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문덕수 원로시인 타계를 애도하며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03.20 21:25

                                                                               문덕수 원로시인 타계를 애도하며

   함안 출신 원로작가 문덕수(사진) 시인이 지난 2020년 3월 13일 낮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2세다.
   문덕수 시인은 1928년 함안에서 태어났다. 홍익대 법정학부를 졸업한 뒤 1947년 문예신문에 시 ‘성묘’를 발표했다. 1955년 ‘침묵’, ‘화석’, ‘바람 속에서’ 등의 작품으로 청마 유치환 선생의 추천을 받아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했다.
  시인은 1956년 첫 시집 〈황홀〉을 출간한 이래 많은 시집과 평론집을 펴냈다. 1973년 월간 시 전문지 <시문학>을 인수해 부인 김규화 시인과 함께 지금까지 결호 없이 3월 현재 통권 585호를 발간했다.
   시인은 순수 심리주의적 경향을 추구하면서도 현실을 상징적으로 반영한 시세계의 미학을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1953년부터 마산상업고등학교에서 교편을 잡았고, 1957년부터는 제주대 교수를 거쳐 1961년부터 1994년까지 홍익대 국문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1981년부터 1984년까지 한국현대시인협회장, 1992년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회장, 1995년 한국문화예술진흥원장, 1993년부터 현재까지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으로 활동했다. 2000년에는 시인이 소장해 온 2만여권의 장서와 서화 260여점, 도자기 90여점, 수석, 기념품 등 130여점 총 490여점을 창신대학교에 기증, 창신대 내 도서관 건물 3층에 ‘문덕수 문학관’이 마련됐다.
  현대문학상, 대한민국문화예술상, 은관문화훈장, 청마문학상, 국민포장 등을 받았다
   빈소는 서울 신촌 세브란스병원에 마련됐으며 장지는 대전 현충원이다. 영결식은 국제펜한국본부와 한국문인협회가 공동주관하는 ‘대한민국 문인장’으로 16일 오전 9시에 열린다.
                                                                                        <참고문헌>
   1. 최재봉, "원로 문덕수 시인 별세", 한겨레신문, 2010.3.13일자.
   2. 강미영, "함안 출신 문덕수 시인 타계", 경남도민일보, 2020.3.15일자. 9면.
   3. 김유경, "함안 출신 문덕수 원로시인 별세", 경남신문, 2020.3.16일자.
                                                                              <필자 신상구 국학박사 약력>
    .1950년 충북 괴산군 청천면 삼락리 63번지 담안 출생
    부친 신종순(辛鍾淳), 모친 유옥임(兪玉任) 사이의 5남 2녀 중 장남
   .아호 대산(大山) 또는 청천(靑川), 본관 영산신씨(靈山辛氏) 덕재공파(德齋公派)
    .백봉초, 청천중, 청주고, 청주대학 상학부 경제학과를 거쳐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교육과에서「한국 인플레이션 연구」(1980.2)로 사회교육학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UBE) 국학과에서「태안지역 무속문화 연구」(2011.8)로 국학박사학위 취득
   .한국상업은행 종로구 재동지점에 잠시 근무하다가 교직으로 전직하여 충남의 중등교육계에서 35년 4개월 동안 수많은 제자 양성
   .주요 저서 :『대천시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1994),『아우내 단오축제』(1998),『한국 노벨문학상 수상조건 심층탐구』(2019.3.15),『흔들리는 영상』(공저시집, 1993),『저 달 속에 슬픔이 있을 줄야』(공저시집, 1997) 등 5권.  
   .주요 논문 :「대전광역시 상여제조업의 현황과 과제」(2012),「서정시인 정지용의 생애와 문학세계」(2016),「백제의 건국과정과 백제초도 하남위례성의 위치비정 논쟁」(2018) 등 105편
  .주요 발굴 : 민촌 이기영의 천안 중앙시장 3·3항일독립만세운동 기록(2006) 
                  포암 이백하 선생이 기초한 아우내장터 독립선언서(2007)  
   .수상 실적 : 예산군수 감사장, 대천시장상(2회), 천안시장상(2회), 천안교육장상, 충남교육감상(2회) 통일문학상(충남도지사상), 국사편찬위원장상, 한국학중앙연구원장상, 자연보호협의회장상(2회) 교육부장관상(푸른기장),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문학 21』시부문 신인작품상,『문학사랑』·『한비문학』 문학평론 부문 신인작품상, 국무총리상, 홍조근정훈장 등 다수
  .동아일보·경향신문·한국일보·서울신문·서울일보·신아일보 등 중앙 일간지, 대전일보·충청일보·충청투데이·중도일보·동양일보·금강일보·중부매일·충남일보·중앙매일·충청타임즈·대전투데이·충청신문·충북일보·우리일보 등 지방 일간지, 충남시사신문·천안일보·충남신문·등 주간신문, 아산톱뉴스·천안일보·디티뉴스 등 인터넷신문 등에 수백편의 칼럼 기고.
   .30년 간 우리 역사 바로 세우기 운동·환경운동 전개, KBS 중앙방송국 라디오 <논술 광풍>프로 출연, STB 상생방송 <홍범도 장군> 프로 출연, KBS 대전방송국·MBC 대전방송국·CJB 청주방송국 라디오 <아우내장터 독립선언서 발굴> 프로 출연    
   .대전 <시도(詩圖)> 동인,『천안교육사 집필위원』,『태안군지』집필위원, 대전문화역사진흥회 이사 겸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 동양일보 동양포럼 연구위원, 통합논술 전문가, 평화대사, (사)대한사랑 자문위원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191 2018.04.12
2425 진천군, 보재 이상설 선생 서훈등급 상향 추진 사진 신상구 555 2024.11.28
2424 2025년 지식인들의 잡지 '사상계' 재창간 신상구 702 2024.11.28
2423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2024년 12월 7일 재개관 사진 신상구 576 2024.11.27
2422 여든 넘어 글 배운 칠곡 할매의 詩, 교과서 실린다 신상구 529 2024.11.27
2421 청주고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 마무리 신상구 296 2024.11.27
2420 금행일기와 휵양가 신상구 260 2024.11.26
2419 WTO 체제, 강제력 잃은 명목상 경제질서로 전락할 수도 신상구 253 2024.11.26
2418 교육부 가칭 해외 한국어 교육 지원 센터 설립 추진 신상구 281 2024.11.26
2417 64년만에 완성한 민주주의 역사 보물창고, 3.8민주의거 기념관 신상구 248 2024.11.25
2416 정답 지상주의에서 벗어나는 교육 신상구 249 2024.11.25
2415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2) 사진 신상구 275 2024.11.25
2414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1) 사진 신상구 329 2024.11.25
2413 세상 종말이 와도 사랑을 되살려내는 시의 힘 신상구 272 2024.11.24
2412 서울 광화문광장 100년사 사진 신상구 468 2024.11.24
2411 노벨상 위해선 느슨한 시스템 필요 사진 신상구 288 2024.11.23
2410 국내 서양근대사 연구 개척자, 나종일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신상구 226 2024.11.23
2409 한국교회, ‘선교 140주년’ 기념 사진 신상구 396 2024.11.23
2408 대한민국 학교 교육과정 사진 신상구 411 2024.11.22
2407 나치 전범재판 사진 신상구 364 2024.11.21
2406 정책 전환의 성공과 실패 신상구 268 202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