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중국 조선족 교과서에서 '한글 퇴출'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09.15 01:09

                                                            중국  조선족 교과서에서 '한글 퇴출'



                                 중국 조선족 소학교에서 사용해 오던 옌볜 교육출판사가 만든 중국어 교과서.


    중국 네이멍구(內蒙古)자치구 교육 당국이 중국어 교육을 강화해 현지 소수민족인 몽골족들이 반발하는 가운데, 중국 조선족 학교들도 이번 학기부터 국어 교재를 한글 설명이 빠진 중국의 통일 교재로 바꾸면서 조선족 사회가 술렁이고 있다. 중국 당국이 ‘민족 통합 교육’을 강조하면서 조선어(한글) 교육이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랴오닝(遼寧)성 등 중국 동북 지방 일부 조선족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이번 9월 신학기부터 옌볜(延邊)교육출판사가 만든 ‘한어(漢語·중국어)’ 교과서 대신 중국 인민교육출판사가 만든 ‘어문(語文)’ 교과서를 쓰고 있다고 한다. 기존 교과서는 조선족 교육에 맞춰 본문에 중국어뿐만 아니라 한글 설명을 함께 적었다. 예시 지문 역시 조선족 전통문화를 강조하는 내용이다. 반면 인민교육출판사 교과서는 중국 당국이 전국적으로 사용하게 하는 국가 표준 교과서다. 중국 소수민족 학교들은 그간 자기 언어로 교과서를 사용해왔다.

    한 소식통은 “일부 조선족 학교는 수학 등 다른 과목 교재도 조선어 교재 대신 한족들이 쓰는 중국어 교재로 바꾸고 있다”며 “네이멍구처럼 정부 차원의 명시적인 지침은 없었지만 한화(漢化·중국 최대 민족인 한족화한다는 뜻) 교육을 강화하려는 것”이라고 했다.


중국 인민 교육출판사가 만든 초등학교 2학년 어문(중국어) 교과서. 중국 대부분의 초등학교가 사용한다. 중국 동북 지역의 일부 조선족 학교들도 이번 학기부터 이 교재를 쓰기 시작해 논란이 되고 있다.


    앞서 네이멍구 교육청은 지난달 26일 몽골족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대해 올 9월 학기부터 인민교육출판사의 어문 교재를 사용하겠다고 발표했다. 또 2021년부터는 ‘도덕과 정치’, 2022년부터는 ‘역사’ 교재를 기존 몽골어 교재가 아닌 중국어 표준 교재를 채택하기로 했다. 그러자 몽골족 학부모와 학생들이 “몽골의 전통문화를 수호하자”며 반발하는 시위를 벌이고, 등교 거부까지 했다.

​    조선족 사회에서도 “조선족 교육이 붕괴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자녀를 조선족 학교 대신 한족 학교에 보내는 조선족들은 전부터 있었다. 조선족 학교보다 한족 학교의 교육 수준이 높고, 조선족 학교가 입시에서도 혜택이 크지 않다는 이유였다. 하지만 이번 교과서 변경으로 중국 대입에서 장기적으로 조선어 시험이 없어질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다.

​    중국에서는 소수민족 우대 정책에 따라 소수민족 학교에 다니는 학생은 자기 민족 언어로 대학 입시인 ‘가오카오(高考)’를 치른다. 조선족 학교에 다니는 고등학생은 중국어를 제외한 수학, 역사 등 다른 과목을 한글로 본다. 하지만 초등학교에서부터 한족과 같은 중국 표준 교재를 쓰고 대입도 통일되면 결국 초·중·고에서 조선족 교육이 크게 위축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   중국 내 조선족 수는 183만명(2010년 기준)이지만 조선족이 집중적으로 거주하는 랴오닝, 지린(吉林), 헤이룽장(黑龍江) 등 동북 3성 조선족 학교의 올해 대입 수험생은 총 2000여명으로 추정된다. 랴오닝성 조선족 지역신문인 랴오닝조선문보 보도에 따르면 랴오닝성 조선족 학교 대입 수험생은 2010년 1026명이었지만 올해는 514명으로 10년 사이 절반으로 줄었다. 2023년부터는 조선족 등 소수민족 수험생에게 주던 가산점(현재 5점)이 폐지된다.

​    조선족, 몽골족 학교의 교과서 변경이 중국 중앙정부가 강조하는 ‘민족 단결 교육’ 정책의 연장선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중국 공산당은 시진핑 집권 2기가 시작된 2017년 19차 당대회부터 국가 통일과 사회 안정을 위해 교육에서 민족 단결을 강조하고 있다. 시진핑 주석은 지난해 9월 ‘전국 민족 단결 진보 표창대회’ 연설에서 “중화민족은 한 가정이고, 함께 중국몽(中國夢)을 건설해 가야 한다”고 했다.

                                                                                         <참고문헌>  

   1. 박수찬, "중국, 소수민족 문화 말살시키나. 조선족 교과서에서 '한글 퇴출'", 조선일보, 2020.9.14일자. A18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7/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809 2018.04.12
2305 영원한 생명은 영원할 수 없다 사진 신상구 406 2024.09.03
2304 2025년부터 사용될 검정 중학교 역사 교과서 7종 주요 내용 신상구 950 2024.09.03
2303 대구 대연학당 청고 이응문 선생 별세 신상구 455 2024.09.03
2302 <특별기고> 유관순 열사 영웅 만들기 프로젝트 실체 사진 신상구 477 2024.09.02
2301 한글문화 세계화를 주도하는 세종특별자치시 신상구 401 2024.08.31
2300 불교계 항일 거점은 어떻게 예술로 기록됐나 사진 신상구 526 2024.08.31
2299 교육수준 3위와 사회적 자본 107위 사진 신상구 432 2024.08.30
2298 동학의 본질은 계급투쟁 아닌 내면의 혁명 사진 신상구 395 2024.08.30
2297 경술국치일 114주년을 맞이하여 신상구 462 2024.08.30
2296 해방 다음날 우리집서 만든 신문 '건국시보' 광복의 기쁨 함께 나눴다 사진 신상구 446 2024.08.30
2295 AI·바이오·양자 등 12대 기술에 30조원 투자 신상구 389 2024.08.30
2294 헌법정신 부정하는 신 친일파인 뉴라이트 역사 쿠데타 성공 못해 사진 신상구 381 2024.08.30
2293 독립운동가의 후손 고려인 돕기 운동 사진 신상구 554 2024.08.29
2292 무국적 고려인 시인 이스타니슬라브의 절규와 현실 사진 [1] 신상구 628 2024.08.29
2291 모바일 이 분을 섭외해주세요 [1] 라이라 419 2024.08.28
2290 재일교포 지위 강화는 일본 내 식민지 갖는 효과 사진 신상구 447 2024.08.28
2289 조선말 고종 시대 충청도 가야금 명창을 창시한 '박팔괘'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365 2024.08.28
2288 국학박사 신상구가 최근 발간한 단행본 2권 홍보자료 대한출판문화협회 등록 신상구 365 2024.08.27
2287 화장장 1곳당 연 5600명, 죽을 때도 경쟁이다 신상구 548 2024.08.27
2286 파월 '피벗 선언' 했는데, 대한민국 빚 3000조 돌파 신상구 384 2024.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