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한국전쟁 당시 민간인 학살 유족들의 70년 고통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06.28 12:20

                                                                     한국전쟁 당시 민간인 학살 유족들의 70년 고통


미국 <라이프> 기자 칼 마이던스가 찍은 1948년 여순사건 당시 사진. 아버지의 시신 앞에서 오열하는 딸들. 연좌제는 유족에 대한 저강도 학살이었다. 여수지역사회연구소 제공                    
미국 <라이프> 기자 칼 마이던스가 찍은 1948년 여순사건 당시 사진. 아버지의 시신 앞에서 오열하는 딸들. 연좌제는 유족에 대한 저강도 학살이었다. 여수지역사회연구소 제공


   “31살 때 은행에 취직했는데 출근하라는 연락이 없더라고. 알아보니까 신원조회에서 걸렸다는 것이여. 연좌제인지 뭔지 고거 때문에 젊은 나이에 일도 제대로 못 하고 살았제.”

   충북 청주 고은리 한국전쟁 민간인 희생자 발굴조사 현장에서 만난 박남순(77) 청주·청원 보도연맹 분터골 유족회장은 한 많은 70년 세월을 토로했다. 박 회장의 아버지는 보도연맹 명부에 이름을 올렸다는 이유로 1950년 7월7일 군인들에게 끌려가 죽임을 당했다.

   박 회장은 “아버지가 돌아가신 뒤 빨갱이 집안으로 몰려 어렵게 살았다. 한밤중에 경찰이 신발도 벗지 않고 집에 들어와 가족들이 제대로 있는지 확인하는 경우는 예삿일이었다. 그땐 아무 말도 할 수 없었다”고 회상했다.

    창원 보도연맹 피해자 유족 문강자(79)씨 또한 ‘빨갱이 자식’이라는 소리가 지긋지긋하다. 문씨의 아버지는 1950년 8월8일 갑자기 끌려가 다음날 김해시 생림면 나밭고개에서 희생됐다. 빨갱이 낙인에 농사지을 땅을 얻기도 힘들었다. 문씨 오빠는 동네 유지였던 외갓집의 도움으로 공무원이 됐지만 30여년 동안 한직을 떠돌다 진급도 못 하고 9급으로 퇴직했다. 문씨는 “아버지의 억울한 죽음, 빨갱이 손가락질, 삶의 고단함만 남았다. 우리 가족의 원통함은 누구에게 호소해야 하나”라고 되물었다.

2005년 9월, 서울 종로에서 열린 ‘1945-2005 과거청산 전진대회’에서 진관 스님이 채의진 전국유족협의회 상임공동대표의 머리카락을 자르고 있다. 학살 현장에서 살아남은 채 공동대표는 민간인학살규명법 제정 때까지 머리를 깎지 않겠다고 선언한 뒤 16년 동안 머리카락을 길러왔다. &lt;한겨레&gt; 자료사진                    
2005년 9월, 서울 종로에서 열린 ‘1945-2005 과거청산 전진대회’에서 진관 스님이 채의진 전국유족협의회 상임공동대표의 머리카락을 자르고 있다. 학살 현장에서 살아남은 채 공동대표는 민간인학살규명법 제정 때까지 머리를 깎지 않겠다고 선언한 뒤 16년 동안 머리카락을 길러왔다. <한겨레> 자료사진


     대구철도 노조원 간부였던 나정태(73)씨의 아버지는 1946년 10월1일 친일경찰을 채용하고 쌀을 강제로 걷는 미 군정에 항의한 ‘대구 10월 사건’에 참여했다가 1950년까지 복역했다. 같은 해 한국전쟁이 터지자 경찰은 나씨 아버지를 연행했고, 7월6일 경북 경산 코발트광산에서 처형했다. 어머니는 곧바로 집을 나갔고, 여동생은 남의 집으로, 자신은 큰집으로 가족이 뿔뿔이 흩어졌다. 나씨는 1983년 <한국방송>의 이산가족 찾기에서 여동생을 찾았지만 정부의 감시가 시작됐다. 나씨는 “2011년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해 2016년 대법원에서 최종 승소 판결을 받으며 아버지의 억울함을 어느 정도 풀 수 있었다. 일부 국민은 희생자 유족을 여전히 빨갱이라고 한다. 국민 모두가 희생자 유족의 억울함을 알아줬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가 2006~2007년 집단희생자 가족 385명의 심리적 피해 현황을 조사한 결과 38.9%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족 대부분은 저학력이었고 40%는 무직이었다. 유족들은 진실규명 후 경제적 배상, 명예 회복, 국가의 공개사과, 추모위령제 순으로 국가의 조치를 요구했다.

    노치수 한국전쟁전후 민간인희생자 창원유족회장은 “지난달 20일 통과한 과거사법은 희생자 유족에 대한 배상안이 빠진 반쪽짜리다. 21대 국회에서 논의를 통해 반드시 희생자 유족에 대한 배·보상안이 추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참고문헌>

    1. 김용희/ 김영동, "빨갱이 자식 설움, 경찰 사찰, 연좌제, 가난까지…유족의 70년 고통",한겨에, 2020.6.25일자.

                                      

                        

시청자 게시판

2,124개(44/107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6644 2018.04.12
1263 유학의 독실한 실천가이자 시서화에 능했던 강암 송성용 선생 사진 신상구 1656 2020.07.12
1262 경부고속도로 준공 50년 신상구 1112 2020.07.11
1261 한국의 미 세계에 알린 임권택 영화감독 사진 신상구 1435 2020.07.11
1260 2020 한국형 그린 뉴딜 신상구 597 2020.07.08
1259 군산 출신의 축구 영웅 채금석 선생 사진 신상구 1547 2020.07.05
1258 역사 물줄기 돌리려다 휩쓸려간 ‘역사의 미아 이강국’ 신상구 1385 2020.07.02
1257 인공지능의 발전과 한국사회 신상구 1091 2020.07.01
1256 님의 침묵, 새로운 해석 사진 신상구 962 2020.07.01
1255 병천순대 원조 '청화집' 사진 신상구 1462 2020.07.01
1254 갑오년 조선 관비유학생 수난사 사진 신상구 1305 2020.07.01
1253 청도 출신 관상가 박유봉 이야기 사진 신상구 1863 2020.07.01
1252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이후 미래 세계 예상 신상구 1436 2020.06.29
1251 한국전쟁 당시 민간인 성폭행 사건 진상규명 사진 신상구 734 2020.06.28
1250 한국전쟁 민간인 아산 발굴 유해 대다수가 여성·어린이 사진 신상구 1429 2020.06.28
1249 한국전쟁 민간인학살 규명은 한반도 평화체제의 전제조건 사진 신상구 938 2020.06.28
>> 한국전쟁 당시 민간인 학살 유족들의 70년 고통 사진 신상구 1174 2020.06.28
1247 한국전쟁 민간인 희생자 매장 추정지를 찾아서 사진 신상구 874 2020.06.28
1246 제28회 공초문학상 수상자 오탁번 시인 사진 신상구 622 2020.06.28
1245 6·25한국전쟁과 백선엽 장수 신상구 606 2020.06.27
1244 만주독립운동의 숨은 주역 임면수 선생 사진 신상구 802 2020.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