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김진현 “단군이래 최고 성공 한국, 썩은 리더십에 혼돈”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8.03 03:06

                 김진현 “단군이래 최고 성공 한국, 썩은 리더십에 혼돈”


지난달 31일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출판기념회에 참석한 김진현 이사장 부부(왼쪽)와 정철원 협성문화재단 이사장. [사진 협성문화재단]

“대한민국은 단군 이래 최고의 성공·성취 속에서도 초고속 양적 성장의 부작용을 겪고 있다. 각자 지름길을 가려하는 ‘공동체 해체’를 넘어서야 미래가 있다.”

1948년부터 현재를 돌아보고 건국 100주년까지 대한민국의 갈 길을 내다보는 역저 『대한민국 100년 통사(1948~2048)』를 펴낸 김진현(88) 세계평화포럼 이사장의 말이다. 언론인 출신으로 과학기술처 장관, 서울시립대 총장 등을 역임하고 세계평화포럼 등 여러 연구기관과 민간단체를 창립해 대표로 활동한 그가 구순(九旬)을 앞두고 이제까지 집필 활동을 집대성한 책을 냈다. 1일 통화에서 김 이사장은 한국사회가 겪는 문제들이 한국만의 것이 아니라 “근대 500년의 문명이 해체되는 과정에서 나오는 것”이라며 “다행히도 한국은 이를 극복할 저력이 있다”고 말했다.

무료로 보급되는 대한민국 100년 통사(1948~2048). [사진 협성문화재단]

책은 중국 등 대륙세력과 미국 등 해양세력이 만나는 한반도의 지정학에 주목하면서 1945년 이후 대한민국 건국·발전의 가장 큰 토대를 ‘해양화’로 짚었다. 4대 강국(미·중·러·일)에 둘러싸인 한국이 패권 교체의 기회를 잘 잡아 극적 성취를 이룰 수 있었음을 현대사의 주요 분기점과 맞물리며 설파했다. 김 이사장은 “우리는 19세기까진 중국 중심의 고도화된 대륙 문명에, 20세기 이후론 세계 최강 미국의 해양 문명에 동화됐다”면서 “비록 분단의 아픔은 겪었지만 한국이 근대화를 성공시킬 수 있었던 것은 문명사적 행운이었다”고 돌아봤다.

하지만 유례없는 성공에 따른 도착(倒錯)과 왜곡이 우려 수준이라는 진단이다. 예컨대 저출생을 두고 그는 “1980년대까지 가족계획을 가장 성공적으로 해내 월드뱅크의 극찬을 받았던 한국이 한 세대 만에 인구 소멸 위기에 있다”면서 이 바탕에서 ‘근대성의 위기’를 직시했다. “공정과 관용 대신 이기주의가 앞서면서 휴머니즘이 훼손됐다. 이를 비롯한 사회 문제와 모순이 어느 나라보다 심각하지만, 바로 그 때문에 우리가 해결하면 지구촌 전반에 선구자·개척자가 될 수 있다.”이를 위해선 정치권 등의 ‘썩은 리더십’이 바뀌어야 한다고 했다. “공공의식이 사라진 ‘썩은 리더십’이 공동체의 퇴락과 사회 혼돈을 가져왔다. 보편적인 휴머니즘에 충실한 리더십, 적실(適實) 리더십이 이끄는 공동체를 만드는 데 우리 운명이 달렸다”고 간곡하게 말했다.

전날인 7월31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선 그의 출판기념회를 겸해 협성문화재단(이사장 정철원)이 수여하는 협성사회봉사상 시상식이 열렸다. 김 이사장은 대한민국의 민주화·국제화·선진화와 국민 행복에 헌신한 공로로 상을 수상하면서 상금 5000만원을 사회 나눔에 실천하겠다고 밝혔다.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과 정대철 대한민국 헌정회 회장이 축사를 했고 김성수 전 대한성공회 대주교, 이현재·정운찬·김황식 전 국무총리, 송상현 전 국제형사재판소(ICC) 소장, 박보균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 사회 원로가 다수 참석했다.

책은 김 이사장이 건립을 주도한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비매품으로 간행됐다. “미래 세대를 위해” 널리 읽히게끔 하려는 저자의 뜻에 따라 조만간 박물관 홈페이지에서 PDF를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다.

                                                                    <참고문헌>

  1. 강혜란,  "김진현 “단군이래 최고 성공 한국, 썩은 리더십에 혼돈”, 중앙일보, 2024.8.2일자. 16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1115 2018.04.12
2425 진천군, 보재 이상설 선생 서훈등급 상향 추진 사진 신상구 593 2024.11.28
2424 2025년 지식인들의 잡지 '사상계' 재창간 신상구 752 2024.11.28
2423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2024년 12월 7일 재개관 사진 신상구 603 2024.11.27
2422 여든 넘어 글 배운 칠곡 할매의 詩, 교과서 실린다 신상구 554 2024.11.27
2421 청주고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 마무리 신상구 310 2024.11.27
2420 금행일기와 휵양가 신상구 269 2024.11.26
2419 WTO 체제, 강제력 잃은 명목상 경제질서로 전락할 수도 신상구 264 2024.11.26
2418 교육부 가칭 해외 한국어 교육 지원 센터 설립 추진 신상구 301 2024.11.26
2417 64년만에 완성한 민주주의 역사 보물창고, 3.8민주의거 기념관 신상구 258 2024.11.25
2416 정답 지상주의에서 벗어나는 교육 신상구 264 2024.11.25
2415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2) 사진 신상구 289 2024.11.25
2414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1) 사진 신상구 344 2024.11.25
2413 세상 종말이 와도 사랑을 되살려내는 시의 힘 신상구 286 2024.11.24
2412 서울 광화문광장 100년사 사진 신상구 520 2024.11.24
2411 노벨상 위해선 느슨한 시스템 필요 사진 신상구 300 2024.11.23
2410 국내 서양근대사 연구 개척자, 나종일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신상구 237 2024.11.23
2409 한국교회, ‘선교 140주년’ 기념 사진 신상구 409 2024.11.23
2408 대한민국 학교 교육과정 사진 신상구 445 2024.11.22
2407 나치 전범재판 사진 신상구 380 2024.11.21
2406 정책 전환의 성공과 실패 신상구 280 202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