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예성문화연구회, 충주외성(外城) 위치 발굴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10.17 14:40

                                                                       예성문화연구회, 충주외성(外城) 위치 발굴   


   

조선총독부의 제5차 사료조사 과정에서 촬영된 유리원판 사진으로 가운데 하얀 길은 당시에 탄금대로 난 신작로다. /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조선총독부의 제5차 사료조사 과정에서 촬영된 유리원판 사진으로 가운데 하얀 길은 당시에 탄금대로 난 신작로다. /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충주지역 향토사학회인 (사)예성문화연구회(회장 길경택)가 충주외성이 있던 위치를 찾아냈다.

충주지역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촬영된 유리원판 사진 중에 '충주읍외(忠州邑外) 토성벽(土城璧)'으로 이름이 붙여진 사진이 토성의 존재를 실증해 주는 자료로 남아있다.이 사진의 토성벽 뒤로 보이는 산의 능선을 두고 사진의 위치와 지점을 추정하기도 했다.
    (사)예성문화연구회는 그동안 충주시내 지적도를 재구성하는 작업을 통해 해당 사진의 지점을 정확하게 찾아내는 성과를 올렸다.
    예성문화연구회에 따르면 1914년 11월에 충주시내 17개 리동(里洞)에 대한 지적측량작업이 시작돼 470여 매의 지적원도가 생성됐고 그 중 사진에 해당되는 지점은 용산리(龍山里) 원도 25매 중 19호 도면과 봉방리(鳳方里) 원도 30매 중 3호 도면을 합쳤을 때 구체적으로 확인된다.
    도면에서 보이는 토성벽은 신작로를 사이에 두고 앞쪽은 임야로 지목이 표시됐고 뒤쪽은 밭으로 돼 있다.
    해당 지점은 지금의 삼원초등학교 버스승강장이 있는 곳이다.
    앞의 임야였던 토성벽은 현재 고용노동부 충주고용센터 뒷편의 골목에 해당된다.
    이 골목은 소위 성터지기라 불리는 농어촌공사 충주제천단양지사로 이어지고 뒷쪽의 토성벽은 삼원초등학교를 가로질러 충주천에 맞닿는다.
    현재 확인된 충주외성은 사직산 서남측의 일부 구간이 2009년도에 부분 시굴됐고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진행된 호암택지지구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토성이 발굴돼 보존 조치됐다.
    충주외성은 봉현성(鳳峴城)으로도 불렸으며 두 곳의 유적을 제외한 구간에 대해서는 추정을 통해 개략적으로 파악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도시화에 따른 급격한 공간변화로 인해 흔적을 찾기 어려운 구간이 대부분이다.
    (사)예성문화연구회는 충주시와 협의를 통해 추가 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길경택 회장은 "지적도 뿐 아니라 지지류, 양안(量案), 지형도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아직 확인하지 못한 충주의 각종 유적에 대한 폭넓은 접근 가능성을 여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참고문헌>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575 2018.04.12
2425 진천군, 보재 이상설 선생 서훈등급 상향 추진 사진 신상구 570 2024.11.28
2424 2025년 지식인들의 잡지 '사상계' 재창간 신상구 723 2024.11.28
2423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2024년 12월 7일 재개관 사진 신상구 586 2024.11.27
2422 여든 넘어 글 배운 칠곡 할매의 詩, 교과서 실린다 신상구 538 2024.11.27
2421 청주고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 마무리 신상구 302 2024.11.27
2420 금행일기와 휵양가 신상구 263 2024.11.26
2419 WTO 체제, 강제력 잃은 명목상 경제질서로 전락할 수도 신상구 257 2024.11.26
2418 교육부 가칭 해외 한국어 교육 지원 센터 설립 추진 신상구 291 2024.11.26
2417 64년만에 완성한 민주주의 역사 보물창고, 3.8민주의거 기념관 신상구 252 2024.11.25
2416 정답 지상주의에서 벗어나는 교육 신상구 254 2024.11.25
2415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2) 사진 신상구 282 2024.11.25
2414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1) 사진 신상구 336 2024.11.25
2413 세상 종말이 와도 사랑을 되살려내는 시의 힘 신상구 280 2024.11.24
2412 서울 광화문광장 100년사 사진 신상구 492 2024.11.24
2411 노벨상 위해선 느슨한 시스템 필요 사진 신상구 292 2024.11.23
2410 국내 서양근대사 연구 개척자, 나종일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신상구 232 2024.11.23
2409 한국교회, ‘선교 140주년’ 기념 사진 신상구 403 2024.11.23
2408 대한민국 학교 교육과정 사진 신상구 429 2024.11.22
2407 나치 전범재판 사진 신상구 372 2024.11.21
2406 정책 전환의 성공과 실패 신상구 273 202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