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고조선 강역’ 한중 고대사 전쟁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2.02.23 02:40

                                                                          ‘고조선 강역’ 한중 고대사 전쟁

中사학자, 北中고고발굴대 일기서 “北, 낙랑군 위치 中서 은폐 의심”

北, 고조선 성터 탐색서 갈등 시작… 몽골까지 고조선 영토 상정하려 해

양국, 공동보고서 안 내고 갈라서… 中은 ‘고고발굴대 역사’ 지워버려

동아일보

1963∼1965년 북한과 중국이 공동 조직한 ‘조·중고고발굴대’에서 중국 측 연구대장인 고고학자 안즈민(오른쪽). 강인욱 경희대 교수 제공


   “북-중이 역사 문제에 서로 다른 관점을 갖고 있다. 민족 감정으로 인한 문제가 생겼다.”(1963년 4월 23일 안즈민의 일기)

   고조선 강역을 둘러싼 한중 역사 갈등이 1960년대 이미 시작됐다는 사실이 중국 고고학자 안즈민(安志敏·1924∼2005)의 일기를 통해 밝혀졌다. 1963∼1965년 북한과 중국이 공동 조직한 조·중고고발굴대에서 중국 측 연구대장을 맡았던 그의 일기에는 고조선사를 놓고 북-중이 벌인 신경전이 담겼다. 2020년 중국에서 출간된 안즈민의 일기가 국내에 소개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강인욱 경희대 사학과 교수는 18일 경희대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와 고조선부여사연구회가 공동 주최한 학술대회에서 안즈민의 일기를 통해 북-중 고대사 갈등의 기원을 분석한 논문을 발표했다. 중국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출신인 안즈민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후 발굴을 주도한 중국 고고학의 초기 세대를 대표한다.

   1963년 공동 발굴대를 조직하는 데 뜻을 모았던 양국은 왜 틀어졌을까. 강 교수는 북한 측 사학자 리지린(李址麟·1915∼?)이 고조선 성터를 찾아 나서며 갈등이 시작됐다고 봤다. 1963년 9월 리지린은 중국 랴오둥(遼東) 지역 하이청(海城) 성터를 조사하면서 해당 지역을 고조선의 도성인 ‘왕검성’이라고 주장했다. 중국 측이 “명나라 성터”라며 맞섰으나 북한은 고조선 성터를 찾으려는 의중을 숨기지 않았다. 이후에도 북측은 랴오둥뿐 아니라 몽골까지를 고조선 영토로 상정하려 했다. 이러한 정황은 안즈민의 일기에 기록됐다.

    1963년 9월 27일 안즈민의 일기에는 북측 학자들이 “중국이 낙랑군의 소재를 알고도 숨기는 거 아니겠느냐”며 중국 측과 논쟁한 정황도 담겼다.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고조선을 멸망시킨 뒤 중국의 한무제(漢武帝)가 설치한 군으로, 낙랑군의 위치는 고조선 강역을 규명할 핵심 열쇠였다. 북한이 고조선 강역을 규명하기 위해 발굴대를 조직했다는 의중이 명확히 드러난 셈이다. 북한의 의중을 알아차린 중국은 통역원을 정보원으로 두고 감시하며 신경전을 벌였다. 낙랑군의 위치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신경전의 중심에는 고조선 강역을 둘러싼 양보할 수 없는 양국 갈등이 존재했다. 북한이 고조선사에 집중하게 된 건 1956년 소련이 출판한 ‘세계통사’ 때문이다. 이 책에는 중국에서 온 낙랑군이 한반도에 유입돼 한반도 역사가 시작됐다는 일제식민사관 서술이 그대로 담겼다. 북한은 공산주의 종주국 소련의 역사 인식이 북한의 자주성에 악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했다. 이에 북한은 고조선 도성이 평양에 있다는 당대 일부 북한 학계의 주장에서 벗어나 왕검성이 중국 랴오둥 지역에 있었음을 입증해 민족사의 자주성을 세우려 했다.

동아일보

1964년 중국 랴오닝성 다롄시에서 조·중고고발굴대가 무덤을 발굴하고 있다. 당시 현장에서 발굴된 ‘누상(樓上) 무덤’은 기원전 7∼5세기경 고조선의 유적으로 조사됐다. 무덤에서는 고조선대 유물인 비파형 동검 등이 나왔다. 강인욱 경희대 교수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은 랴오둥 지역에 고조선의 흔적이 있음을 인정하지 않았다. 중국은 발굴대가 랴오둥에서 발굴한 고조선 유물 ‘비파형 동검’을 만주 청동기 시대 유물로 규정했다. 비파형 동검이 고조선 유물이라는 사실조차 합의하지 못한 채 양국은 1965년 공동 보고서도 내지 않고 갈라섰다. 이후 중국은 랴오둥 지역에서 발굴된 고조선 유물의 존재를 은폐하기 위해 조·중고고발굴대를 역사에서 지워버린다.

   고조선 강역을 둘러싼 한중 고대사 분쟁은 현재 진행형이다. 강 교수는 “변방을 다민족의 역사가 아니라 한족 문명의 역사가 확산된 곳으로 규정하는 중국의 팽창적 역사관은 60년 전 북한과 고조선사를 둘러싼 분쟁의 반작용에서 본격화됐다”며 “조·중고고발굴대는 한중 고대사 분쟁의 시작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참고문헌>                                                                 1. 이소연, "‘고조선 강역’ 한중 고대사 전쟁, 1960년대 이미 시작됐다", 동아일보, 2022.. 2.. 21일자.  A20년



시청자 게시판

2,121개(15/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6573 2018.04.12
1840 대한민국 헌법학의 권위자 김철수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사진 신상구 399 2022.03.29
1839 인공지능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신상구 324 2022.03.25
1838 송익필과 파주 심학산 사진 신상구 610 2022.03.19
1837 3.8민주의거 62주년을 기념하며 사진 신상구 446 2022.03.18
1836 시조 속의 역사 신상구 527 2022.03.18
1835 자연에서 찾아낸 첨단기술 신상구 349 2022.03.16
1834 소산 박대성의 몽유신라도원도 감상 사진 신상구 597 2022.03.11
1833 우크라이나 사태, 우리 안보문제 재정립 기회 사진 신상구 294 2022.03.11
1832 책 바보 이덕무의 죽음과 깨뜨리지 못한 서얼 차별 사진 신상구 419 2022.03.03
1831 모든 것은 우리 탓이다 사진 신상구 518 2022.03.01
1830 이어령 초대 문화부 장관 타계를 애도하며 신상구 323 2022.02.27
1829 [특별기고] 2022년 임인년의 민속과 국운 신상구 584 2022.02.26
1828 <특별기고> 항일독립운동가이자 민족사학자인 단재 신채호 선생 사진 신상구 637 2022.02.26
1827 |중국 내 조선족 사진 신상구 418 2022.02.23
>> ‘고조선 강역’ 한중 고대사 전쟁 사진 신상구 326 2022.02.23
1825 윤행임의 8도 사람 4자 평과 재치 사진 신상구 490 2022.02.23
1824 초혼 단재 애곡(招魂 丹齋 哀哭) 신상구 316 2022.02.22
1823 꽃의 시인 김춘수의 생애와 문학세계 신상구 642 2022.02.02
1822 임강빈 시비(詩碑) 제막식을 다녀와 쓰는 편지 사진 신상구 370 2022.02.01
1821 금정 최원규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428 2022.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