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천안 향토사학자 고 이원표(李元杓) 선생의 생애와 업적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19.12.06 02:18

                                                                                                                                 천안 향토사학자 고 이원표(李元杓) 선생의 생애와 업적

 

                       충청 문화 역사연구소(국학박사,향토사학자,시인,칼럼니스트)신상구(辛相龜)

 

   향토사학자 이원표(李元杓)193978일 천안군 목천읍 동리 138번지에서 이규창[李揆昌]공의 아들로 태어나 백부인 규석[揆奭]에게 입계했다. 본관은 전주이씨(全州李氏)이다.

   1953년에 아산군 배방면 배방공립 보통학교를 졸업하고 농사를 지으면서 발로 뛰어 지역의 역사와 문화 관련 사료 발굴과 충의 정신 함향에 남다른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도청도설로 흘러 다니던 천안지역의 전설을 정리했고, 목천에 독립기념관을 유치하는데에 기여했으며, 동학농민운동과 백제초도 위례성을 발굴 조사하는 대에도 이바지했다, 흑성산과 천안군에 지명유래를 해명하고, 목천에 산재한 선정비를 면사무소앞에 모으는가하면, 목천 초등학교 교정에 3.1 만세운동 기념비를 건립하고. 병천 노인정을 문화재로 지정하기위에 열과 성를 다했다, 특히 그는 1988년 무진년에 안정복 선정비가 매몰 방치돼 있음을 발견하고 독립기념관 관내로 보호 조치하도록했고, 동년 10월에는 목천 16의사 충혼비(木川十六義士忠義碑)를 천안시 동면 화계리 도로변에 세우는데에 주도적 역할을 하는등으로 천안 향토사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천안 문화원 문화가족(1973), 천안 향토 문화 연구회 회원(1987), 천안 문화원 사료실장(1991), 국사편찬위원회 사료조사위원(1995), 독립기념관 연구위원회 위원(1996)등을 역임하며 향토연구(鄕土硏究)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는등 천안 향토사 연구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저서로는 목천인의 충의정신과 향토방위(1991), 삼신제(三辛際)의 유래(1992), 목천16의사와 향토방위(1995), 천안 독립 운동사(공저1995), 의인의 고향(공저1996)등이 있다,

   19981023일 새벽 6시에 천만뜻밖의 교통사고를 당해 향년 60세를 일기로 타게했다, 묘소는 천안시 목천읍 동리 와우산 기슭에 위치해있다.

   풍양조씨 천구[天九]의 따님 남인[南仁]과 결혼하여 슬하에 2남을 두었다,

   1남은 충호[忠浩] 2남은 충인[忠仁]이다,

천안 전통문화 연구회(회장 國峰김종식)200042일 이원표 선생의 공을 기리기 위해 그의 묘소앞에 향토사학자 이원표 공적비를 건립했다,

 

<참고 문헌>

    1. 천안 전통문화연구회, 향토사학자 이원표 공적비 김종식 짓고 심문근 씀, 2000.4.2.

    2. "이원표(李元杓), 한국향토문화 전자대전, 한국학 중앙연구원, 2016.6.12.

    3, 김차수, "조선조(朝鮮朝)취장(最長)연시조발견", 동아일보, 1991.12.4. 12면.

    4, 윤정국, " 93 책의해 저술 현장을가다 名著의 고향(24) 정인보(鄭寅普), 동아일보, 1993.6.23. 일자. 9면.

    5, "故宅에 대해 설명하는 향토사학자 이원표(李元杓씨 오른쪽)와 조동걸(趙東杰)", 동아일보,1993.6.23.일자. 9

    6, 이이화, " 농민전쟁 1백년 동학 인물열전-18 이희인", 한겨래 신문 1994.1.11.일자28

    7, 이이화, "길을찿아서 동학농민군 역사 살려낸 향토 사학자들", 한겨래신문, 2011.1.23.일자 28

    8, 김한준, "안정복 선정비 반한 천안시가 나서야", 2015.12.4.일자. 12

    9, 김현구, "천안 잃어버린 역사를 찿아, 목천 16의사와 이인자난", 충남일보, 2012.2.12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311 2018.04.12
2425 진천군, 보재 이상설 선생 서훈등급 상향 추진 사진 신상구 560 2024.11.28
2424 2025년 지식인들의 잡지 '사상계' 재창간 신상구 707 2024.11.28
2423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2024년 12월 7일 재개관 사진 신상구 578 2024.11.27
2422 여든 넘어 글 배운 칠곡 할매의 詩, 교과서 실린다 신상구 531 2024.11.27
2421 청주고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 마무리 신상구 297 2024.11.27
2420 금행일기와 휵양가 신상구 261 2024.11.26
2419 WTO 체제, 강제력 잃은 명목상 경제질서로 전락할 수도 신상구 254 2024.11.26
2418 교육부 가칭 해외 한국어 교육 지원 센터 설립 추진 신상구 283 2024.11.26
2417 64년만에 완성한 민주주의 역사 보물창고, 3.8민주의거 기념관 신상구 249 2024.11.25
2416 정답 지상주의에서 벗어나는 교육 신상구 251 2024.11.25
2415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2) 사진 신상구 277 2024.11.25
2414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1) 사진 신상구 331 2024.11.25
2413 세상 종말이 와도 사랑을 되살려내는 시의 힘 신상구 274 2024.11.24
2412 서울 광화문광장 100년사 사진 신상구 473 2024.11.24
2411 노벨상 위해선 느슨한 시스템 필요 사진 신상구 289 2024.11.23
2410 국내 서양근대사 연구 개척자, 나종일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신상구 228 2024.11.23
2409 한국교회, ‘선교 140주년’ 기념 사진 신상구 398 2024.11.23
2408 대한민국 학교 교육과정 사진 신상구 415 2024.11.22
2407 나치 전범재판 사진 신상구 365 2024.11.21
2406 정책 전환의 성공과 실패 신상구 269 202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