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무당과 유생의 대결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2.08 02:42

                                                                      무당과 유생의 대결


   중국 산둥(山東)성 취푸(曲阜)의 공자(孔子) 묘에는 면류관을 쓰고 용포를 입은, 화려한 제왕의 모습을 한 공자의 신상이 있다. 일본 도쿄(東京) 유시마성당(湯島聖堂) 등 공자를 모신 사당도 신사처럼 화려하게 꾸며져 있다.
   그러나 한국 곳곳에 퍼져 있는 공자와 유학자들을 모시는 사당에는 그들의 이름을 새긴 위패만 놓여 있을 뿐이다. 500년 역사 유교의 나라 조선왕조를 거친 한국에서 공자와 유자들이 이렇게 ‘푸대접’받는 것은 어찌 된 일인가.
   비교종교학자 한승훈의 새 책 ‘무당과 유생의 대결’은 이 같은 물음에 대한 답이다. 저자는 송나라의 신유교로 무장한 조선의 지배층이 마치 서구 종교개혁을 이끈 프로테스탄트처럼 유교화라는 강력한 종교개혁을 밀어붙였다고 말한다. 이전의 유교가 국가 제도와 의례 체계에 머물렀다면 신유교는 불교와 도교의 영역이었던 우주론과 수양론까지 모두 대체하려는 시도로 나타났다. 조선의 설계자 격인 정도전의 ‘불씨잡변’이 신호탄이었다.
   문화 전반을 유교화하려는 조선의 종교개혁은 유교의 종주국인 중국보다도 더 급진적인 양상을 띠는데,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아이코노클래즘(iconoclasm), 즉 ‘형상에 대한 파괴’다. 16세기 들어 유생들은 불상을 파괴하고, 신당을 불태우고, 신상을 부숴 내다 버렸다. 성상 파괴는 공자상 철거에까지 이르렀다.
   이런 움직임은 조선왕조가 문을 닫을 때까지 이어져, 적어도 수도 한양에서는 사람들이 거대한 신상에 절하는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게 됐다.
   그러나 조선의 종교전쟁이 유자들의 일방적 승리로 끝난 것은 아니다. 한양 도성을 한 발짝만 나가도 유교의 영향력은 급속히 약해졌다. 도성 출입을 금하는 법제를 비웃기라도 하듯 궁궐 안까지 들어가 활동한 무당도 여럿 있었다.
   저자는 “망자(亡者)의 영과 죽음의 세계에 대한 접근권에서는 무당의 우세가 유지됐다”며 “결국 민속종교 무대에서 조선은 마지막 순간까지도 유교화를 완수하지 못했다”고 말한다.
                                                                                          <참고문헌>
   1. 오남석, "불상 신당 파괴했던 조선 유교...망자의 영역 무속의 힘은 넘지 못해", 문화일보, 2021.2.5일자. 12면.
       








시청자 게시판

2,150개(33/108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7874 2018.04.12
1509 이탈리아의 명문가 메디치 가문 사진 신상구 1319 2021.02.26
1508 유관순 발굴 과정의 검토 신상구 1454 2021.02.25
1507 이순신과 유관순 띄우기 사진 신상구 850 2021.02.25
1506 유관순 열사와 이순신 장군을 영웅으로 만든 사람들 사진 신상구 982 2021.02.25
1505 항일독립운동, 친일청산, 남북 통일을 위해 헌신한 조문기 선생 신상구 1517 2021.02.25
1504 목숨과 재산을 던져 나라를 구한 항일독립투사들 사진 신상구 885 2021.02.24
1503 김홍신의 '新인간시장', 잔꾀로 민심 얻을 수 없다 사진 신상구 1878 2021.02.23
1502 정월대보름의 정의, 의미, 유래, 놀이, 음식 사진 신상구 2715 2021.02.23
1501 한국, 고령화속도 가장 빠른데 노인빈곤율은 이미 OECD 1위 신상구 1347 2021.02.23
1500 한국 와전 정성껏 수집했다 한국에 기부한 일본인 이우치 이사오 사진 신상구 1115 2021.02.23
1499 조선일보가 창간 100주년 기획 '말모이' 사전 편찬 사진 신상구 1161 2021.02.23
1498 울산 산업단지의 명암 사진 신상구 1759 2021.02.22
1497 유관순 열사의 스승인 박인덕의 굴곡진 삶 사진 신상구 904 2021.02.20
1496 2021년 신축년 새해의 민속학적 의미와 국운 신상구 1095 2021.02.20
1495 코로나 19 발생 이후 사회 변화 실태 신상구 1470 2021.02.19
1494 윤동주 시인까지 독북공정의 대상으로 삼는 중국 사진 신상구 963 2021.02.19
1493 한국선도의 으뜸 경전, 천부경(天符經) 신상구 764 2021.02.19
1492 미술과 문학의 만남 사진 신상구 847 2021.02.17
1491 2020 대전의 사회지표 조사 현황 신상구 1299 2021.02.16
1490 영원한 민중의 벗, 백기완 선생 타계를 애도하며 사진 신상구 1036 2021.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