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도산 안창호 선생의 인격혁명론 글쓴이 localhi 날짜 2015.08.20 23:21
 

                            도산 안창호 선생의 인격혁명론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국학박사, 향토사학자, 시인, 칼럼니스트) 신상구(辛相龜)

                              1. 안창호의 생애와 업적

   도산(島山) 안창호는 1878년 11월 9일  평안남도 강서(江西)에서 출생했다. 한학을 배우다가 서당 선배로부터 신식학문에 눈을 뜨고, 조국의 앞날을 염려하던 중 청일전쟁(淸日戰爭)이 눈앞에서 벌어지고 있음을 보고 깨달은 바 있어 1895년 상경, 구세학당(救世學堂)에 들어가 그리스도교도가 되었다.

   1897년 독립협회(獨立協會)에 가입하고 평양에 지부를 설치하기 위한 만민공동회(萬民共同會)를 쾌재정(快哉亭)에서 개최하여 약관의 몸으로 많은 청중에게 감동을 안겨준 연설을 하였다. 훗날 종교가이며 교육자로서 민족의 지도자가 된 이승훈(李昇薰)은 이 연설에 감명을 받고 독립운동의 의지를 굳혔다고 술회할 정도였다.

   1899년 고향 강서에 한국 최초로 남녀공학의 점진학교(漸進學校)를 세우는 한편 황무지 개척사업을 벌였고, 앞으로 큰 일을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학문을 더욱 받아들일 필요가 있음을 절감하고 1902년 미국으로 건너갔다. 샌프란시스코에서 노동을 하면서 초등과정부터 다시 공부를 시작, 이듬해에는 교포들의 권익보호와 생활향상을 위해 한인공동협회(韓人共同協會)를 만들어 《공립신보(共立新報)》를 발간하였다.

   그 후 을사조약이 체결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1906년 귀국, 1907년 이갑(李甲)·양기탁(梁起鐸)·신채호(申采浩) 등과 함께 항일비밀결사 신민회(新民會)를 조직,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新報)》를 기관지로 하여 활동을 시작하였다. 대구에 태극서관(太極書館)을 세워 출판사업을 벌이고 평양에 도자기회사를 설립하여 민족산업육성에 힘쓰는 한편 평양에 대성학교(大成學校)를 설립하고 청년학우회(靑年學友會)를 조직하여 민족의 지도자 양성에 힘쓰는 등 다방면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1910년에는 신민회 간부들과 함께 개성헌병대에서 3개월간 곤욕을 치르기도 하였는데 이는 1909년에 있었던 안중근(安重根)의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암살사건에 관련되었다는 혐의 때문이었다. 그 후 시베리아를 거쳐 미국으로 망명, 1912년 그 곳에서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중앙총회를 조직하여 초대 총회장에 취임하고, 기관지 《신한민보(新韓民報)》를 창간하였다.

    ‘105인사건’으로 신민회·청년학우회가 해체되자 1913년 흥사단(興士團)을 조직하였다. 3·1운동 직후 상하이[上海]로 가서 임시정부 조직에 참가하여 내무총장·국무총리대리·노동총장 등을 역임하며 《독립신문(獨立新聞)》을 창간하였다. 1921년 임시정부가 내부분열을 일으키자 이를 수습하지 못한 책임을 지고 물러났고 1923년 상하이에서 열린 국민대표회의(國民代表會議)가 성과를 거두지 못하자 1924년 미국으로 건너가 흥사단 조직을 강화하였다.

    1926년 다시 상하이로 가서 흩어진 독립운동단체의 통합을 위해 진력하였으며 독립운동기지를 마련하기 위하여 이상촌(理想村) 건설에 뜻을 두고 이를 추진하였으나 일제가 중국침략을 본격화하면서 실패하고, 1932년 윤봉길(尹奉吉)의 훙커우공원[虹口公園] 폭탄사건으로 일본경찰에 체포되어, 본국으로 송환되었다. 2년 6개월을 복역한 뒤 가출옥하여 휴양 중 동우회(同友會)사건으로 재투옥되고, 1938년 병으로 보석되어 휴양 중 1938년 3월 10일 사망하였다.

    그의 기본사상은 《민족개조론(民族改造論)》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자주독립을 이룩하려면 넓은 의미의 교육, 즉 국민운동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믿고 있었다. 무실역행(務實力行)을 근간으로 하는 그의 흥사단 정신은 오늘날에도 민중들에게 큰 영향을 주고 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2002년 미국 로스앤젤레스 프리웨이에 '도산 안창호 메모리얼 인터체인지', 2004년 로스앤젤레스에 '안창호 우체국'이 생겼으며 2012년 1월 애틀랜타에 있는 마틴루서킹센터내 명예의 전당에 아시아인 최초로 헌액되었다.

