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의병장 최익현과 임병찬의 무성서원 봉기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10.14 18:39

                                                                     의병장  최익현과 임병찬의 무성서원  봉기



                             1906년 최익현이 임병찬 등 제자들과 함께 의병을 일으킨 정읍의 무성서원. 손호철 교수 제공


    “-어느 시대인들 난적의 변고가 없겠느냐만, 그 누가 오늘날의 역적과 같을 것인가? 또한 어느 나라엔들 오랑캐의 재앙이 없었겠느냐만, 그 어느 것이 오늘날의 왜놈과 같겠는가? 의병을 일으켜라. 더 이상 말이 필요 없다. 살아서 원수의 노예가 되기보다는 죽어서 충의로운 넋이 낫지 않겠는가?”

    지금 읽어도 가슴이 뛰는 이 격문은 110여 년 전인 1906년 연암 최익현이 무성사원에서 일본에 대항해 의병을 일으키며 선포한 창의(倡義)격문이다. 그의 나이는 무려 74살이었다.

    나는 최익현, 그의 제자로 함께 의병을 일으킨 임병찬을 만나러 정읍의 오지로 가고 있다. 칠보면과 산외면은 정읍에서도 동쪽 끝에 위치한 오지 중의 오지지만, 한국근현대사의 중요한 현장이다. 산외면 동곡리는 동학의 맹장인 김개남이 태어났고 이곳에 이사 온 전봉준과 함께 공부하고 자란 곳이다. 여기에서 10떨어진 칠보면 무성리에 무성서원이 있고, 이 두 곳으로부터 20떨어진 산외면 총성리는 임병찬이 의병을 일으킨 곳이다.

 

           한말 항일의병운동의 촉발시킨 최익현의 1906년 병오년 창의거병을 기념한 정읍 무성서원의 병오창의기적비. 손호철 교수 제공

 

    전국 47개 서원 중 전북에 위치한 유일한 서원인 무성서원은 1615년 세워져 도산서원, 소수서원 등 8개 서원들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된 자랑스러운 곳이다. 서원에 들어가면 고풍스러운 서원 뒤쪽에 낡은 비석이 하나 눈에 뜨인다. 1905년 일본이 우리의 주권을 강탈한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병오년인 19066월 연암 최익현, 임병찬이 이곳에서 호남 최초로 의병을 일으킨 것(창의)을 기념해 세운 병오창의기적비(丙午倡義記蹟碑)’이다.

    최익현은 이항로의 수제자로 한국 성리학의 정통으로 간주되었고 성리학의 왕도정치를 이상향으로 생각해, 서구의 제국주의가 밀려오자 목숨을 걸고 위정척사’(衛正斥邪, 올바른 것을 지키고 사악한 것을 배척한다)를 추구한 강직한 선비였다. 특히 그는 왕권을 강화하려고 경복궁을 중건하려는 대원군의 계획에 반대하다가 관직을 빼앗기는 등 바른 말을 아끼지 않았고, 민씨 정권이 1876년 나라의 문을 여는 강화도조약을 맺으려 하자 도끼를 메고 광화문에 나아가 개항에 반대하는 항소를 올린 것은 전설적인 일화이다. 임병찬 역시 낙안군수로 민생을 노력하다가 탐관오리들의 횡포가 나아지지 않자, 관직을 버리고 낙향해 학문에 전념한 올곧은 선비이다.

 

                                                          충남 청양의 모충사에 있는 최익현 동상. 손호철 교수 제공

 

    최익현은 임병찬 등 제자 80여명과 무성서원에서 진군해 태인에 무혈 입성했다. 그곳의 무기로 무장한 의병들은 곡성, 남원, 순창을 점령하고 숫자도 1000명 가까이 늘어났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일본군이 아니라 관군이 정벌을 하러 오자 동족간의 살상은 원치 않는다고 스스로 무장해제해 체포됐다. 그는 임병찬과 함께 일본 대마도로 압송됐다. 그는 적의 음식을 먹을 수 없다고 단식을 하다가 숨을 거두었다.

     임병찬은 다음해 특별사면으로 귀국했고 스승의 유서를 고종에게 전달했다가 일본헌병대에 체포되어 강도 높은 조사를 받았다. 1910년 한일합방이 선포되자 그는 다시 의병을 일으킬 준비를 했다. 그는 고종의 밀사를 통해 독립의군부라는 전국적인 의병조직을 조직해 사령총장으로 항일투쟁에 나서려 했지만 비밀이 누설되면서 다시 체포됐다. 서대문형무소에서 그는 자결을 시도했지만 실패, 거문도로 유배를 갔고 스승처럼 단식 끝에 목숨을 잃었다.

