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보령 출신 추강 백낙관란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08.16 18:57

                                                                                     보령 출신 추강 백낙관란

▲ <목멱산 봉수대 터> ⓒ한국학중앙연구원

    "불이야!" 고함 소리가 경복궁 여기저기서 터져 나왔다. 1882년 5월4일 밤이었다. 그러나 다행히 불은 경복궁에서 난 것이 아니고 맞은 편 남산에서 타올랐다. 그것도 남산 봉수대.

   남산 봉수대는 전국에 걸쳐 연결된 봉수대가 위급한 사항을 중앙에 전달하는 마지막 종점이니 궁궐 안은 물론 서울 장안이 무슨 변고가 났는지 웅성거릴 수밖에 없었다.

   그렇잖아도 이 무렵 전국 곳곳에서 소요가 발생하고 있는 터라 모두가 긴장할 수밖에 없었다. 궁궐 수비대 군인들이 남산으로 달려갔다.

   이 때 놀라운 일이 발생했다. 불을 지른 젊은이가 도망치지 않고 '내가 불을 질렀소!' 하고 군인들 앞에 나타난 것이다. 그리고 자기 신원을 밝혔다.

   '나는 충청도 보령군 주산면 동오리에 사는 백낙관(白樂寬)이오. 어서 나를 체포하여 궁궐로 데려 가시오'

   이렇게 담대하게 목청을 높인 백낙관은 1846년(헌종12년)에 병조참판을 지낸 백홍수를 아버지로 하여 그의 고향 보령 주산에서 태어났다. 호는 추강(秋江).

   그는 성장하면서 조선이 점차 열강의 먹잇감으로 전락하는 정치 상황에 의분을 갖기 시작했다. 특히 일본의 침략이 노골화 되고 있는 데도 왕실의 무능과 권력 싸움에 날이 새고, 날이 저무는 세도정치에 염증을 느꼈다. 아울러 대원군과 민비(명성황후) 사이의 싸움이 나라를 벼랑 끝으로 몰고 가고 있는 상황.

   백낙관은 더 참지 못하고 1880년(고종17년) 임금에게 상소를 올렸으나 상소는 제대로 전달되지 못한 채 체포 되고 만다.

#AD157958977192.ad-template { margin:auto; position:relative; display:block; clear:both; z-index:1; } #AD157958977192.ad-template .col { text-align:center; } #AD157958977192.ad-template .col .ad-view { position:relative; }

   얼마 후 백낙관은 풀려났으나 우국충정에 불타는 마음은 꺼질 줄 몰랐다.

   그래서 상소를 고종 임금에게 직접 전달되는 방법으로 남산에 불을 지른 것이다. 민씨 세도정치의 폐습과 일본의 야욕을 척결하는 상소문을 가슴에 지닌 채 마침내 그는 고종 앞에 나타나 불을 지른 연유를 말하고 바른 정치를 간청했으나 무능한 임금은 어쩌질 못했고 백낙관은 감옥에 갇히고 만다.

▲ 경복궁 근정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제공
▲ 경복궁 근정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제공

   백낙관이 상소를 올리려고 남산에 불을 질렀으나 아무 조치도 없이 투옥되었다는 소식은 구식 군대인 무위영과 장어영에 전해 졌고 이는 가뜩이나 신식 군대인 별기군에 비해 급료도 제대로 못 받는 등 차별대우에 불만이 높았던 터라 반란을 일으키는 또 하나의 기폭제가 되고 말았다.

   1882년 6월9일 구식 군인들은 일본 순사 등 일본인 13명을 살해하고 일본 관련 건물을 불태우거나 파괴했으며 군인들의 급료를 담당하는 선혜청 관아를 급습, 이 과정에서 중신 이최응이 죽임을 당하는 등 사태가 심각하게 번져 갔다. 이것이 역사에서는 '임오군란'으로 명명하고 있다. 명성황후는 궁녀의 옷으로 변장을 하고 궁궐을 빠져 나가 충북 장호원으로 급히 피난을 가야했고 하나부사 일본공사 등 공사관원들은 인천으로 도망갔다가 영국의 배를 얻어 타고 일본으로 돌아갔다.

   군인들은 옥에 갇힌 백낙관을 구출하고 '백충신’ '백충신’을 연호했다. 그렇게 구식 군인들에게 백낙관은 영웅이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뜻밖에도 백낙관은 군인들에 의한 석방을 거부하고 '나를 투옥시킨 사람들의 정당한 판결에 의하지 않고는 나가지 않겠다'며 스스로 감옥으로 들어갔다. 때마침 임오군란의 배후 인물로 의심받는 대원군이 명성황후가 도망간 틈을 타 재집권을 하게 되자 백낙관을 정식으로 석방하였다. 그러나 그것도 잠시, 청나라 군대가 진주하고 대원군이 그들에게 잡혀 가자 다시 권좌에 오른 명성황후에 의해 제주도로 유배를 간 백낙관은 1883년 8월29일 38세를 일기로 처형되었다. 애닮은 충신의 생애였다. (그의 상소문은 지금도 육군 사관학교박물관에 보관중이며 그의 고향 주산면 금암리에 그를 기리는 비가 있다.)

                                                                                            <참고문헌>

    1. 변평섭, "정치 상황에 의분… 임오군란과 보령 출신 백낙관 연결고리", 충청투데이, 2020.8.14일자. 9면.

   



시청자 게시판

2,122개(41/107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6577 2018.04.12
1321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경제·복지 패러다임 사진 신상구 1038 2020.08.29
1320 국민이 정부를 더 걱정한다 사진 신상구 993 2020.08.29
1319 충북 괴산군 감물면 오창리 달천 상류 일원에 '유창구곡(有倉九曲)' 설정 신상구 990 2020.08.28
1318 충절과 선비의 고장 충청이 바로서야 나라가 바로선다 사진 신상구 658 2020.08.27
1317 다사다난했던 시기에 신선처럼 살다간 지운영-석영 형제의 생애 사진 신상구 1219 2020.08.26
1316 항일독립운동가이자 근대 6대 동양화가 박승무 선생을 기리며 사진 신상구 1990 2020.08.26
1315 김호기의 시민사회론 사진 신상구 1420 2020.08.26
1314 대전과 경산과 제주도 보도연맹 사건 사진 신상구 721 2020.08.26
1313 대전 예맥을 찾아서 신상구 1573 2020.08.23
1312 8・15일, 한국에서는 '광복절'로, 일본에서는 ‘종전기념일’로 기념 신상구 1991 2020.08.19
1311 서울 양화진에서 부관참시와 능지처사 당한 개화파 김옥균 사진 신상구 887 2020.08.19
1310 미국 수도 워싱턴의 이름 유래 사진 신상구 1615 2020.08.19
1309 지식인의 개념과 사회적 역할 사진 신상구 1129 2020.08.19
1308 김원웅 광복회장 제75주년 광복절 경축식 기념사 신상구 680 2020.08.18
1307 <특별기고> 광복 75주년의 역사적 의미와 과제 사진 신상구 1182 2020.08.17
1306 독립유공 훈·포장 미전수자 전국 5949명, 충청권에만 359명 달해 사진 신상구 1013 2020.08.16
>> 보령 출신 추강 백낙관란 사진 신상구 828 2020.08.16
1304 미래는 스스로의 노력으로 만들어가는 것이다. 신상구 721 2020.08.16
1303 1945년 8월 15일 해방 직후 이틀 간 ‘좌우합작’의 실패로 분단 사진 신상구 1105 2020.08.16
1302 조달청, 일본인 명의 귀속·은닉 재산 900억원 환수 신상구 575 2020.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