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일본 왕족은 무령왕의 자손이다. 글쓴이 localhi 날짜 2015.07.14 02:36
                                                   일본 왕족은 무령왕의 자손이다.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국학박사, 향토사학자, 시인, 칼럼니스트) 신상구(辛相龜)
    2015년 7월 14일 백제역사유적지구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됨에 따라 1500년 전의 백제는 지금 다시 부활하고 있다.
    아키히토(明仁) 일왕은 2001년 12월 23일 68세 생일 기자회견에서 “나는 간무 천황(50대·737-806)의 어머니가 무령왕 자손이라고 기록돼 한국과 인연을 느끼고 있다”고 폭탄 발언을 했다. 일본 고대사 연구의 중요 사서인 ‘속일본기’에 적힌 기록을 인용한 것이지만 일왕 스스로 일본 왕족은 백제계 인물들임을 인정한 파격적 발언이었다.
     그 후 3년 뒤인 2004년 8월 3일에는 아키히토의 5촌 당숙으로 일본 왕족인 아사카노 마사히코가 친척과 함께 무령왕릉을 참배했다. 여론을 의식한 비공식 참배였지만 일본 왕족의 무령왕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기에 충분했다.
     무령왕은 일본에서 태어났다. 백제 한성(서울)시대 마지막 왕인 개로왕이 고구려를 견제하기 위해 일본과 교류를 돈독히 하고자 461년 4월 동생 곤지를 일본에 보내면서 임신 중인 자신의 부인을 딸려 보냈다. 부인은 그해 6월 규슈 북쪽 가카라시마 섬에서 아들을 낳았고, 이 아이가 백제 25대 무령왕이다. 아키히토 선조인 간무 천황의 아버지는 고닌 천황이고, 그 부인이 무령왕의 10대 후손이다. 간무 천황은 어머니가 세상을 뜨자 황태 부인으로 추종하고 극진히 제사를 지냈다.
     백제 중흥을 이끈 무령왕 때 일본과 백제는 교류가 매우 활발했는데, 그 때에 백제의 수많은 선진 문물이 일본에 전수됐다.
     송산리 고분군 무덤 중 무령왕릉만 지석(誌石)을 통해 주인이 밝혀졌다. 무령왕릉에서는 유물 4600여 점이 발굴됐다. 부장품 중 왕과 왕비의 신발, 청동다리미, 수문경(거울)은 똑같은 게 일본 고분에서도 출토돼 백제 문물이 얼마나 많이 일본에 전수됐는지 알 수 있었다. 부서진 널빤지만 남은 관은 일본에서만 자생하던 금송으로 만들어졌다. 주로 백제가 중국에서 들여온 ‘시경’, ‘춘추’ 등 오경과 갖가지 문물을 일본에 전파했지만, 금송처럼 일본에서 넘어온 것도 있다.
     부여읍 동남리 정림사지는 학교 운동장만한 크기다. 정림사지 5층 석탑은 돌로 만든 탑이지만 지붕 처마가 치솟고, 몸돌이 4단으로 이뤄지는 등 목조 양식을 그대로 답습한 것으로 탑이 나무에서 돌로 바뀌는 초기 형태의 탑이다. 일본은 이 양식을 받아들여 절에 나무 탑을 만들었다.
     정림사지에는 석탑 뒤에 불상을 모시는 금당 터가 있다. 3층짜리 절이었던 금당은 잔디밭으로 흔적을 표시했다. 그 뒤로 한옥 형식의 강당 건물이 있다. 백제 가람(절)의 전통 양식은 남북 일직선상의 1탑 1금당으로 1탑 3금당인 신라나 고구려와 다르다. 백제 절 양식이 오사카 시텐오지(四天王寺)나 나라 호류지(法隆寺) 등에 적용됐다.
     무령왕이 웅진(공주)시대를 이끌었다면 성왕은 사비(부여)시대를 열었다. 성왕은 노리사치계를 보내 일본에 불상과 경전 등 불교를 전파했다. 백제 기술자들은 일본에 많은 사찰을 지었고, 아스카문화(飛鳥文化)를 꽃피게 했다. 제련기술, 말 사육 방법, 양잠과 의복제작 기술도 일본에 전수됐고 그 흔적이 교토, 오사카, 나라 등에 남아 있다.
     백제의 선진 문물 혜택을 받은 일본은 나당연합군과 백제가 백강하구에서 전쟁을 벌일 때 군사를 보내 도왔다. 백제가 663년에 완전히 멸망한 뒤에는 유민 4000여 명이 일본으로 망명해 여러 촌락을 이뤄 살았고, 거기서 벼슬도 많이 했다.
     백제와 일본은 형제처럼 서로 도우면서 지냈다. 그런데 고려시대부터 왜구가 남서해안에 불법으로 침입해 노략질을 했고, 1592년에는 임진왜란을 일으켰는가 하면, 1910년에는 강제로 한일합방을 하고 35년간 식민통치를 했다. 그것도 모자라 일본은 역사를 왜곡하고, 한국령인 독도를 일본 땅이라고 우기는가 하면, 위안부와 노동자 강제동원을 인정하지 않아 지금 한일 간에는 외교적 갈등이 심해 정상회담도 개최하지 못하고 있다.
                                                                <참고문헌>
     1. 홍윤기,『일본속의 백제 구다라』, 한누리미디어, 2008.11.14.
     2. 이천열, “백제, 일과 교류 가장 활발...아키히로 나는 무령왕의 자손”, 서울신문, 2015.7.13일자. 7면.
                                                                <필자 약력>
 .1950년 충북 괴산군 청천면 삼락리 63번지 담안 출생
.백봉초, 청천중, 청주고, 청주대학 상학부 경제학과를 거쳐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교육과에서 “한국 인플레이션 연구(1980)”로 사회교육학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UBE) 국학과에서 “태안지역 무속문화 연구(2011)"로 국학박사학위 취득
.한국상업은행에 잠시 근무하다가 교직으로 전직하여 충남의 중등교육계에서 35년 4개월 동안 수많은 제자 양성
.주요 저서 : 『대천시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아우내 단오축제』,『흔들리는 영상』(공저시집, 1993),『저 달 속에 슬픔이 있을 줄야』(공저시집, 997) 등 4권. 
 .주요 논문 : “천안시 토지이용계획 고찰”, “천안 연극의 역사적 고찰”, “천안시 문화예술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항일독립투사 조인원과 이백하 선생의 생애와 업적”, “한국 여성교육의 기수 임숙재 여사의 생애와 업적”, “민속학자 남강 김태곤 선생의 생애와 업적”, “태안지역 무속문화의 현장조사 연구”, “태안승언리상여 소고”, “조선 영정조시대의 실학자 홍양호 선생의 생애와 업적”, “대전시 상여제조업의 현황과 과제”, “천안지역 상여제조업체의 현황과 과제, 한국의 노벨문학상 수상조건 심층탐구” 등 62편
.수상 실적 : 천안교육장상, 충남교육감상 2회, 통일문학상(충남도지사상), 국사편찬위원장상, 한국학중앙연구원장상, 자연보호협의회장상 2회, 교육부장관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문학 21> 신인작품상, 국무총리상, 홍조근정훈장 등 다수
.한국지역개발학회 회원, 천안향토문화연구회 회원, 대전 <시도(詩圖)> 동인, 천안교육사 집필위원, 태안군지 집필위원, 천안개국기념관 유치위원회 홍보위원, 대전문화역사진흥회 이사 겸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 보문산세계평화탑유지보수추진위원회 홍보위원

