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호중동학군 별동대장 이종만 선생의 승전보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08.14 12:55

  •                                                                          호중동학군 별동대장 이종만 선생의 승전보

    조부이종찬(종만)모창녕성씨
                                         창녕 성씨였던 조모와 조부 이종만 선생.
       1894년 동학군이 일본군을 상대로 첫 승전보를 올렸던 '대청전투'는 현재는 수몰된 대청호와 그 인근 지역에서 일어났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학계는 동학의 소중한 승전사를 연구할 수 있는 후속 사업과 대청전투에 참여했던 '호중동학군'을 국위선양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동학전란이 일어났던 1894년, 충청권에서는 그동안 우금치 전투를 대표적인 동학전투로만 알고 있었다. 그러나 문의 부근 금강 남안의 '지명'과 마달령 초입 '봉계곡'을 포함하는 '대청전투'는 그동안 우리가 잊고 있었던 승전의 역사를 간직한 의미있는 전투였다는 주장이다. 이와 함께 최신식 무기를 가진 일본군에 맞서 맨주먹으로 대전만의 저항운동을 보여줬기에 75주년 광복절을 맞는 이 시점에서 대전충청 지역민들에게 큰 울림으로 다가온다. 
       대청전투와 호중동학군에 대한 재조명은 이상면 서울대 법대 명예교수로부터 출발한다. 이상면 명예교수는 본보와의 통화에서 "호중동학군의 별동대장이었던 이종만(호적 이름은 이종찬 1870~1956)은 제 할아버지다. 1894년 10월 26일부터 29일까지 대청지역 전투에서 승리를 견인했다"고 소개했다. 이어 "대청전투는 공주 우금치전투를 돕고 청주에 주둔하고 있었던 삼남최대의 군사기지 진남영과 일본군을 견제했던 치열했고 중요한 전투였다"고 말했다.
       대청전투가 벌어지던 당시 전봉군의 호남동학군과 손병희의 호북동학군이 연합해 천연 요새 공주성을 점령한 일본군과 전투를 앞두고 있었다. 일본군은 위기에 몰린 공주에는 서로군을 보내 호남호북 연합동학군을 토벌하고, 진남영에 있는 청주에는 중로군을 보내 호중동학군을 토벌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문의 지명에 근거를 둔 호중동학군이 10월 29일 옥천에서 출정해 마달령을 넘어 봉계곡에서 중로군의 지대를 격파했다. 또 호중동학군이 공주 지원에 나선 중로군의 후방을 교란해 결국 문의에 있던 일본군은 공주 지원을 하지 못하고 문의로 돌아와야 했다.
       이상면 교수는 "연합동학군이 공주성 진압작전에서 패전을 거듭한 것과 달리 호중동학군은 연이어 승전했는데도 여태껏 이 사실이 알려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RheeSM이상면
    이상면 서울대 명예교수
       우금치 전투 이후 이종만 별동대장이 이끄는 호중동학군는 또 한 번 활약한다. 11월 14일 연산에서 포위 작전을 전개해 노성에 집결해 있던 전봉준 동학군의 퇴로를 열었고, 이들은 무사히 논산으로 후퇴할 수 있었다.
       이상면 교수의 조부이자 호중동학군의 별동대장이었던 이종만 선생은 동학전란 후 의병운동과 독립운동을 했다. 1914년 고국으로 돌아와 1956년 서거했다.

       이상면 교수는 "동학은 민국혁명의 시원이다. 동학은 의병운동과 독립운동으로 이어졌고, 1919년 3·1운동으로 이어져 1945년 조국 광복으로 이어진다. 광복절을 맞아 대청호에서 있었던 동학의 승전보의 역사가 알려질 수 있어 기쁘다"고 전했다.
       이상면 교수는 조모와 조부의 장례식에서 조문을 오던 동학동지들의 모습을 생생하게 기억한다. 이 교수는 호중동학군과 조부의 이야기를 '신인간' 잡지에 '고요히 흐르는 금강'이라는 제목의 소설로 지난 7월호부터 24회 연재할 예정이다.  <이해미, "항일운동의 뿌리, 호종동학군이 있었다", 중도일보, 2020.8.14일자. 1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7/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873 2018.04.12
    2305 영원한 생명은 영원할 수 없다 사진 신상구 409 2024.09.03
    2304 2025년부터 사용될 검정 중학교 역사 교과서 7종 주요 내용 신상구 952 2024.09.03
    2303 대구 대연학당 청고 이응문 선생 별세 신상구 457 2024.09.03
    2302 <특별기고> 유관순 열사 영웅 만들기 프로젝트 실체 사진 신상구 480 2024.09.02
    2301 한글문화 세계화를 주도하는 세종특별자치시 신상구 403 2024.08.31
    2300 불교계 항일 거점은 어떻게 예술로 기록됐나 사진 신상구 528 2024.08.31
    2299 교육수준 3위와 사회적 자본 107위 사진 신상구 435 2024.08.30
    2298 동학의 본질은 계급투쟁 아닌 내면의 혁명 사진 신상구 399 2024.08.30
    2297 경술국치일 114주년을 맞이하여 신상구 465 2024.08.30
    2296 해방 다음날 우리집서 만든 신문 '건국시보' 광복의 기쁨 함께 나눴다 사진 신상구 449 2024.08.30
    2295 AI·바이오·양자 등 12대 기술에 30조원 투자 신상구 390 2024.08.30
    2294 헌법정신 부정하는 신 친일파인 뉴라이트 역사 쿠데타 성공 못해 사진 신상구 384 2024.08.30
    2293 독립운동가의 후손 고려인 돕기 운동 사진 신상구 557 2024.08.29
    2292 무국적 고려인 시인 이스타니슬라브의 절규와 현실 사진 [1] 신상구 630 2024.08.29
    2291 모바일 이 분을 섭외해주세요 [1] 라이라 422 2024.08.28
    2290 재일교포 지위 강화는 일본 내 식민지 갖는 효과 사진 신상구 448 2024.08.28
    2289 조선말 고종 시대 충청도 가야금 명창을 창시한 '박팔괘'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368 2024.08.28
    2288 국학박사 신상구가 최근 발간한 단행본 2권 홍보자료 대한출판문화협회 등록 신상구 369 2024.08.27
    2287 화장장 1곳당 연 5600명, 죽을 때도 경쟁이다 신상구 549 2024.08.27
    2286 파월 '피벗 선언' 했는데, 대한민국 빚 3000조 돌파 신상구 385 2024.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