                             2. 도산 안창호의 인격혁명론

   안창호는 이름난 독립운동가요 사상가였으나, 독립무장투쟁에서 혁혁한 공로를 세운 것도 아니고, 외교노선의 한 축을 담당한 것도 아니었다. 충성을 다짐하는 추종자들을 끌어 모아 사조직을 만들고 그 위에 군림하는 계보정치도 완강히 부정했다. 안창호의 길은 유난히 좁고 험했다.

   그의 성품은 맑고 깊고 단아했다. 사물을 근원으로 거슬러 올라가 깊이 성찰하는 것이 그의 특장이었다. 국가와 민족의 문제를 깊이 헤아린 결과, 그는 “독립할 자격”을 키우는 것이 급선무라고 선언했다. 개개인이 “인격의 힘”을 길러야만 독립도 온전한 독립이 된다는 말이었다.

   그와 동시대를 살았던 민족지도자들은 대체로 그와 다른 입장이었다. 특히 이승만처럼 정치적 수완이 좋은 사람들은 안창호의 도덕론을 공허한 빈말로 여겼다. 21세기 한국의 시민들 가운데서도 안창호의 인격주의에 공감하지 못할 사람은 적지 않을 것이다. 안창호는 자신의 견해에 회의적인 사람들을 설득하려고 애썼다.

   1935년 그는 서울 성북동의 한 모임에서 인격혁명론을 아래와 같이 설명하였다.

“이거 또 춘원(이광수) 식의 민족개조론이구나, 하고 비웃을지 모릅니다. 그러나 지금 제일 필요한 것이 인격혁명이지요. 우리는 지금 무슨 일을 할 때마다 서로 믿고 일하는 게 아니라 시기와 질투와 편 가르기부터 하고 있습니다. 과거에 조선이 망할 때 하던 짓을 그대로 하고 있단 말씀이오. 이런 인격밖에 못 가진 사람들이 무엇을 하겠어요?” “혹자는 어느 세월에 인격 혁명으로 사회를 바꾸겠느냐고 반론할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사회에 인격혁명을 이룬 이가 한 해에 열 명, 스무 명이라도 늘어간다면 사회가 좋아질 것이 분명합니다.” “보시오. 같은 민주주의라도 (1930년대)멕시코의 것과 미합중국의 것이 완전히 다르지 않소? 본바탕이 잘못되면 아무리 씨가 좋아도 결과가 그릇된다는 말씀이오.”

   지도층의 기만과 도덕적 타락이 한 시대의 악습으로 굳어진 오늘날, 진부하리만치 교과서적인 안창호의 주장이 도리어 이 시대를 다스리는 죽비가 되어 빛난다. 물론 중요한 것은 말이 아니라 실천이다. 안창호는 자신의 60 평생을 통해 인격혁명이 가능한 것이요, 실로 세상을 움직이는 힘이 거기에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1938년 3월 10일 안창호는 경성제대 부속병원에서 세상을 떠났다. 그의 병상을 마지막으로 장식한 것은 아름다운 한 그루 화분이었다. 미와 와사부로(三輪和三郞) 부부가 선물로 가져온 것이었다. 미와는 악명 높은 고등경찰이었다. 이상재를 비롯하여 나석주, 한용운, 박헌영 등 많은 항일애국지사를 악랄하게 취조하여, “염라대왕”이라는 별명까지 얻은 자였다.

   안창호와 미와의 인연은 193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윤봉길 의사가 홍구 공원에서 폭탄을 투척한 직후, 그 사건의 여파로 안창호가 체포되었다. 상해에서 체포된 그는 서울로 압송되어 미와 경부의 취조를 받았다. 미와는 날마다 악랄한 심문을 거듭하였으나 그럴수록 안창호의 고결한 인품이 더욱 빛났다. 안창호는 대한독립에 관한 자신의 신념을 숨기지 않았다. 그는 정직하다 못해 성실했다. 우격다짐에 침묵으로 항의할지언정 거짓된 말은 입 밖에 꺼내지 않았다. 아무리 모질게 추궁해도 한 번 입을 다물면 그것으로 그만이었다. 생사의 기로에 몰린 피의자 안창호가 도리어 단정하고 당당하였다. 소박하고 겸손한 조선의 위대한 인격이라는 말로 밖에 달리 표현할 수 없었다. ‘염라대왕’ 미와는 그 인격 앞에 고개를 숙였다.

