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보령 출신 추강 백낙관란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08.16 18:57

                                                                                     보령 출신 추강 백낙관란

▲ <목멱산 봉수대 터> ⓒ한국학중앙연구원

    "불이야!" 고함 소리가 경복궁 여기저기서 터져 나왔다. 1882년 5월4일 밤이었다. 그러나 다행히 불은 경복궁에서 난 것이 아니고 맞은 편 남산에서 타올랐다. 그것도 남산 봉수대.

   남산 봉수대는 전국에 걸쳐 연결된 봉수대가 위급한 사항을 중앙에 전달하는 마지막 종점이니 궁궐 안은 물론 서울 장안이 무슨 변고가 났는지 웅성거릴 수밖에 없었다.

   그렇잖아도 이 무렵 전국 곳곳에서 소요가 발생하고 있는 터라 모두가 긴장할 수밖에 없었다. 궁궐 수비대 군인들이 남산으로 달려갔다.

   이 때 놀라운 일이 발생했다. 불을 지른 젊은이가 도망치지 않고 '내가 불을 질렀소!' 하고 군인들 앞에 나타난 것이다. 그리고 자기 신원을 밝혔다.

   '나는 충청도 보령군 주산면 동오리에 사는 백낙관(白樂寬)이오. 어서 나를 체포하여 궁궐로 데려 가시오'

   이렇게 담대하게 목청을 높인 백낙관은 1846년(헌종12년)에 병조참판을 지낸 백홍수를 아버지로 하여 그의 고향 보령 주산에서 태어났다. 호는 추강(秋江).

   그는 성장하면서 조선이 점차 열강의 먹잇감으로 전락하는 정치 상황에 의분을 갖기 시작했다. 특히 일본의 침략이 노골화 되고 있는 데도 왕실의 무능과 권력 싸움에 날이 새고, 날이 저무는 세도정치에 염증을 느꼈다. 아울러 대원군과 민비(명성황후) 사이의 싸움이 나라를 벼랑 끝으로 몰고 가고 있는 상황.

   백낙관은 더 참지 못하고 1880년(고종17년) 임금에게 상소를 올렸으나 상소는 제대로 전달되지 못한 채 체포 되고 만다.

#AD157958977192.ad-template { margin:auto; position:relative; display:block; clear:both; z-index:1; } #AD157958977192.ad-template .col { text-align:center; } #AD157958977192.ad-template .col .ad-view { position:relative; }

   얼마 후 백낙관은 풀려났으나 우국충정에 불타는 마음은 꺼질 줄 몰랐다.

   그래서 상소를 고종 임금에게 직접 전달되는 방법으로 남산에 불을 지른 것이다. 민씨 세도정치의 폐습과 일본의 야욕을 척결하는 상소문을 가슴에 지닌 채 마침내 그는 고종 앞에 나타나 불을 지른 연유를 말하고 바른 정치를 간청했으나 무능한 임금은 어쩌질 못했고 백낙관은 감옥에 갇히고 만다.

▲ 경복궁 근정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제공
▲ 경복궁 근정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제공

   백낙관이 상소를 올리려고 남산에 불을 질렀으나 아무 조치도 없이 투옥되었다는 소식은 구식 군대인 무위영과 장어영에 전해 졌고 이는 가뜩이나 신식 군대인 별기군에 비해 급료도 제대로 못 받는 등 차별대우에 불만이 높았던 터라 반란을 일으키는 또 하나의 기폭제가 되고 말았다.

   1882년 6월9일 구식 군인들은 일본 순사 등 일본인 13명을 살해하고 일본 관련 건물을 불태우거나 파괴했으며 군인들의 급료를 담당하는 선혜청 관아를 급습, 이 과정에서 중신 이최응이 죽임을 당하는 등 사태가 심각하게 번져 갔다. 이것이 역사에서는 '임오군란'으로 명명하고 있다. 명성황후는 궁녀의 옷으로 변장을 하고 궁궐을 빠져 나가 충북 장호원으로 급히 피난을 가야했고 하나부사 일본공사 등 공사관원들은 인천으로 도망갔다가 영국의 배를 얻어 타고 일본으로 돌아갔다.

