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암울한 일제강점기에 꽃피운 우리 근대미술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4.16 03:00

                              암울한 일제강점기에 꽃피운 우리 근대미술

                     구본웅이 이상을 그린 〈친구의 초상〉 1935년, 캔버스에 유채, 62x50㎝,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구본웅이 이상을 그린 〈친구의 초상〉 1935년, 캔버스에 유채, 62x50㎝,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서화협회전은 일제의 탄압에 1936년, 제15회전으로 막을 내리고 말았지만 이때가 되면 우리 근대미술은 그런 질곡에도 불구하고 자기 역량을 갖추어 가고 있었다. 지금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에서 열리고 있는 ‘미술이 문학을 만났을 때’는 1930년대 중엽 이후 우리 근대미술 화가들이 당대의 문인들과 어울리며 예술세계를 천착해 나가던 모습을 실감나게 보여주고 있다(5월 30일까지).  
     구본웅, 정현웅, 길집섭, 김용준, 김환기, 이중섭, 최재덕 등 개성적인 화가들과 박태원, 백석, 이상, 이태준, 김광균, 구상 등 전설적인 문인들 사이의 예술적 교감을 보여주는 문헌자료와 인쇄미술 200여 점, 사진 및 시각자료 300여 점, 그리고 미술작품 140여 점으로 마치 장편 다큐멘터리를 보는 듯한 스토리텔링으로 깊은 감동을 전해준다.  
     전시기획력이 뛰어나고 디스플레이가 멋질 뿐만 아니라 유족들이 소장해온 스케치북, 스크랩 북, 편지 등 새로운 자료들이 대대적으로 공개되어 있고 그동안 월북화가라는 이유만으로 작품을 볼 수 없었던 최재덕, 김만형, 길진섭, 김용준 등의 명작들이 다수 소개되어 전시회의 뜻을 더하고 있다.  
     역사적 체감으로 말하자면 일제강점기는 분명 암흑의 시대였다. 그러나 그 어둠을 해쳐나가는 선인들의 몸부림이 문학과 미술 곳곳에 절절이 나타나 있다. 1933년 ‘모던 보이’ 이상은 종로에 ‘제비’ 다방을 열었다. 이곳에서 화가와 문인들은 아방가르드를 표방하며 서툰 솜씨로 모더니즘을 익혀갔다. 구본웅이 그린 친구(이상)의 초상에는 그런 야수파적인 강렬함이 빛나고 있다.  
     김광균이 ‘와사등’에서 보여준 이미지즘은 빠른 속도로 신문화의 충격을 받아들이며 ‘시는 그림같이, 그림은 시같이’ 나아갔다. 그 역동의 문예사조가 암울한 시절에 이루어졌다는 것이 역설로 다가온다. 낭만도 있었다. 출판인 조풍연의 결혼을 축하하는 화첩에는 길진섭, 김환기 등 당대 화가들의 화사한 그림들이 행복을 노래하고 있다.  
     책 표지는 화가의 중요한 장르 중 하나였다. 괴석 옆에 진달래꽃을 그린 김소월의 ‘진달래꽃’부터 아무런 꾸밈이 없는 백석의 ‘사슴’까지 수많은 독서인의 심금을 울렸던 책들의 장정은 이런 분위기에서 나온 것이었다. 본격 미술이 아니라고 치부하기 쉬운 신문 잡지의 삽화들은 문학과 미술이 만나는 현장이었다. 당시 정현웅은 "틀을 깨고 인민 속으로 직접적으로 뛰어드는 가장 새롭고, 가장 강력한 미술양식은 인쇄미술”이라고 외칠 정도였다.  
     역병만 아니었으면 장사진을 이루었을 이 전시회는 우리에게 두 가지 메시지를 강력히 전하고 있다. 하나는 후손들이여, 근대를 무시하지 말라는 무언의 꾸지람이다. 오늘날 세태는 우리 근대미술을 상징하는 ‘한국화 6대가’의 이름은 물론이고 그 존재조차 모른다. 근대가 없었으면 현대도 없는 것이다. 또 하나는 "어느 시대에도 그 현대인은 절망한다”는 이상의 외침이다. 그 외침의 근저에 깔린 힘겨움을 생각하면 오늘을 살고 있는 내가 마냥 부끄러워진다.
                                                                                       <참고문헌>
   1. 유홍준, "암울한 시절에 꽃피운 우리 근대미술", 중앙일보, 2021.4.15일자. 31면.


시청자 게시판

2,109개(9/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4061 2018.04.12
1948 뱃노래는 서정적인 멜로디, 은은한 선율로 흔들리는 물결 노래했죠 사진 신상구 468 2022.08.02
1947 당나라 당시 서역인 왕래한 무역 중심지, 중국 시안 사진 신상구 411 2022.07.30
1946 기대수명 83.5세, 건강수명 66.3세 사진 신상구 336 2022.07.30
1945 당장 내년 내국인 5000만명 깨져… 3년뒤 학령인구 94만명 급감 사진 신상구 280 2022.07.30
1944 7.27 휴전협정(休戰協定) 을 맞이하여 신상구 388 2022.07.29
1943 백제 왕궁 조경 사진 신상구 561 2022.07.29
1942 연극 <관객 모독> 공연 이야기 신상구 235 2022.07.26
1941 최초의 걸그룹 ‘저고리 시스터즈’, 나라 사진 신상구 364 2022.07.22
1940 과거를 이해해야 앞날을 현명하게 구상한다 신상구 254 2022.07.22
1939 인하대 복기대 교수 한국 최초의 시민역사박물관 우리겨레박물관 개관 사진 신상구 521 2022.07.22
1938 인하대학교 융합고고학과 복기대 교수, 고향인 충남 홍성에 '우리겨레박물 사진 신상구 329 2022.07.22
1937 4∼6년 후 노벨상 화학상 수상 기대 사진 신상구 289 2022.07.21
1936 1904년 한일의정서 한 장에 사라진 용산 둔지미 마을 사진 신상구 505 2022.07.21
1935 <특별기고> 제74주년 제헌절의 역사적 의미와 과제와 경축행사 사진 신상구 286 2022.07.21
1934 신 기술패권, 자원안보 시대에 총력 대응해야 사진 신상구 202 2022.07.20
1933 블랙홀 100년 만에, 이론에서 실재가 되다 사진 신상구 251 2022.07.18
1932 인촌 김성수선생 통합 리더십, 대한민국 건국 계기 만들어 사진 신상구 470 2022.07.18
1931 김진표 국회의장, '제74주년 제헌절' 경축사 전문 신상구 287 2022.07.18
1930 103세 철학자 김형석 교수가 꼽은 늙지 않는 세가지 방법 신상구 366 2022.07.16
1929 세계화 시대 저물면 대한민국은 몹시 큰 피해자 중 하나가 될 것이다. 사진 신상구 241 2022.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