   안창호는 마지막까지도 그랬다. 1936년 여름, 일제는 중일전쟁을 앞두고 공안몰이를 시작하였다. 이른바 수양동우회 사건을 일으켜 안창호를 비롯한 다수의 지도자를 체포하였다. 종로경찰서에서 처참한 고문이 날마다 계속되었다. 안창호가 이를 보다 못해 형사를 불렀다. “우리 젊은 동지들에게 그대들이 많은 고문을 하는 것을 보고 나는 심히 분노합니다. 내게는 아직 고문을 하지 아니했는데, 대답할 수 있는 말을 나는 이미 다 하였소. 만일 내게 고문을 한다면 더 이상은 일언반구(一言半句)도 대답하지 않을 테니 그렇게 아시오.”

   이후 석 달 동안 험한 취조가 계속되는 바람에 안창호는 완전히 건강을 잃었다. 그래도 그의 시퍼런 기상은 시들지 않았다. 고초를 함께 겪은 장리욱은 1936년 11월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될 때의 살풍경을 독백처럼 말하였다. “차디찬 소독물을 펌프로 막 뿜어 대는 통에 유치장에서 파리할 대로 파리해진, 피골상접한 동지들의 나체에는 소름이 끼쳐 덜덜 떨고 있었다. 그러나 도산(안창호) 선생은 그야말로 털끝 하나 까딱하지 않고 단정한 태도로 그 차디찬 소독물 대포 시련을 받았다. 도리어 시원한 기분을 느끼시는 듯 태연자약하셨다. 도산 선생도 역시 다른 동지와 같이 쇠약한 몸에 그것이 견딜 수 없이 춥고 쓰라렸겠으나, (중략)그런 시련을 단정한 태도로 극복하셨다. 그때 선생의 인상이 너무도 엄숙하고 비장해서 나의 뇌리에서 사라지지 않는다.”

   쓰러지는 것이 너무 당연할 때조차 안창호는 태산같이 고요하고 엄숙하였다. 미와는 안창호의 이러한 풍모를 일찌감치 알았다. 그랬기에 그는 1932년 안창호의 조서를 작성할 때 최대한 호의적으로 꾸몄다. “만약 내가 진술한 그대로 조서를 만들었더라면, 나는 훨씬 더 무거운 형벌을 받았을 것이다.” 안창호는 미와의 행적을 후세에 전했다. 안창호가 대전교도소에 수감되자 미와는 한 달에 한 번씩 꼬박꼬박 면회를 갔다. 보다 못한 교도소장 미야자키(宮崎)가 미와 경부의 사상이 의심스럽다고 불평할 정도였다.

   그 안창호가 1938년 3월 병석에 누워 사경을 헤맸다. 소식을 들은 미와는 자기 아내와 함께 병상의 도산을 찾아갔다. 별세하기 이틀 전이었다. 안창호는 함경도경찰국 미와 경시의 문병 소식을 그 다음 날 병원으로 몰래 찾아온 옛 동지 선우혁에게 일렀다. “아무리 우리가 서로 원수관계에 있다 할지라도 말이오. 미와의 아내는 딱한 내 모습을 보고 눈물을 흘리더군요. 뿐더러 그는 혈액형이 나와 같으므로 수혈을 하겠다며 의사까지 데리고 오지 않았겠소. 그런 것을 내가 가까스로 만류시켰소.”

   안창호로 말하면 조국의 독립을 위해 가시밭길을 달려온 한국인이오, 미와는 일제의 하수인이었다. 미와가 줄곧 호의를 보인 것은 분명하지만, 그와의 관계는 어쩔 수 없는 “원수” 사이였다. 그렇건마는 병세가 위중한 자신을 위해 눈물을 쏟은 미와 부인에게서 안창호는 고마움을 느꼈다. 핏기를 잃은 안창호에게 부인은 자신의 피까지 나눠주려 했다. 아마도 미와가 자기 아내에게 안창호의 고상한 인품을 줄곧 칭찬한 모양이었다. 그렇지 않았더라면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

   그들의 친절을 헤아릴수록 안창호의 심경은 더욱 불편해졌을 것이다. 식민지배라는 비극만 아니라면 그들은 얼마든지 좋은 친구가 될 수 있었다. ‘그러나 한일 양국의 불행한 처지 때문에 우리는 피치 못할 한계를 인정해야 한다.’ 안창호는 이런 결론을 내리며 헌혈제의를 사양하였다고 본다. 개인의 친분보다 민족의 이해관계가 더욱 절실한 문제라고 그는 확신하였을 것이다. 안창호의 시대에는 민족주의로 가장한 제국주의가 세상을 휩쓸었다. 그 물살이 대한해협 양쪽의 수많은 사람들을 집어삼켰다.