   군인들은 옥에 갇힌 백낙관을 구출하고 '백충신’ '백충신’을 연호했다. 그렇게 구식 군인들에게 백낙관은 영웅이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뜻밖에도 백낙관은 군인들에 의한 석방을 거부하고 '나를 투옥시킨 사람들의 정당한 판결에 의하지 않고는 나가지 않겠다'며 스스로 감옥으로 들어갔다. 때마침 임오군란의 배후 인물로 의심받는 대원군이 명성황후가 도망간 틈을 타 재집권을 하게 되자 백낙관을 정식으로 석방하였다. 그러나 그것도 잠시, 청나라 군대가 진주하고 대원군이 그들에게 잡혀 가자 다시 권좌에 오른 명성황후에 의해 제주도로 유배를 간 백낙관은 1883년 8월29일 38세를 일기로 처형되었다. 애닮은 충신의 생애였다. (그의 상소문은 지금도 육군 사관학교박물관에 보관중이며 그의 고향 주산면 금암리에 그를 기리는 비가 있다.)

                                                                                            <참고문헌>

    1. 변평섭, "정치 상황에 의분… 임오군란과 보령 출신 백낙관 연결고리", 충청투데이, 2020.8.14일자. 9면.

   



시청자 게시판

2,116개(2/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5505 2018.04.12
2095 소설가 김주영 <객주> 초고, 세상 다 줘도 못 바꿔 신상구 58 2024.04.02
2094 낮은 곳에서 한 작은 일들은 버림받지 않는다 사진 신상구 69 2024.03.28
2093 물리학을 전공한 세계적 수학자 이임학 사진 신상구 78 2024.03.22
2092 <특별기고> 서해수호의 날 9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행사 사진 신상구 72 2024.03.22
2091 광복회장 이종찬, 독립운동가 집안 잊은 적 없다 사진 신상구 87 2024.03.19
2090 북한의 역사학 및 고고학 등 인문학 연구 현황과 변화 심층 조명 신상구 39 2024.03.19
2089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 2017년 9월 23일 윤동주문학산촌 개관 사진 신상구 42 2024.03.18
2088 남이홍 장군의 생애와 업적 사진 신상구 69 2024.03.17
2087 초려 이유태의 무실론적 효사상의 현대적 의미 신상구 65 2024.03.17
2086 대전문단의 거목 백강 조남익 시인 별세 애도 사진 신상구 41 2024.03.15
2085 한국 서단의 대가(大家) 초정 권창륜 선생의 타계를 애도하며 사진 신상구 73 2024.03.14
2084 충북 노벨과학 리더키움 해외프로젝트 운영 사진 신상구 31 2024.03.14
2083 박목월 미공개 육필시 발견 “또 다른 작품세계” 사진 신상구 82 2024.03.14
2082 대전시 2048년 그랜드 플랜 가동 신상구 40 2024.03.13
2081 20년간 공고해진 좌편향 ‘한국사 시장’ 오류 저격하는 젊은 역사 유튜버 사진 신상구 33 2024.03.11
2080 <특별기고> 대전 3.8민주의거 제64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기 사진 신상구 51 2024.03.10
2079 영화 '파묘' 처럼... 현충원 친일파, 언제쯤 들어낼 수 있을까 사진 신상구 38 2024.03.09
2078 소운서원 이정우 원장, 동·서양 아우른 첫 ‘세계철학사’ 완간 신상구 48 2024.03.07
2077 누구나 읽을 수 있는 백화문으로 위안스카이 독재 비판 사진 신상구 33 2024.03.07
2076 민족사학의 큰별, 박정학 한배달 이사장 별세 사진 신상구 42 2024.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