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대한민국이 노벨 과학상을 수상하려면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1.05 13:12

                                                                       대한민국이 노벨 과학상을 수상하려면

   노벨과학상 수상자가 30년간 224명인 가운데, 이 중 60대 이상 수상자가 전체 68%인 152명에 달하면서 노벨과학상 수상자가 단 한명도 배출하지 못한 우리나라의 장기적 연구를 통한 안정적인 연구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양정숙 의원(무소속)이 4일 한국연구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과학분야 노벨상 수상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최근 30년간 총 224명이 수상했고 이 중 60대가 64명으로 전체 29%를 차지하면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70대 61명, 50대 51명, 80대 이상 27명, 40대 19명, 30대 2명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한국연구재단이 발표한 '노벨과학상 종합분석 보고서'에는 1901~1925년에는 노벨과학상 수상자의 평균 연령이 49.6세였으나, 1926~1950년 수상자는 평균 51.6세, 1951~1972년 54.2세, 1991~2000년 62.3세, 2001~2010년에는 65.2세로 수상자 평균 연령이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지난해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존 구디너프는 당시 만 97세로 역대 최고령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는 역대 최고령 수상 기록을 단 1년 만에 갈아치우면서, 노벨상 수상자의 고령화 현상이 현실화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연구재단 자료에 따르면, 30년간 노벨상 수상자 중 핵심연구를 시작하면서 노벨상 수상까지 걸린 기간이 평균 32년인 것으로 조사됐다.
   양정숙 의원은 “정부는 국내 과학분야 노벨상 수상자 배출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지금의 노력으로는 세계 과학자들과 경쟁하기에는 항상 역부족이다”며, “노벨과학상 수상자의 연령대가 꾸준히 높아지는 것은 그만큼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연구환경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양 의원은 “우리나라에서도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안목에서 안정적인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연구자에 대한 처우개선과 우수연구원의 정년 연장 보장 등 정부가 제도개선에 적극 나서야 한다”며, “탄탄한 기초연구를 시작으로 과학외교를 통한 적극적인 홍보활동과 민간연구네트워크 강화 등을 통해 연구역량 제고와 성과물에 대한 정당한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참고문헌> 
   1. 장진응, "30년간 역대 노벨과학상 수상자 조사 : 68%가 60대 이상...만 97세 최고령 수상", 대전일보, 2021.1.5일자. 7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19974 2018.04.12
2425 진천군, 보재 이상설 선생 서훈등급 상향 추진 사진 신상구 546 2024.11.28
2424 2025년 지식인들의 잡지 '사상계' 재창간 신상구 686 2024.11.28
2423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2024년 12월 7일 재개관 사진 신상구 564 2024.11.27
2422 여든 넘어 글 배운 칠곡 할매의 詩, 교과서 실린다 신상구 520 2024.11.27
2421 청주고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 마무리 신상구 292 2024.11.27
2420 금행일기와 휵양가 신상구 257 2024.11.26
2419 WTO 체제, 강제력 잃은 명목상 경제질서로 전락할 수도 신상구 249 2024.11.26
2418 교육부 가칭 해외 한국어 교육 지원 센터 설립 추진 신상구 276 2024.11.26
2417 64년만에 완성한 민주주의 역사 보물창고, 3.8민주의거 기념관 신상구 246 2024.11.25
2416 정답 지상주의에서 벗어나는 교육 신상구 247 2024.11.25
2415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2) 사진 신상구 273 2024.11.25
2414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1) 사진 신상구 324 2024.11.25
2413 세상 종말이 와도 사랑을 되살려내는 시의 힘 신상구 269 2024.11.24
2412 서울 광화문광장 100년사 사진 신상구 458 2024.11.24
2411 노벨상 위해선 느슨한 시스템 필요 사진 신상구 286 2024.11.23
2410 국내 서양근대사 연구 개척자, 나종일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신상구 224 2024.11.23
2409 한국교회, ‘선교 140주년’ 기념 사진 신상구 388 2024.11.23
2408 대한민국 학교 교육과정 사진 신상구 403 2024.11.22
2407 나치 전범재판 사진 신상구 356 2024.11.21
2406 정책 전환의 성공과 실패 신상구 261 202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