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역대 개인수상 931명 분석, 노벨상 수상자 여성 6%, 흑인은 2%뿐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10.14 10:33

                                                    역대 개인수상 931명 분석, 노벨상 수상자 여성 6%, 흑인은 2%뿐

   과학부문 흑인 수상자 한명도 없어 “교육-사회 구조적 불균형이 문제”올해 노벨상은 4명의 여성 수상자를 배출하는 성과를 냈으나 인종 다양성 문제 해결은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CNN은 10일(현지 시간) 올해 노벨 물리학상, 화학상(공동 수상), 문학상에서 총 4명의 여성 수상자가 나오는 등 과학 분야 여성 수상자들이 점진적으로 늘고 있으나 노벨상의 인종 다양성은 더욱 악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역대 노벨상 수상 개인 931명(28개 기관) 중 여성은 6%(57명)를 겨우 넘으며 흑인은 2%(16명)도 되지 않는다.  특히 올해 노벨상에서 흑인은 한 명도 수상하지 못했다. 자연히 역대 노벨상 과학 부문 ‘흑인 수상자 0명’이라는 불명예 기록도 이어지게 됐다. 지금까지 흑인 노벨상 수상자는 평화상(12명) 수상자가 대부분이고 문학상(3명), 경제학상(1명) 수상이 있었다.

   노벨상을 수여하는 스웨덴 과학한림원 자문위원을 지낸 마크 지머 코네티컷대 화학과 교수는 지난달 학술 전문 매체 더 컨버세이션에 “1901년 처음 노벨상이 수여되고 나서 119년이 흘렀지만 2020년 노벨상 수상자 리스트는 오늘날보다 노벨 시대의 과학계와 더 닮아 있다”며 노벨상 과학 분야 흑인 수상 비율이 0%에 머물고 있는 현실을 비판했다. 그는 “빈곤, 교육격차, 고정관념 강화의 고리가 이들의 성과를 저해하고 있다”며 사회 구조적 불균형 문제를 지적했다.

                                                                             <참고문헌>
   1. 임보미, "노벨상 수상자 여성 6%, 흑인은 2%뿐”, 동아일보, 2020.10.12일자. A28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3/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576 2018.04.12
2385 옛 선비 윤기의 ‘빈부설’ 신상구 248 2024.11.10
2384 윌리엄 전킨과 유니온신학교 사진 신상구 276 2024.11.09
2383 인문학의 위기, 무엇이 문제인가 신상구 254 2024.11.08
2382 K-문학 세계화와 ‘번역 예산’ 역주행 신상구 254 2024.11.07
2381 늑천 송명흠의 삶과 문학 신상구 291 2024.11.07
2380 톨스토이문학상 수상 재미소설가 김주혜 이야기 신상구 390 2024.11.06
2379 광복회 시국선언 신상구 269 2024.11.06
2378 6·10만세운동 이끈 사회주의자 권오설 ‘역사적 복권’을 사진 신상구 275 2024.11.06
2377 청주대 출신 대표 인물 소개 신상구 538 2024.11.05
2376 도산 안창호를 민족운동 지도자로 키운 프레더릭 밀러 선교사 사진 신상구 283 2024.11.05
2375 노년에 생각하는 삶의 계산서 신상구 258 2024.11.05
2374 노벨문학상이라는 폭풍, 그 너머 신상구 262 2024.11.03
2373 석오 이동녕 선생 사진 신상구 258 2024.10.31
2372 노벨경제학상이 놓친 동아시아 기적의 비밀 신상구 289 2024.10.29
2371 가야산 병풍 삼은 서산무형유산의 향연 신상구 291 2024.10.29
2370 한글문화수도 세종서 즐기는 '한글 놀이'로 즐겨요 신상구 282 2024.10.29
2369 잊잊힌 독립투사 김경천의 삶 소설 ‘연해주’로 쓴 송호근 교수 사진 신상구 292 2024.10.29
2368 왜 노벨과학상은 미국·유럽이 휩쓸까 신상구 274 2024.10.28
2367 노벨문학상의 교훈 사진 신상구 279 2024.10.28
2366 ‘한강’의 기적과 문화 브랜딩 사진 신상구 291 2024.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