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유한양행 창업자 유일한 박사의 생애와 사상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08.15 14:06

                                                                          유한양행 창업자 유일한 박사의 생애와 사상 


   2020년 8월 15일 오전 11시 EBS가 광복 75주년을 맞이하여 '100세 철학자' 김형석(연세대 명예교수)이 독립운동가, 기업가, 교육자로서 큰 발자취를 남긴 유일한 박사의 이타적 한평생을 조명했다. 특별강연을 맡은 김형석은 유일한과 동시대 인물이자 평양 출신 동향으로서 당대의 사회상을 생생하게 증언한다. 배금주의가 만연한 이 시대에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답을 '억만장자 독립운동가' 유일한 박사의 삶을 통해 돌이켜보았다.


   김구, 안중근, 윤봉길과 다른 '유일한식 독립운동'

   일제강점기에 조선인인 당신이 부자가 되었다면 어떻게 살았을까. 그것도 조선 땅이 아니라 미국에서 말이다. 굳이 조선 땅으로 돌아와 창업과 독립운동이라는 모험을 했을까.

   약 100년 전에 그랬던 청년이 있었다. 광복 제75주년을 맞이해 EBS에서 선보이는 특별강연의 주인공은 독립운동가이자 유한양행 창업주 유일한(柳一韓, 1895~1971)이다.

   우리가 '독립운동가'하면 흔히 떠올리는 김구, 안중근, 윤봉길이 의열투쟁가였다면 유일한은 전혀 다른 방식으로 독립운동을 실천한 인물이다. 미국 미시간대 졸업 후 현지에서 식품회사를 창업해 일찌감치 성공한 청년실업가로 살고 있었던 유일한은 31세였던 1926년 식민 지배의 한복판에 있었던 조국에 제 발로 귀국한다.

   여느 독립운동가와 대비되는 '유일한식 독립운동'의 가장 큰 특징은 '사업보국(事業報國)'이다. 식민지 조선인의 열악했던 위생 · 보건 향상을 위해 유한양행을 창업한 그의 기업경영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후까지 종업원지주제, 전문경영인제 등 각종 '한국 최초'의 역사를 새로 쓰며 글로벌 스탠다드의 효시가 됐다.

   '유일한식 독립운동'의 또 하나는 일제강점기 35년간 내내 지속된 일관성이다. 9세 때 미국으로 건너가 10대 때 한인소년병학교에서 독립운동을 시작한 유일한은 3.1운동 직후인 1919년 4월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개최되어 '재미교포들의 3.1운동'이라 불리는 자유한인대회에서 '한국인의 목적과 열망'이라는 독립 결의문을 발표한다.

   50세가 넘은 1945년에는 미 육군 전략정보국(OSS, 미 CIA의 전신)의 한반도 침투를 위한 극비작전인 냅코 프로젝트(NAPKO Project)에 비밀요원으로 참여하는 등 미주 독립운동의 핵심인물로 활약했다.

   광복 후에도 작전 기밀을 발설하지 않았던 탓에 그의 독립운동은 사후 20년이 지나 미국의 기밀문서가 공개된 후에야 뒤늦게 고국에 알려져 건국훈장 독립장(1995)이 추서됐다.

   배금주의가 만연한 이 시대에 '억만장자 독립운동가' 유일한의 일생은 '돈을 넘어 어떤 인생을 살 것인가?'에 대한 화두를 던진다.



    오직 김형석만이 들려줄 수 있는 유일한 이야기

   이번 EBS 광복 75주년 특별강연은 <유일한의 생애와 사상>의 저자 김형석(100) 연세대 명예교수가 특별 출연한다. 유일한과 동시대 · 동향 인물인 김 명예교수는 현존하는 최고의 '유일한 전문가'로 꼽힌다.

   김 명예교수는 "청년들, 특히 사업하는 분들이 유일한 선생의 정신을 꼭 알았으면 좋겠다"는 당부로 이번 특별강연에 출연한 소감을 밝혔다.

시청자 게시판

2,426개(7/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308 2018.04.12
2305 영원한 생명은 영원할 수 없다 사진 신상구 397 2024.09.03
2304 2025년부터 사용될 검정 중학교 역사 교과서 7종 주요 내용 신상구 912 2024.09.03
2303 대구 대연학당 청고 이응문 선생 별세 신상구 441 2024.09.03
2302 <특별기고> 유관순 열사 영웅 만들기 프로젝트 실체 사진 신상구 464 2024.09.02
2301 한글문화 세계화를 주도하는 세종특별자치시 신상구 391 2024.08.31
2300 불교계 항일 거점은 어떻게 예술로 기록됐나 사진 신상구 513 2024.08.31
2299 교육수준 3위와 사회적 자본 107위 사진 신상구 423 2024.08.30
2298 동학의 본질은 계급투쟁 아닌 내면의 혁명 사진 신상구 385 2024.08.30
2297 경술국치일 114주년을 맞이하여 신상구 454 2024.08.30
2296 해방 다음날 우리집서 만든 신문 '건국시보' 광복의 기쁨 함께 나눴다 사진 신상구 434 2024.08.30
2295 AI·바이오·양자 등 12대 기술에 30조원 투자 신상구 377 2024.08.30
2294 헌법정신 부정하는 신 친일파인 뉴라이트 역사 쿠데타 성공 못해 사진 신상구 370 2024.08.30
2293 독립운동가의 후손 고려인 돕기 운동 사진 신상구 536 2024.08.29
2292 무국적 고려인 시인 이스타니슬라브의 절규와 현실 사진 [1] 신상구 612 2024.08.29
2291 모바일 이 분을 섭외해주세요 [1] 라이라 409 2024.08.28
2290 재일교포 지위 강화는 일본 내 식민지 갖는 효과 사진 신상구 437 2024.08.28
2289 조선말 고종 시대 충청도 가야금 명창을 창시한 '박팔괘'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355 2024.08.28
2288 국학박사 신상구가 최근 발간한 단행본 2권 홍보자료 대한출판문화협회 등록 신상구 349 2024.08.27
2287 화장장 1곳당 연 5600명, 죽을 때도 경쟁이다 신상구 536 2024.08.27
2286 파월 '피벗 선언' 했는데, 대한민국 빚 3000조 돌파 신상구 372 2024.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