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내 유일의 승려 초상 조각상​인 '건칠 희랑대사 좌상’ 국보 99호로 지정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09.03 19:54

                                     국내 유일의 승려 초상 조각상​인 '건칠 희랑대사 좌상’ 국보 99호로 지정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의 정면 모습


    길고 야윈 얼굴에 이마 주름살 세 줄, 깊게 파인 인중….  1100년 전 실존했던 고려시대 고승(高僧)의 모습을 극사실적으로 표현한 조각상이 보물에서 국보로 승격된다. 문화재청은 국내 현존하는 유일한 승려 초상 조각상인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을 국보로 지정예고한다고 2020년 9월 2일 밝혔다.

                                                                                            합천 해인사


    태조 왕건의 스승인 희랑대사(希朗大師)가 앉아 있는 모습을 조각한 것으로, 고려 10세기 전반에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높이 82.4㎝. 눈매는 자비롭고, 얇게 다문 입가의 미소에서 내면의 인품까지 느껴진다. 특이하게도 가슴에 작은 구멍이 뚫려 있다. 해인사 설화에는 이 흉혈(胸穴)이 희랑대사가 다른 스님들의 수행 정진을 돕기 위해 직접 구멍을 뚫어 모기에게 피를 보신한 흔적이라고 전한다. 그래서 희랑대사의 별칭이 ‘흉혈국인(胸穴國人·가슴에 구멍이 있는 사람)’. 하지만 박수희 문화재청 학예연구관은 “가슴이나 정수리에 구멍이 있는 승려의 형상은 보통 신통력을 상징한다”고 했다.

희랑대사상의 얼굴 부분. 이마 주름살 세 줄에 깊게 파인 인중, 눈매와 입가 미소를 사실적으로 표현해 스님의 내면까지 느껴진다.

    동시대 중국과 일본에선 입적한 고승에 대한 추모와 숭앙의 의미로 고승 조각상을 활발히 제작했다. 일본 나라(奈良)의 고찰 도쇼다이지(唐招提寺)에 남아 있는 당나라 감진 스님(鑑眞·688~763)의 초상 조각이 대표적이다.

     일본 나라(奈良)의 고찰 도쇼다이지(唐招提寺) 당나라 감진 스님(鑑眞·688~763)의 초상 조각(일본 국보)

     “깊고 따뜻한 고승의 혼이 그대로 나타난 것처럼 아름답다”(일본 근대 조각사의 거장 다카무라 고타로) 하여 일본 국보로 지정됐다.

                              희랑대사상의 옆얼굴. 이마의 주름과 야윈 턱선, 깊이 파인 인중이 더 선명하게 드러난다.

     반면 우리나라엔 승려상의 유례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애초 만들지 않았을까. ‘삼국유사’엔 원효대사 열반 후에 아들 설총이 원효의 소상(진흙을 빚어 만든 상)을 모시고 예배 드리자 소상이 고개를 돌려 그를 보았다는 기록이 전한다.

전문가들은 “우리도 일찍부터 승려상을 만들었고, 스님의 혼까지 느껴지는 극사실적 표현 기법이 일본에 전해졌을 가능성을 희랑대사상이 말해준다”고 했다.

     스님은 2018년 처음으로 해인사 밖을 나왔다.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대고려, 그 찬란한 도전’을 위해서다. 당시 박물관이 스승과 제자의 만남이라며 북한의 왕건상 자리를 비워둔 채 전시를 강행한 탓에, 관객들은 빈 좌대 옆에 쓸쓸히 앉은 스님을 지켜봐야 했다. 문화재청은 “고려 초기 우리나라 초상 조각의 실체를 알려주는 귀한 작품이자, 후삼국 통일에 이바지한 희랑대사의 높은 정신세계를 예술로 승화시킨 걸작”이라고 했다.

                                                                           희랑대사상의 손 부분을 확대

                                                                                         <참고문헌>

  1. 허윤희, "왕건 스승 ‘희랑대사像’, 국보 된다", 조선일보, 2020.9.3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443 2018.04.12
2425 진천군, 보재 이상설 선생 서훈등급 상향 추진 사진 신상구 567 2024.11.28
2424 2025년 지식인들의 잡지 '사상계' 재창간 신상구 719 2024.11.28
2423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2024년 12월 7일 재개관 사진 신상구 582 2024.11.27
2422 여든 넘어 글 배운 칠곡 할매의 詩, 교과서 실린다 신상구 534 2024.11.27
2421 청주고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 마무리 신상구 300 2024.11.27
2420 금행일기와 휵양가 신상구 262 2024.11.26
2419 WTO 체제, 강제력 잃은 명목상 경제질서로 전락할 수도 신상구 257 2024.11.26
2418 교육부 가칭 해외 한국어 교육 지원 센터 설립 추진 신상구 288 2024.11.26
2417 64년만에 완성한 민주주의 역사 보물창고, 3.8민주의거 기념관 신상구 251 2024.11.25
2416 정답 지상주의에서 벗어나는 교육 신상구 254 2024.11.25
2415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2) 사진 신상구 280 2024.11.25
2414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1) 사진 신상구 333 2024.11.25
2413 세상 종말이 와도 사랑을 되살려내는 시의 힘 신상구 277 2024.11.24
2412 서울 광화문광장 100년사 사진 신상구 480 2024.11.24
2411 노벨상 위해선 느슨한 시스템 필요 사진 신상구 291 2024.11.23
2410 국내 서양근대사 연구 개척자, 나종일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신상구 230 2024.11.23
2409 한국교회, ‘선교 140주년’ 기념 사진 신상구 402 2024.11.23
2408 대한민국 학교 교육과정 사진 신상구 423 2024.11.22
2407 나치 전범재판 사진 신상구 371 2024.11.21
2406 정책 전환의 성공과 실패 신상구 272 202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