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태전(太田)’이 ‘대전(大田)’ 으로 지명이 바뀐 비운의 역사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03.20 20:22

                                                           ‘태전(太田)’이 ‘대전(大田)’ 으로  지명이 바뀐  비운의 역사
  
   일본의 초대 조선 통감 이등박문(伊藤博文·이토 히로부미)은 한·일합방에 앞서 허수아비로 전락한 순종황제를 서울에서 부산까지 강제 순행을 하게 했다.
   1910년 1월.
   황제의 순행 목적은 일본 통감부가 실제적으로 조선을 통치하면서 철도가 놓여지는 등 개화되고 있음을 보여 주어 합방작업을 순탄하게 하려는 것이었다.
   그날 대전역에 순종황제가 도착한다는 소식을 듣고 이 지역에 낙향해 있던 옛 신하들이 아침부터 역 플랫폼에서 기다렸다. 회덕과 공주, 멀리 홍성에서 온 사람들도 있었다.
   정오가 조금 지나 순종황제를 태운 열차가 들어서고 곧 이어 황제가 모습을 드러냈다. 그러나 황제 뒤에는 이등박문이 뒤따르고 있어 황제의 모습은 초라하기만 했다. 특히 뒤에 서있는 이등박문은 가슴에 번쩍이는 훈장에다 흰 수염까지 바람에 나부끼고 있어 황제의 위상이 더욱 안쓰럽게 보였다.
   이와 같은 황제의 모습에 마중 나온 옛 신하들은 눈물을 흘리며 절을 올렸다. 순종황제도 만감이 교차하듯 쓸쓸한 얼굴로 옛 신하들의 인사를 받으며 때로는 눈물을 훔쳤다.
   순종황제는 이 자리에서 충청도 지역의 효자 효부를 표창하고 바로 부산을 향해 떠났다. 대한제국 황제로서 대전역에 발을 들여 놓는 것은 마지막이 되었다.
   순종황제를 태운 열차가 대전역을 떠나고서도 한동안 플랫홈에 서 있던 사람들 역시 발길을 옮겼다.
   그러자 대전역은 다시 쓸쓸해 졌다.
   이 무렵만 해도 대전역은 한적한 시골역에 지나지 않았고 비로소 근대적인 역사가 세워진 것은 1918년 6월에야 이루어 졌다.
   대전역 이름도 처음에는 대전(大田)이 아니라 태전(太田)이었다.    
   대전에 있던 '호남일보'가 1933년 3월에 발행한 '충청남도 발전사'에는 어떻게 해서 '태전'이 '대전'으로 바뀌었는지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을사보호조약으로 사실상 대한제국의 통치권을 빼앗은 일본의 이등박문은 1905년12월 서울(당시는 京成)에서 특별열차를 타고 부산으로 가게 되었다. 기차가 급수를 하기 위해 대전역에서 정차를 했다.
   이등박문도 이 시간을 이용하여 잠시 열차에서 내렸다. 그러고는 수행원에게 '여기가 어디냐?'고 물었다.
   '태전입니다'하고 보고하자 이등박문은 이맛살을 찌푸리며 말했다.
   '이름을 바꾸라고 해라. 이제 부터는 태전이 아니라 대전이다'
   이때부터 태전역은 대전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는 것이다. 원래 대전역 자리는 산내면 태전리에 속했다. 그런데 그는 왜 태전을 대전으로 바꾸도록 했을까? 거기에 대한 문헌은 없다. 다만 일본인들의 정서상 조그만 역에 太자가 어울리지 않는다는 관념에서 그렇게 했을 것이라는 추리가 있을 뿐이다. 또는 대전의 옛 이름 '한밭'을 한자로 표기할 때 太田보다 大田이 맞다고 생각했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어쨌든 대전역은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 순종이 옛 신하들을 만나 눈물을 흘린 곳이고 이등박문에 의해 이름이 바뀌는 역사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이 무렵부터 대전역 주변은 일본인 타운으로 급속히 발전했다.
   1904년 대전역이 처음 생길 때 직원 4명, 경비 순사 2명 등 6명의 조그만 시골역이 점점 일본인들이 모여들면서 붐비기 시작했고 역사도 새로 신축했다. 1909년에는 대전역 주변, 지금의 정동·원동 주변에는 2천487명이나 되는 일본인들이 모여 살게 되었다. 1908년에는 경찰서도 설치할 정도로 도시가 커졌고, 1906년에는 일본군 제14연대까지 주거 하는 등 일본인들에 의해 대전은 그들 입맛에 맞게 형성되기 시작했다.
                                                                                        <참고문헌>
   1. 변평섭, "태전(太田)’이 ‘대전(大田)’ 으로… 이름 속 담긴 비운의 역사", 충청투데이, 2020.3.20일자. 11면.
   

시청자 게시판

2,123개(49/107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6636 2018.04.12
1162 영국 언론이 주목한 배수아 소설가 신상구 1058 2020.04.23
1161 일제에 맞서 싸우며 한국독립운동사 편찬 일생 바친 김승학 선생 신상구 1049 2020.04.23
1160 경제와 위험, 이중적 뉴노멀 시대 도래 신상구 959 2020.04.23
1159 2022년을 목표로 4·19혁명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 신상구 1139 2020.04.19
1158 위 만조선 수도 왕험성 한반도에 없었다 신상구 898 2020.04.19
1157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생활철학 비교 신상구 1560 2020.04.19
1156 한국전쟁 당시 북한 공산당의 충남 천주교 탄압 실태 사진 신상구 1254 2020.04.18
1155 김형석 철학박사의 늙지 않는 세 가지 방법 : 일, 여행, 사랑 신상구 1301 2020.04.18
1154 4.19혁명의 경과와 영향과 역사적 의의 사진 신상구 1079 2020.04.17
1153 한국전쟁 당시 대전 진격한 인민군의 만행 신상구 935 2020.04.16
1152 독립대동단 신상구 553 2020.04.15
1151 <우리 말 큰사전> 편찬 발간 과정 신상구 677 2020.04.15
1150 나 홀로 사회의 정치, 사회적 문제점 사진 신상구 591 2020.04.15
1149 동농 김가진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1472 2020.04.15
1148 미래는 예측 불가능해, 꿈꾸고 만들어나가는 것이다 신상구 727 2020.04.14
1147 간디와 톨스토이의 가치관과 인생관 신상구 981 2020.04.11
1146 2020년대에 보수와 진보의 이념구도 신상구 845 2020.04.08
1145 유성온천 이야기 신상구 1019 2020.04.04
1144 2019 대전예술인실태조사’ 결과, 2명 중 1명 월 수입 200만원 미 신상구 1066 2020.04.02
1143 『홍산문화의 이해』의 저자 복기대 인하대 교수의 학문관 신상구 1433 2020.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