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내 유일 고구려비’ 충주에 국립박물관 들어선다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10.17 14:18

                                                             ‘국내 유일 고구려비’ 충주에 국립박물관 들어선다

충주시 중앙탑면에 선 국보 205호 충주 고구려비. 문화재청 제공                    
                                              충주시 중앙탑면에 선 국보 205호 충주 고구려비. 문화재청 제공

  국내 유일의 고구려비가 남아 있는 충북 충주에 국립박물관이 들어선다.

충주시는 내년부터 2026년까지 국립충주박물관 건립 계획이 확정됨에 따라 26일 환영대회를 연다고 15일 밝혔다. 국회는 박물관 기본계획 예산 3억원을 최근 통과시켰다. 박물관 예정지는 국보 205호 충주 고구려비가 있는 중앙탑면 일대 4만2994㎡다. 충주 고구려비는 중원(충주의 옛이름) 고구려비, 중원비 등으로도 불린다. 5세기 고구려 장수왕이 남한강 일대를 개척하고 세운 기념비로 추정된다. 1979년 발견 당시 마모가 심했지만 ‘전부대사자’ ‘제위’ 등 관직 이름과 중국 지린성 지안의 광개토대왕비에 나온 ‘고모루성’ 등 같은 글자가 보여 고구려비로 인증됐다.

조길형 충주시장과 이시종 충북지사(앞줄 왼쪽 다섯째, 여섯째) 등이 지난 4월 충주박물관 건립 추진회원 등과 충주박물관 건립을 촉구하고 있다. 충북도 제공                    
조길형 충주시장과 이시종 충북지사(앞줄 왼쪽 다섯째, 여섯째) 등이 지난 4월 충주박물관 건립 추진회원 등과 충주박물관 건립을 촉구하고 있다. 충북도 제공


    고구려비를 찾은 충주는 중원 문화를 담을 박물관 건립을 줄기차게 요구했다. 충주문화원 등은 2016년 7월26일 충주박물관 건립 추진위원회를 꾸려, 시민 5만여명의 청원서를 청와대 등에 보내기도 했다.

   충주 예성동호회(예성문화연구회) 회원인 유창종 유금와당박물관장은 “충주는 수도 국내성에 이어 국원성이 설치될 정도로 고구려 주요 도시였다. 중국 동북공정을 극복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고구려 역사 문화 전문 박물관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손창일 충주문화원장은 “충주는 전국 5대 문화권의 하나인 중원 문화의 중심으로, 고구려·백제·신라 등 삼국에다 가야 문화까지 아우르는 독특한 역사 문화 공간이다. 남한강 유역의 수운 문화, 철기 문화까지 혼재돼 있다. 충주박물관은 가장 다양한 역사 문화를 담는 곳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참고문헌>

   1. 오윤주, "‘국내 유일 고구려비’ 충주에 국립박물관 들어선다", 한겨레신문, 2019.12.16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3/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190 2018.04.12
2385 옛 선비 윤기의 ‘빈부설’ 신상구 242 2024.11.10
2384 윌리엄 전킨과 유니온신학교 사진 신상구 269 2024.11.09
2383 인문학의 위기, 무엇이 문제인가 신상구 249 2024.11.08
2382 K-문학 세계화와 ‘번역 예산’ 역주행 신상구 251 2024.11.07
2381 늑천 송명흠의 삶과 문학 신상구 286 2024.11.07
2380 톨스토이문학상 수상 재미소설가 김주혜 이야기 신상구 385 2024.11.06
2379 광복회 시국선언 신상구 261 2024.11.06
2378 6·10만세운동 이끈 사회주의자 권오설 ‘역사적 복권’을 사진 신상구 270 2024.11.06
2377 청주대 출신 대표 인물 소개 신상구 527 2024.11.05
2376 도산 안창호를 민족운동 지도자로 키운 프레더릭 밀러 선교사 사진 신상구 279 2024.11.05
2375 노년에 생각하는 삶의 계산서 신상구 251 2024.11.05
2374 노벨문학상이라는 폭풍, 그 너머 신상구 259 2024.11.03
2373 석오 이동녕 선생 사진 신상구 251 2024.10.31
2372 노벨경제학상이 놓친 동아시아 기적의 비밀 신상구 285 2024.10.29
2371 가야산 병풍 삼은 서산무형유산의 향연 신상구 285 2024.10.29
2370 한글문화수도 세종서 즐기는 '한글 놀이'로 즐겨요 신상구 279 2024.10.29
2369 잊잊힌 독립투사 김경천의 삶 소설 ‘연해주’로 쓴 송호근 교수 사진 신상구 288 2024.10.29
2368 왜 노벨과학상은 미국·유럽이 휩쓸까 신상구 271 2024.10.28
2367 노벨문학상의 교훈 사진 신상구 275 2024.10.28
2366 ‘한강’의 기적과 문화 브랜딩 사진 신상구 280 2024.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