위해 임창순 선생님 같은 분을 찾아다니면서 본격적으로 한문을 배웠다.
  그는 1973년부터 <창작과비평> <뿌리깊은나무> <월간중앙> <월간조선> 등에 한국사 관련 글을 발표하며 역사학계에 데뷔했다.
  그는 역사문제연구소 소장,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사장, 서원대 석좌교수, 경술국치 100년 공동행동위원회 상임공동대표 등을 역임하면서 동학농민혁명 명예회복, 한국전쟁기 민간인 학살 진상규명, 친일인명사전 편찬 등에 참여했다.
  1987년 6월 항쟁이 일어나기 전 역사문제연구소에 참여하게 된 것은 임헌영 민족문제연구소장, 서중석 성균관대 명예교수 등의 제안이 있어서였다. 당시 박원순 변호사(현 서울시장)가 자금을 지원해 연구소를 만들 수 있었다. 연구소는 한국 근현대의 여러 문제를 공동으로 연구하고 연구 내용을 대중들에게 널리 알린다는 ‘역사 대중화’가 목표였다. 당시 그는 19세기 민중운동사를 연구하며 1994년 동학농민 100주년을 준비했다. 근현대 민중운동사를 본격적으로 써보겠다는 목표로 조선 후기 두레·계(契)·동회(洞會)·향회(鄕會) 같은 마을공동체 조직을 살피면서 현장 답사를 다녔다.
  그가 대중적인 역사학자로 이름을 알린 것은 1994년부터 10년간 22권으로 펴낸 <한국사 이야기>를 통해서였다. 쉽고 재미있을 뿐만 아니라 민중사와 생활사에 초점을 맞춘 한국통사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는 민족사학의 관점에서 노비의 어려운 처지, 소작인 빈농의 어려운 처지, 여성의 지위 등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글을 썼다. 지금까지 그는 대중적인 역사서 100여권을 발간했다. 그러다 보니 자연적으로 대중적 인기를 얻게 되었다.
  그의 대표적 저서로는『한국의 파벌』,『역사와 민중』,『허균의 생각』,『끝나지 않은 역사 앞에서』등을 들 수 있다.  
  그는 신채호, 정약용, 박지원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그런지 역사는 현장을 누비며 머리가 아니라 가슴으로 느껴야 한다는 것을 늘 강조했다.
  한편 그는 역사는 과거가 아니라 미래임을 강조했다. 그리고 역사학은 현실생활에 직결되는 실천학문으로 세상과 소통하는 것이 진정한 역사학임을 강조했다.
  그는 역사학자로서 독재정권에 영합하거나 반민주적인 행동을 하지 않았다. 그는 중앙정보부에서 정보원 제의가 온 적도 있었지만 다 거절했다.
  2001년 단재학술상, 2006년 임창순학술상 등을 받았으며, 2014년 원광대에서 명예문학박사를 받았다. 
                                                                  <참고문헌>
  1. "재야 역사학자 이이화", 네이버 위키백과, 2015.5.1.
  2. 임아영, “역사는 머리 아닌 가슴으로 느껴야 하는 실천학문”, 경향신문, 2015.5.1일자. 23면.
                                                                 <필자 약력>
   .1950년 충북 괴산군 청천면 삼락리 63번지 담안 출생
   .백봉초, 청천중, 청주고, 청주대학 상학부 경제학과를 거쳐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교육과에서 “한국 인플레이션 연구(1980)”로 사회교육학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UBE) 국학과에서 “태안지역 무속문화 연구(2011)"로 국학박사학위 취득
   .한국상업은행에 잠시 근무하다가 교직으로 전직하여 충남의 중등교육계에서 35년 4개월 동안 수많은 제자 양성
   .주요 저서 : 『대천시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아우내 단오축제』,『흔들리는 영상』(공저시집, 1993),『저 달 속에 슬픔이 있을 줄야』(공저시집, 997) 등 4권.  
   .주요 논문 : “천안시 토지이용계획 고찰”, “천안 연극의 역사적 고찰”, “천안시 문화예술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항일독립투사 조인원과 이백하 선생의 생애와 업적”, “한국 여성교육의 기수 임숙재 여사의 생애와 업적”, “민속학자 남강 김태곤 선생의 생애와 업적”, “태안지역 무속문화의 현장조사 연구”, “태안승언리상여 소고”, “조선 영정조시대의 실학자 홍양호 선생의 생애와 업적”, “대전시 상여제조업의 현황과 과제”, “천안지역 상여제조업체의 현황과 과제” 등 61편
   .수상 실적 : 천안교육장상, 충남교육감상 2회, 통일문학상(충남도지사상), 국사편찬위원장상, 한국학중앙연구원장상, 자연보호협의회장상 2회, 교육부장관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문학 21> 신인작품상, 국무총리상, 홍조근정훈장 등 다수
   .한국지역개발학회 회원, 천안향토문화연구회 회원, 대전 <시도(詩圖)> 동인, 천안교육사 집필위원, 태안군지 집필위원, 천안개국기념관 유치위원회 홍보위원, 대전문화역사진흥회 이사 겸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 보문산세계평화탑유지보수추진위원회 홍보위원

태그 815

시청자 게시판

2,116개(67/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5757 2018.04.12
795 클릭이욤~~ [1] bz1314 1421 2015.06.05
794 임진왜란 승리의 일등 공신 서애 류성룡 리더쉽의 특징 localhi 2291 2015.06.04
793 미국인 조이 로시타노의 제주도 무속 조사연구 성과 localhi 1847 2015.06.04
792 대박이야~~~ bz1314 2114 2015.06.03
791 대박~~~!! bz1314 1498 2015.06.03
790 식민사학은 버린다고 해서 저절로 버려지는 것이 아니다. localhi 1743 2015.06.01
789 일본 수험도의 기원과 교세 localhi 1910 2015.06.01
788 원불교와 증산도 [1] 유산당 2501 2015.05.31
787 옥황상제 하느님 dhrghkdtkdwpgksmsla 2174 2015.05.31
786  단군민족주의를 기반으로 한 서일 장군의 항일투쟁 전략 localhi 1926 2015.05.29
785 고조선은 천문대를 가진 고대국가였다. localhi 1778 2015.05.28
784 한국 불교의 역사적 전개 과정 localhi 1840 2015.05.26
783 한국 주류 사학계의 엉터리 청동기 시대 편년 주장 localhi 1636 2015.05.21
782 칼 마르크스의 명저인『자본론』의 경제학사상 위치 localhi 1751 2015.05.18
781 우리 고장 대전의 지명 유래와 발전상 고찰 localhi 3331 2015.05.16
780 일제 식민사학이 단군을 매도한 까닭 localhi 1937 2015.05.13
779 고고미술사학자 박용숙 선생의 샤머니즘 연구성과 localhi 2318 2015.05.10
778 마키아벨리의『군주론』이 남긴 역사적 교훈 localhi 2211 2015.05.09
777 안녕하세요 궁금해서 질문 하나 올림니다. 순둥이 1706 2015.05.09
776 백제역사유적지구 세계문화유산 2015년 7월 등재 확실 localhi 2287 201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