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한국은행 머릿동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글씨 정초(定礎) 그대로 보존 결정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6.13 02:58

                                          한국은행 머릿동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글씨 정초(定礎) 그대로 보존 결정    


   철거 여부를 두고 논란이 일었던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글씨 머릿돌’을 보존하기로 최근 결론이 났다. 문화재위원회 근대분과는 지난달 26일 회의에서 옛 한국은행 본관(사적 280호)의 머릿돌 관리 방안을 심의한 끝에 돌을 그대로 두고 설명 안내판을 따로 설치하기로 의결했다. 머릿돌에는 한반도 식민지화에 앞장섰던 초대 조선통감 이토의 친필로 ‘定礎’(정초·주춧돌을 놓는다는 뜻)가 새겨져 있다.

이토 히로부미의 친필 글씨 ‘定礎’(정초·주춧돌을 놓음)를 새긴 옛 한국은행 본관 머릿돌. 최근 문화재위원회에서 보존하기로 결론이 났다. /문화재청이토 히로부미의 친필 글씨 ‘定礎’(정초·주춧돌을 놓음)를 새긴 옛 한국은행 본관 머릿돌. 최근 문화재위원회에서 보존하기로 결론이 났다. /문화재청

   논란은 지난해 10월 국회 국정감사에서 전용기 의원이 이토 친필설과 함께 처리 방안을 질의하면서 시작됐다. 당시 전 의원은 “대한민국 수도 한복판에 민족의 원수인 이토 히로부미의 친필이 남겨져 있다는 것은 굉장히 부적절하다”며 “저는 건물을 없애자는 것도 아니고 정초석 하나 옮기자는 주장을 하는 거고…”라며 철거해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 이후 문화재청은 전문가 조사를 벌여 이토 친필이 맞다는 결론을 발표했다. 한국은행이 제시한 방안은 세 가지다. ①머릿돌은 그대로 두되 이토의 글씨라는 안내판을 설치 ②머릿돌 글씨 부분을 석재로 덮어 씌우기 ③머릿돌 철거 후 독립기념관으로 이전. 근대분과의 한 문화재위원은 “원형을 유지하고 안내판을 설치하기로 만장일치로 결정됐다”고 했다. 돌을 철거하거나 글씨를 새긴 표면을 덮어 흔적을 지우는 것은 단순히 ‘정초석 하나 옮기는’ 문제가 아니라 문화재에 대한 또다른 훼손이기 때문이다.

   이번 논란을 보면서 자연스럽게 옛 조선총독부 건물 철거 과정이 떠올랐다. 1993년 김영삼 정부는 ‘역사 바로 세우기’의 일환으로 총독부 건물을 철거하기로 했다. 이때도 찬반 논란이 뜨거웠다. “일제 침략의 상징이자 치욕의 흔적인 총독부 건물을 철거해야 한다”는 의견과 “그럴수록 보존해 역사의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는 견해가 팽팽히 맞섰다. 완전 철거, 원위치 보존, 이전 복원 등 여러 의견이 나왔으나 끝내 완전한 철거를 강행한 대목은 두고두고 안타까움으로 남는다. 광복 50주년인 1995년 8월 15일 중앙돔 첨탑을 해체하고, 이듬해 11월 전체 건물이 폭파되는 장면이 중계되면서 통쾌한 감정을 느낀 국민도 많았을 것이다.

   ‘네거티브 유산’에 대한 철거 논란이 반복될 때마다 우리가 간과하는 게 있다. 총독부 건물은 일제 36년간의 역사만 담고 있는 게 아니라 대한민국 건국의 산실이자 우리 현대사의 역사적 기념물인 중앙청이었다는 것. 총독부 건물 철거는 뒤집어보면 대한민국 산업화와 근대화의 현장을 우리 손으로 깨끗이 부숴버렸음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한국은행 본관 건물은 1909년 주춧돌을 세운 뒤 1912년 조선은행 본점으로 준공됐다. 일제강점기에 우리나라 경제 수탈을 위해 일본이 세운 건축물이지만, 광복 이후 1950년부터 한국은행 본관이었고 6·25전쟁 때 폭격으로 내부가 불에 탄 뒤 1958년 1월 임시로 복구했으며, 1989년 5월 원형 복원해 한국은행 화폐박물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토의 흔적을 지우면 당장 속이야 후련하겠지만, 수탈의 증거와 함께 현대사의 현장을 우리 손으로 훼손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만다.

   다행히 근래 들어선 아픈 역사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네거티브 유산을 보존해야 한다는 주장이 점점 더 설득력을 얻고 있다. 치욕의 순간을 간직한 유산이라고 해서 눈앞에서 없애버린다고 그 시간까지 도려낼 수 있는 건 아니다. 나치의 유대인 학살 현장인 아우슈비츠 수용소나 캄보디아의 킬링필드 유적지처럼, 남기고 알려서 과거에서 어떻게 교훈을 얻을지 되새겨야 한다. 부끄러운 역사를 남겨야 부끄럽지 않은 미래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1. 허윤희, "부끄러운 역사도 남겨야 한다", 조선일보, 2021.6.11일자. A27면.

시청자 게시판

2,112개(9/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4479 2018.04.12
1951 헤이그밀사 이준 할복자살은 대한매일신보의 가짜뉴스였다. 사진 신상구 690 2022.08.12
1950 100세 시대 ‘무병장수 비법’ 거짓말에 속지 말아야 신상구 404 2022.08.09
1949 강렬한 오방색으로 한국 채색화 지평을 연 화가 박생광 사진 신상구 493 2022.08.03
1948 뱃노래는 서정적인 멜로디, 은은한 선율로 흔들리는 물결 노래했죠 사진 신상구 478 2022.08.02
1947 당나라 당시 서역인 왕래한 무역 중심지, 중국 시안 사진 신상구 420 2022.07.30
1946 기대수명 83.5세, 건강수명 66.3세 사진 신상구 344 2022.07.30
1945 당장 내년 내국인 5000만명 깨져… 3년뒤 학령인구 94만명 급감 사진 신상구 286 2022.07.30
1944 7.27 휴전협정(休戰協定) 을 맞이하여 신상구 392 2022.07.29
1943 백제 왕궁 조경 사진 신상구 574 2022.07.29
1942 연극 <관객 모독> 공연 이야기 신상구 241 2022.07.26
1941 최초의 걸그룹 ‘저고리 시스터즈’, 나라 사진 신상구 369 2022.07.22
1940 과거를 이해해야 앞날을 현명하게 구상한다 신상구 260 2022.07.22
1939 인하대 복기대 교수 한국 최초의 시민역사박물관 우리겨레박물관 개관 사진 신상구 533 2022.07.22
1938 인하대학교 융합고고학과 복기대 교수, 고향인 충남 홍성에 '우리겨레박물 사진 신상구 334 2022.07.22
1937 4∼6년 후 노벨상 화학상 수상 기대 사진 신상구 293 2022.07.21
1936 1904년 한일의정서 한 장에 사라진 용산 둔지미 마을 사진 신상구 512 2022.07.21
1935 <특별기고> 제74주년 제헌절의 역사적 의미와 과제와 경축행사 사진 신상구 293 2022.07.21
1934 신 기술패권, 자원안보 시대에 총력 대응해야 사진 신상구 205 2022.07.20
1933 블랙홀 100년 만에, 이론에서 실재가 되다 사진 신상구 256 2022.07.18
1932 인촌 김성수선생 통합 리더십, 대한민국 건국 계기 만들어 사진 신상구 477 2022.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