 

                                                최익현의 제자로 그와 함께 호남 의병을 일으킨 임병찬 장군. 연합뉴스 자료사진

 

    나는 임병찬을 만나기 위해 산외면 총성리로 향했다. 물안개가 아름다운 옥정호가 내려다보이는 언덕에 올라가자 임병찬이 의병을 키우던 훈련장 등을 재현하기 위한 조감도와 함께 대한독립의군부 사령총장 임병찬 묘라는 비석이 자리 잡고 있다. 조국을 위해 단식으로 목숨을 바친 한 선비에게 나도 모르게 경의를 표하지 않을 수 없었다. 과연 나는 신념을 위해 목숨을 버릴 수 있을까.

    그 때 내 머리를 떠나지 않은 것이 있었다. 그것은 최익현, 임병찬 등 선비들의 의병투쟁으로부터 시계바늘을 12년 전인 1894년으로 돌려보는 것이다. 12년 전 동학농민군은 척양척왜를 외치며 봉기, 일본군과 싸우기 위해 상경했고 대원군이 유림도 같이 하기를 호소했을 때, 최익현과 임병찬 등 애국적 유림과 선비들이 무엇을 했느냐는 것이다.

 

일제에 끝까지 저항하다 체포되어 단식으로 저항하다 순국한 임병찬의 묘에는 고종이 내린 대한독립의군부 사령총장이란 직위가 쓰여 있다. 손호철 교수 제공


    논산의 유림들, 연산현감 이현세 등 일부 계몽된양반들은 동학군과 같이 했다. 그러나 대부분은 이를 외면했다. 아니 상당수는 민보군이라는 무장조직을 만들어 일본군, 관군과 합동으로 동학군을 타도하는 데 앞장섰다. 임병찬 의병 창의비로 올라오는 길에 걸려 있는 작은 팻말이 모든 것을 증언해주고 있다. 그것은 김개남 피체지라는 표식이었다. 그렇다. 임병찬의 고택은 김개남이 잡힌 곳이기도 하다. 김개남 이야기에서 이미 지적했듯이, 그는 자신의 절친인 김개남이 동학의 지도자가 되자 자기 집으로 유인한 뒤 관군에게 밀고해 비참하게 죽게 만들었다.

 

임병찬 유적지 바로 옆에 설치되어 있는 김개남 피체지표시. 임병찬은 절친인 김개남이 동학군 대장이 되자 그를 자기 집으로 유인한 뒤 밀고해 처형당하게 만들었다. 손호철 교수 제공

 

    많은 유림들에게는 일본군보다는 자신들의 기득권을 공격하고 자신들이 이상사회라고 생각하는 신분제의 봉건유교사회를 혁파하려는 동학이 더 큰 적이었고, 이들을 없애야 한다는 데에서 일본군, 관군과 이해를 같이 했다. 민족적 영웅인 안중근 의사조차도 어렸을 때 아버지를 따라 김구가 이끌던 황해도 동학군의 토벌에 앞장섰고, 죽기 직전까지도 동학군을 조선의 좀도둑이라고 비판했다.

    동학군은 단순히 일본군이 아니라 정부군+일본군+양반군(민보군)의 연합세력들에게 처절하게 학살당한 것이다. 그리고 일본군이 자신들의 조선정벌의 가장 큰 장애인 민중세력을 초토화시키고 나라를 뺏으려 하자, 유림들은 그 때서야 나라를 지키겠다고 목숨을 걸고 나선 것이다. 한마디로 때 늦은’ ‘때 놓친애국, ‘병 주고 약 주는 애국이었다. 안타까운 일이다.

 

민보군 중 가장 혁혁한 공로를 세운 박봉양의 공적을 기린 공적비 그는 남원지역 양반과 보부상들을 중심으로 민보군을 조직해 동학군의 동진을 막았다. 손호철 교수 제공

 

우리 선비들은 프랑스혁명과 함께 인간은 자유롭고 평등하다는 인권선언이 선포된 뒤 100년이 넘도록 신분제를 이상사회로 믿는 유교관을 고수하고 있었고, 이에 기초해 반봉건을 외친 동학농민들을 일본군, 관군과 손잡고 압살했다.

 

주목할 것은 동학의 주장이 그리 급진적인 것도 아니었다는 점이다. 왕정타파를 주장한 것도 아니고 노비제 폐지 등을 주장했지만 완전히 신분제를 없애자는 것이 아니라 불량한 유림과 양반들의 행실을 교정해야 한다는 것이었는데, 유림들은 그 정도조차도 수용하지 못한 것이다.

 

따라서 위정척사는 자주적이었는지는 모르지만 내용적으로는 정체되어 있었고 퇴행적이다. 다만 유림출신의 의병들이 다른 민보군들처럼 이후 친일파로 변신해 나라를 팔아먹는데 앞장서지 않고 일본과 싸우다가 목숨을 바쳤다는 것은 높이 평가해줄만 하다.