   훗날 미와는 어떻게 되었을까. 해방 직후 김두한이 그를 처단하였다는 말도 있지만 사실여부는 아무도 모른다. 최근 일본의 아베 정권은 내외의 격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침략주의 노선으로 회귀할 태세다. 그들의 꽉 막힌 귀를 잡고 나는 이렇게 안창호와 미와 일가의 사연을 말한다.

                                        <참고문헌>

    1. 이광수,『도산 안창호』, 범우,  2015.3.20.

    2. 백승종, “도산 안창호 인격혁명론 몸소 실천… 일제 악명 높은 고등경찰도 머리 숙여”, 한국일보, 2015.8.17일자. 25면.

                                        <필자 약력>

  .1950년 충북 괴산군 청천면 삼락리 63번지 담안 출생

   .백봉초, 청천중, 청주고, 청주대학 상학부 경제학과를 거쳐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교육과에서 “한국 인플레이션 연구(1980)”로 사회교육학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UBE) 국학과에서 “태안지역 무속문화 연구(2011)"로 국학박사학위 취득

   .한국상업은행에 잠시 근무하다가 교직으로 전직하여 충남의 중등교육계에서 35년 4개월 동안 수많은 제자 양성

   .주요 저서 : 『대천시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아우내 단오축제』,『흔들리는 영상』(공저시집, 1993),『저 달 속에 슬픔이 있을 줄야』(공저시집, 997) 등 4권.

   .주요 논문 : “천안시 토지이용계획 고찰”, “천안 연극의 역사적 고찰”, “천안시 문화예술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항일독립투사 조인원과 이백하 선생의 생애와 업적”, “한국 여성교육의 기수 임숙재 여사의 생애와 업적”, “민속학자 남강 김태곤 선생의 생애와 업적”, “태안지역 무속문화의 현장조사 연구”, “태안승언리상여 소고”, “조선 영정조시대의 실학자 홍양호 선생의 생애와 업적”, “대전시 상여제조업의 현황과 과제”, “천안지역 상여제조업체의 현황과 과제”, 한국의 노벨문학상 수상조건“ 등 62편

   .수상 실적 : 천안교육장상, 충남교육감상 2회, 통일문학상(충남도지사상), 국사편찬위원장상, 한국학중앙연구원장상, 자연보호협의회장상 2회, 교육부장관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문학 21> 신인작품상, 국무총리상, 홍조근정훈장 등 다수

   .한국지역개발학회 회원, 천안향토문화연구회 회원, 대전 <시도(詩圖)> 동인, 천안교육사 집필위원, 태안군지 집필위원, 천안개국기념관 유치위원회 홍보위원, 대전문화역사진흥회 이사 겸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 보문산세계평화탑유지보수추진위원회 홍보위원


 

태그 889

시청자 게시판

2,116개(63/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5751 2018.04.12
875 옥 명장 장주원 선생의 역사적인 예술혼 발현을 경축하며 localhi 3236 2015.10.27
874 일제강점기에 무궁화 사랑운동을 전개한 남궁억 선생 localhi 2469 2015.10.23
873 구비문학과 스토리텔링의 보고 택리지 localhi 2289 2015.10.21
872 한문학자 이상주 이야기 localhi 3429 2015.10.18
871 단군정맥(구 단군봉안회)의 운영 현황과 과제 localhi 2814 2015.10.14
870 자작나무의 특징과 한국무속 localhi 2626 2015.11.15
869 올바른 국사교과서의 전제조건 localhi 2064 2015.10.14
868 2015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앵거스 디턴의 학문적 업적 localhi 1930 2015.10.13
867 개천절과 한글날의 역사적 의의 localhi 1834 2015.10.12
866 해월 최시형의 생애와 생명존중 사랑 localhi 2569 2015.10.11
865 2015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의 생애와 문학세계 localhi 1914 2015.10.10
864 박 노자의 정체 ??? lkh7828 1629 2015.10.09
863 한국사다운 한국사가 없다 [2] localhi 2289 2015.10.07
862 남한의 국화는 무궁화이고, 북한의 국화는 진달래가 아니라 목련 localhi 2876 2015.10.04
861 『신지비사(神誌秘詞)』 찾기운동 제안 localhi 2200 2015.10.04
860 한국 국가경쟁력 세계 26위 localhi 2250 2015.10.03
859 새 중학교 역사교과, 독립운동사 대폭 축소 말썽 localhi 1972 2015.09.28
858 단양의 향토사학자 윤수경 이야기 localhi 3242 2015.09.25
857 친일학자들의 잇단 망언, 대학 강단에서 추방해야 localhi 1927 2015.09.23
856 신의 나라 자미국 localhi 4519 2015.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