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윤봉길 의사의 '글방' 오치서숙 위치 찾아냈다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10.07 03:15

                                                               윤봉길 의사의 '글방' 오치서숙 위치 찾아냈다

                                

associate_pic
                                                         [예산=뉴시스]윤봉길 의사의 글방인 오치서숙 과거 사진


   예산군은 윤봉길의사가 12세였던 1919년에 덕산공립보통학교를 자퇴하고 1921년 14세에 성삼문의 후손인 유학자 매곡(梅谷) 성주록(成周錄)선생의 문하생으로 사서삼경, 한시, 한학을 공부했던 ‘오치서숙(烏峙書塾)’의 장소를 현지조사와 증언을 통해 고증했다고 5일 밝혔다.
    오치서숙의 위치는 본래 예산군 덕산면 둔1리 둔지미 1길에 자리해 있다고 알려져 왔으나, 윤봉길의사기념관은 윤 의사가 다닌 오치서숙이 둔2리 노곡 16길에 위치해 있다는 내용을 증언을 통해 고증해냈다.
    이번 고증의 증언을 한 맹화섭 선생은 1931년 태어났으며, 성주록 선생의 생존하는 마지막 제자로 윤 의사와 관련된 이야기를 자주 접할 수 있었다. 성주록 선생은 민족의 문제를 도외시한 채 순수 학문만 고집하지 않았고 홍주의병장 김복한의 사상을 높이 숭상해 윤 의사를 비롯한 제자들에게 영향을 끼쳤다고 전해진다.
    맹화섭 선생은 “오치서숙의 본래 자리는 가마고개 인근 맹교원 선생이 거주하던 집”이라고 증언했다. 이에 따라 윤봉길의사기념관이 해당 위치를 토대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둔2리 노곡 16길에 2016년까지 존재해오던 오치서숙의 모습을 위성사진 자료와 현지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associate_pic
                                                             [예산=뉴시스]윤봉길 의사의 글방인 오치서숙 터(빨간 원)

      아쉽게도 현재 건축물은 철거돼 윤 의사의 청년시절 추억이 담긴 오치서숙은 터만 남아 있는 실정이다.
      윤봉길의사기념관 관계자는 “윤 의사의 청년시절 의병과 독립운동사상을 심어준 오치서숙이 갖는 의미를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며 “아울러 조선후기 유학자 매곡 성주록 선생을 예산군의 윤봉길 의사 관련 인물로 재조명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윤봉길의사기념관은 공립박물관 등록 이후 꾸준한 현지조사와 증언을 확보하는 등 윤 의사 관련 자료수집, 전시, 연구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참고문헌>
   1. 유효상, "예산군, 윤봉길 의사의 글방인 '오치서숙’ 역사 고증", 뉴시스 1, 2020.10.6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19974 2018.04.12
2425 진천군, 보재 이상설 선생 서훈등급 상향 추진 사진 신상구 546 2024.11.28
2424 2025년 지식인들의 잡지 '사상계' 재창간 신상구 686 2024.11.28
2423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2024년 12월 7일 재개관 사진 신상구 564 2024.11.27
2422 여든 넘어 글 배운 칠곡 할매의 詩, 교과서 실린다 신상구 520 2024.11.27
2421 청주고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 마무리 신상구 292 2024.11.27
2420 금행일기와 휵양가 신상구 257 2024.11.26
2419 WTO 체제, 강제력 잃은 명목상 경제질서로 전락할 수도 신상구 249 2024.11.26
2418 교육부 가칭 해외 한국어 교육 지원 센터 설립 추진 신상구 276 2024.11.26
2417 64년만에 완성한 민주주의 역사 보물창고, 3.8민주의거 기념관 신상구 246 2024.11.25
2416 정답 지상주의에서 벗어나는 교육 신상구 247 2024.11.25
2415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2) 사진 신상구 273 2024.11.25
2414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1) 사진 신상구 324 2024.11.25
2413 세상 종말이 와도 사랑을 되살려내는 시의 힘 신상구 269 2024.11.24
2412 서울 광화문광장 100년사 사진 신상구 458 2024.11.24
2411 노벨상 위해선 느슨한 시스템 필요 사진 신상구 286 2024.11.23
2410 국내 서양근대사 연구 개척자, 나종일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신상구 224 2024.11.23
2409 한국교회, ‘선교 140주년’ 기념 사진 신상구 388 2024.11.23
2408 대한민국 학교 교육과정 사진 신상구 403 2024.11.22
2407 나치 전범재판 사진 신상구 356 2024.11.21
2406 정책 전환의 성공과 실패 신상구 261 202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