 
태그 871

시청자 게시판

2,117개(64/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5833 2018.04.12
856 신의 나라 자미국 localhi 4519 2015.09.16
855 중민의 개념과 중민사회이론의 필요성 localhi 2909 2015.09.15
854 대한민국 인구조사의 역사 localhi 2252 2015.09.15
853 사회구성체 논쟁의 전개과정과 영향 localhi 2808 2015.09.14
852 독립과 통일 영웅 이야기 localhi 2317 2015.09.10
851 상투 튼 고조선인이 가장 오래된 한민족의 얼굴이다 localhi 2127 2015.09.09
850 독립운동가 후손들이 왜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반대하는가 localhi 1826 2015.09.06
849 아사달로 들어가 산신이 된 고열가 단군 이야기 localhi 2207 2015.09.05
848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논란 localhi 2362 2015.09.04
847 한국문단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localhi 1788 2015.09.03
846 금당 이재복 선생의 생애와 업적 localhi 2293 2015.08.29
845 조선 중기 최고의 시인이자 비평가였던 백곡 김득신의 생애와 업적 localhi 5403 2015.08.28
844 한국의 풍수사상과 풍수지리학 요체 localhi 2663 2015.08.27
843 고조선의 국학을 되살려내야 진정한 광복이 이루어진다. [2] localhi 2719 2015.09.19
842 위기에 처한 한국경제를 살릴 방안은 없는 것인가 localhi 2048 2015.08.26
841 한국의 진정한 광복을 위한 과제 localhi 2300 2015.08.25
840 독립운동가 범재 김규흥 선생의 생애와 업적 localhi 3111 2015.08.24
839 우리 문화재 관리 엉망 localhi 2061 2015.08.22
838 항공대 우실하 교수의 요하문명론 localhi 3375 2015.08.21
837 도산 안창호 선생의 인격혁명론 localhi 2260 2015.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