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독립대동단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04.15 11:53

                                                           독립대동단


   흔히 대동단으로 알려진  독립대동단은 1919년 3월 말경에 서울 봉익동(鳳翼洞) 62번지 전협()의 집에 모여, 첫째 한국을 일본제국의 통치에서 이탈하게 해 독립국을 형성하게 할 것, 둘째 세계의 영원한 평화를 확보할 것, 셋째 사회주의를 철저히 실행할 것 등의 3대 강령을 제창하고, ‘조선민족대동단’이라는 이름으로 출발하였다.

   단원은 귀족·관리·유학자·종교인·상공인·청년·학생·부녀자 등 각계각층 11개 사회단체 대표자들로 구성되었으며, 비밀 유지를 위해 점조직으로 조직되었다. 김가진()을 총재로, 군자금 등 재정은 전협이, 선전활동 및 대외활동은 최익환()이 맡았다. 그 밖에 김찬규()·박영효()·민영달() 등이 참가하였다.

   경기도·충청도·전라도·경상도·평안도·함경도·만주 등에 지부를 설치해 조직을 확대하였다. 1919년 4월부터 1년간 지하문서를 배포하고, 특히 『대동신보()』를 제작하였다. 임시정부수립 이후에는 본부를 상해로 옮기려 했고, 의친왕 이강() 을 상해로 탈출시키려는 거사를 기도했으나 관련자가 붙잡혀 실패하였다.

   의친왕 탈출 기도는 실패했지만 그 일을 통해 대동단이 국내외에 미친 영향은 매우 컸다. 이들은 1920년 6월 예심을 거쳐 12월 1심판결에서 전협과 최익환 등 31명이 징역 6개월에서 8년까지 실형을 선고받았다.

   그 뒤에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김가진과 나창헌() 등이 대동단의 활동을 계승해 정남용()이 붙잡히기 전까지 각종 선언서·기관방략()·포고문 등을 등사해 전국에 배포하면서 독립정신을 고취하고 독립운동을 선전, 유도하였다.

   당시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는 이종욱() 등을 파견해 대동단의 활동을 지원하였다. 1919년 12월에 독립대동단규칙서에는 모두 8장 45개조에 달하는 규칙과 세칙 44개조가 첨가되어 대기관의 조직 구성을 볼 수 있다.

   단원 중 의병장 임병찬()의 큰아들 응철(), 넷째아들 수명(), 동생 병대() 등 일가가 대를 물려 조국의 국권회복운동에 참여하였다. 또, 주동자 전협 등은 한때 일진회원으로 친일파였으나 이를 계기로 독립운동에 투신하게 되어 더욱 그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1. 김정명 편,『조선독립운동(朝鮮獨立運動)』, 원서방, 1967.

     2. 국사편찬위원회,『한국독립운동사자료(韓國獨立運動史資料)』 3, 1973.

     3. 신복룡,『대동단실기(大同團實記)』, 양영각, 1982.   

     4. 이현희,『한민족광복투쟁사연구(韓民族光復鬪爭史硏究)』, 정음문화사, 1988.

  


 

시청자 게시판

2,149개(48/108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7819 2018.04.12
1208 90년 역사의 전남 해남 해창주조장 신상구 1203 2020.05.28
1207 4차산업혁명에 걸맞는 갑천 도시재생사업 신상구 1105 2020.05.28
1206 한일관계 연구 권위자 최서면 옹 타계를 슬퍼하며 신상구 1384 2020.05.28
1205 2018년 한국 직업 정보 보고서 신상구 870 2020.05.26
1204 1960년대와 1970년대의 순수문학과 참여문학 논쟁 신상구 1512 2020.05.26
1203 공화주의의 개념과 중요성 신상구 1132 2020.05.26
1202 운초 김부용 추모제 유래 신상구 1112 2020.05.26
1201 미국의 세계적 영도력의 원천 신상구 968 2020.05.25
1200 1950~1960년대 상업영화의 대가 한형모 감독 이야기 신상구 957 2020.05.24
1199 한국 문화재의 보고이자 상징인 간송미술관, 재정난에 보물 2점 경매 신상구 696 2020.05.23
1198 김소월 '진달래꽃'이 한국 근대 시의 시작이었다 신상구 830 2020.05.23
1197 전국시대 말기 대상인, 여불위(呂不韋)의 성공조건 신상구 949 2020.05.22
1196 문재인 대통령의 5.18광주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사 전문 신상구 530 2020.05.20
1195 <특별기고> 5.18광주민주화운동의 역사적 의의와 영향과 앞으 사진 신상구 1650 2020.05.20
1194 도시 젠트리피케이션 문제 신상구 819 2020.05.20
1193 5.18광주민주화운동 지정곡인 <임을 위한 행진곡> 소개 사진 신상구 1984 2020.05.19
1192 아산 현충사 난중일기 도난사건 전말 신상구 1307 2020.05.18
1191 눈물의 시인, 박용래 선생님께 신상구 1313 2020.05.18
1190 반민특위와 농지개혁법의 민족사적 의의 신상구 836 2020.05.13
1189 30년 뒤 팍스 시니카 가능할까? 신상구 934 2020.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