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18세기 경상도 고성 선비 구상덕의 일기 승총명록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06.11 15:07

                                                           18세기 경상도 고성 선비 구상덕의 일기 승총명록

 조선시대 사람들은 전염병을 어떻게 이겨냈을까. ‘역병의 시대’ 18세기를 산 경상도 고성의 선비 구상덕의 일기 ‘승총명록’.고성박물관·국립중앙박물관 제공

   “흉년과 역병으로 숨진 자의 수가 너무 많아 모두 기록할 수 없을 정도였다. 만고에 드문 해였다.”

   경상도 고성의 처사(處士·초야에 묻혀 살던 선비) 구상덕(1706∼1761)은 1733년의 봄을 이렇게 기록했다. 질병의 원인조차 제대로 모르던 시절, 향촌의 공동체는 역병에 어떻게 대응하고 살아남았을까.


    조선시대 사람들은 전염병을 어떻게 이겨냈을까. ‘역병의 시대’ 18세기를 산 경상도 고성의 선비 구상덕의 일기 ‘승총명록’.고성박물관·국립중앙박물관 제공

     김호 경인교대 사회과교육과 교수(53)는 계간지 역사비평 2020년 여름호에 ‘시골 양반 역병 분투기―18세기 구상덕의 승총명록을 중심으로’를 게재했다. ‘승총명록(勝聰明錄)’은 구상덕이 1725년부터 죽을 때까지 37년 동안 쓴 일기다.

   이 발표문에 따르면 구상덕이 살았던 18세기 조선은 기근과 역병의 시대라고 할 수 있을 정도였다. 1730년부터 이어진 역병과 재난으로 1733년 봄에는 들판에 나물을 뜯을 사람조차 없었다고 한다. 두창과 온역, 이질, 한질 같은 전염병이 1740년, 1748년, 1753년 등에 되풀이해 창궐했다. 구상덕도 아내와 딸, 친구와 친척을 연이어 역병으로 잃었다. 
   예나 지금이나 전염병 대응의 시작은 ‘사회적 거리 두기’였다. 구상덕은 자신의 마을에서 역병이 완전히 끝나지 않자 읍내 향교의 공사가 마무리되고 열린 행사에 참석하지 않았다. 집안에 역병이 돌자 향교에서 벌인 시회(詩會)에 불참했고, 집에서도 안채 등 정해진 곳을 떠나지 않고 스스로를 격리했다.

    인적 드문 산중의 절이나 이웃집으로 몇 주씩 떠나 있기도 했다. 역병이 미치지 않은 동네의 누이 집으로 부모님을 모셨다. 구상덕은 친구가 역병에 걸려 죽게 되자 그의 아들을 거둔 뒤 데리고 암자로 피신했다. 김 교수는 “역병에 걸렸을지도 모를 사람에게 몸을 피할 공간을 제공하는 건 서로의 선의를 바탕으로 이뤄진 상호부조였다”고 설명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의 최근 테마전시 ‘조선, 역병에 맞서다’에 나온 무과 합격자의 초상화(1774년 제작)로 천연두로 생긴 흉터가 뚜렷하다. 이 전시는 7월 3일부터 국립대구박물관에서도 열린다. 고성박물관·국립중앙박물관 제공

   구상덕은 역병을 막고자 점술가나 승려를 불러 독경을 요청했다. 1730년 아내가 괴질에 걸리자 소고기를 먹였다. 역병에 고기를 고아 먹는 치병(治病) 풍속이 있었던 것. 1757년 여름에는 역병이 돌자 닭 한 마리 값이 원래 5, 6전에서 몇 배나 올랐다고 일기에 썼다.
   조정과 지방관은 처방전을 보급하고 피막(避幕)을 설치해 환자들을 격리했지만 대부분 인적 드문 들판에 세워져 환자들은 굶거나 얼어 죽는 일이 다반사였다. 피막은 병자들보다는 아직 병이 옮지 않은 사람들을 위한 장치였다. 
   구상덕이 가족의 안위만 살핀 것은 아니었다. 굶주림으로 죽어가는 노파에게 죽을 먹였으며, 역병과 기근으로 버려진 아이를 노비 삼아 거두기도 했다. 또 백성의 고통을 사또에게 전하기 위해 각종 문서 작성을 도왔다.
   김 교수는 “역병의 피해가 가혹한 상황에서 도덕적 삶을 유지하고 스스로 공동체를 지키려는 자발적인 ‘사(士·선비) 의식’이 역병의 시대를 헤쳐나간 열쇠였다”고 말했다. 오늘날 한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응에서 나타난 ‘시민들의 자발적 협조’ 역시 공동체의 안녕을 함께 도모하려는 선비의 의식과 닮아 있다고 김 교수는 분석했다.
                                                                        <참고문헌>              
   1. 조종엽, "동체 지키려는 ‘선비 정신’으로 조선시대 역병 이겨냈다”, 동아일보, 2020.6.10일자. A21면.


시청자 게시판

2,140개(45/107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7175 2018.04.12
1259 군산 출신의 축구 영웅 채금석 선생 사진 신상구 1552 2020.07.05
1258 역사 물줄기 돌리려다 휩쓸려간 ‘역사의 미아 이강국’ 신상구 1386 2020.07.02
1257 인공지능의 발전과 한국사회 신상구 1093 2020.07.01
1256 님의 침묵, 새로운 해석 사진 신상구 966 2020.07.01
1255 병천순대 원조 '청화집' 사진 신상구 1463 2020.07.01
1254 갑오년 조선 관비유학생 수난사 사진 신상구 1310 2020.07.01
1253 청도 출신 관상가 박유봉 이야기 사진 신상구 1876 2020.07.01
1252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이후 미래 세계 예상 신상구 1440 2020.06.29
1251 한국전쟁 당시 민간인 성폭행 사건 진상규명 사진 신상구 734 2020.06.28
1250 한국전쟁 민간인 아산 발굴 유해 대다수가 여성·어린이 사진 신상구 1441 2020.06.28
1249 한국전쟁 민간인학살 규명은 한반도 평화체제의 전제조건 사진 신상구 939 2020.06.28
1248 한국전쟁 당시 민간인 학살 유족들의 70년 고통 사진 신상구 1176 2020.06.28
1247 한국전쟁 민간인 희생자 매장 추정지를 찾아서 사진 신상구 878 2020.06.28
1246 제28회 공초문학상 수상자 오탁번 시인 사진 신상구 624 2020.06.28
1245 6·25한국전쟁과 백선엽 장수 신상구 608 2020.06.27
1244 만주독립운동의 숨은 주역 임면수 선생 사진 신상구 804 2020.06.27
1243 <특별기고> 6.25 한국전쟁 70주년을 기념하며 사진 신상구 900 2020.06.26
1242 '대북 메시지' 담긴 文대통령 6.25전쟁 70주년 기념사 전문 사진 신상구 1015 2020.06.26
1241 중국 환상과 경도 벗어나야 산다 사진 신상구 998 2020.06.25
1240 박만순 저서 <골령골의 기억전쟁> 출간 신상구 725 2020.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