 일찍이 한말을 주제로 한 자신의 소설 바람과 구름과 비에서 양반, 유림들이 동학군과 손잡고 일본, 청국과 싸웠어야 했다는 문제의식을 보인 이병주의 동상. 경남 하동 이병주 문학관에 설치되어 있다. 손호철 교수 제공

 

      임병찬의 창의비를 보고 있자, 문득 '지리산' 등의 대하소설을 통해 선구적으로 한국근현대사에 대해 비판적으로 문제를 제기해온 이병주 작가가 한말을 배경으로 1978년 집필한 대하소설 '바람과 구름과 비()'의 후기가 떠올렀다           

     “한말의 역사는 우리 민족의 회환이다. 서울의 지식인들과 일부 지배층이 동학당과 합세하여 청국과 일본의 개입을 막고 혁명의 과정을 밟았으면 어떻게 되었을까? 만일 국왕과 동학도가 일치해 버렸다면, 그 결과가 어떻게 되었을까?”

     그렇다. 임병찬 등 양반과 유림들이 절친을 동학이란 이유로 밀고하거나 민보군을 조직해 동학군을 괴멸시키려 하지 않고, 낡은 신분제의 타파 등 시대적 변화를 인정하고 동학군과 손을 잡고 밖으로는 제국주의와 싸우고, 안으로는 기득권을 버리고 낡은 봉건적 질서를 혁파해 나갔다면 우리의 역사는 어찌 되었을까?

 

                                    일본제국주의에 저항해 투쟁을 하다가 일본군에 붙잡힌 의병들의 모습. 손호철 교수 제공

 

    유림들의 목숨을 건 의병활동은 당연히 자랑스러운 우리의 역사로 높이 평가하고, 그 정신을 계승해 나가야 한다. 하지만 그 숭고한 애국심과는 별개로 이들이 시대착오적인 봉건적인 유교관에 사로잡혀 일본에 대항해 함께 싸워야 할 동맹세력이었던 동학민중들을 척결한 뒤에야 뒤늦게 일본에 대해 목숨을 건 의병활동을 시작한 것은 너무도 비극적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문제는 이들의 이야기가 아직도 계속되고 있는 것 같다는 사실이다. 아직도 낡은 반공주의에 사로잡혀 나름 숭고한 애국심으로, 하지만 잘못된 방향으로 애국을 하고 있는 극우세력에서 나는 동학군을 때려잡던 민보군의 얼굴을 본다. 아니 각가지 위선이란 위선은 다 저지르면서도 자신들이 절대선이라고 착각하는 일부 개혁세력에서도 나는 민보군의 잘못된 애국을 본다.

                                                                                         <참고문헌>

   1. 손호철, "한말 선비들의 의병운동은 숭고하지만 때늦은 애국이었다", 한국일보, 2020.10.12일자. 23면.


             
              

시청자 게시판

2,095개(1/105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2662 2018.04.12
2094 낮은 곳에서 한 작은 일들은 버림받지 않는다 사진 신상구 12 2024.03.28
2093 물리학을 전공한 세계적 수학자 이임학 사진 신상구 27 2024.03.22
2092 <특별기고> 서해수호의 날 9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행사 사진 신상구 24 2024.03.22
2091 광복회장 이종찬, 독립운동가 집안 잊은 적 없다 사진 신상구 29 2024.03.19
2090 북한의 역사학 및 고고학 등 인문학 연구 현황과 변화 심층 조명 신상구 31 2024.03.19
2089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 2017년 9월 23일 윤동주문학산촌 개관 사진 신상구 19 2024.03.18
2088 남이홍 장군의 생애와 업적 사진 신상구 25 2024.03.17
2087 초려 이유태의 무실론적 효사상의 현대적 의미 신상구 19 2024.03.17
2086 대전문단의 거목 백강 조남익 시인 별세 애도 사진 신상구 21 2024.03.15
2085 한국 서단의 대가(大家) 초정 권창륜 선생의 타계를 애도하며 사진 신상구 25 2024.03.14
2084 충북 노벨과학 리더키움 해외프로젝트 운영 사진 신상구 19 2024.03.14
2083 박목월 미공개 육필시 발견 “또 다른 작품세계” 사진 신상구 31 2024.03.14
2082 대전시 2048년 그랜드 플랜 가동 신상구 19 2024.03.13
2081 20년간 공고해진 좌편향 ‘한국사 시장’ 오류 저격하는 젊은 역사 유튜버 사진 신상구 24 2024.03.11
2080 <특별기고> 대전 3.8민주의거 제64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기 사진 신상구 27 2024.03.10
2079 영화 '파묘' 처럼... 현충원 친일파, 언제쯤 들어낼 수 있을까 사진 신상구 29 2024.03.09
2078 소운서원 이정우 원장, 동·서양 아우른 첫 ‘세계철학사’ 완간 신상구 27 2024.03.07
2077 누구나 읽을 수 있는 백화문으로 위안스카이 독재 비판 사진 신상구 21 2024.03.07
2076 민족사학의 큰별, 박정학 한배달 이사장 별세 사진 신상구 28 2024.03.04
2075 한국이 그려야 할 선진국의 모습 사진 신상구 27 2024.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