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몽골인들의 무지개나라 코리아는 테무진 선조의 땅 글쓴이 younbokhye 날짜 2009.05.18 15:34
몽골인들의 무지개나라 코리아는 테무진 선조의 땅

해모수.고추모 등 고구려 선조들의 나라는 단군조선 제후국인 고리국-지금의 내몽골지역으로 지도에는 '구려'다. 여기를 클릭하면 지도내용을 자세히 볼 수 있다. 테무진의 어머니혈통은 구려(고구려)족이고, 테무진 아버지혈통은 발해유민 말갈족(메르키드족)으로 테무진은 고구려의 피가 흐르는 인물이다.

 


해모수는 고씨단군의 종실이고 고리국(藁離國) 출신이며 고리국은 해모수의 고향으로 선조의 나라이다. 해모수 출현 당시 단군조선47대 고열가단군은 고씨단군의 마지막 단군으로서 44대 물리단군의 현손이 된다. 단군조선 22대 색불루단군[서기전1285~)부터 44대 물리단군(~서기전426)까지 모두 고씨단군이고, 47대 고열가 단군이 고씨단군이다. 45대 구물단군(서기전425~)부터 46대단군까지는 고씨인지 불명인데 고씨일 가능성이 많다. 구물단군은 백민성욕살로 물리단군의 명을 받아 군사를 일으켜 반란군을 정벌하고 추대받아 단군이 되었다.단군왕검이 건국한 단군조선은 처음에는 오가들이 화백으로 단군을 추대하였는데, 21대 소태단군으로부터 선양받은 색불루단군부터는 대를 이어 고씨단군이 되었다.

 


[자료]태무진과 훌란 공주의 몸에도 솔롱 고스의 혈맥이 뛴다










훌룬부이르 몽골 초원은 물과 목초가 풍부한 곳이다. 동명성왕으로 추정되는 고올리 칸, 칭기즈칸과 발해 공주 이야기 등의 무대이기도 한다. <김문석 기자>

 
7월 21일 오후 4시께 에벵키 민족박물관에서 환호성과 함께 카메라 플래시가 요란하게 터졌다. 나로서는 17년 여를 애타게 찾던 ‘솔론’이라는 족제비과 짐승의 박제된 실물을 처음 보는 것이라 단연 특종감이었다. 역시 오랫동안 이를 찾아 헤매온 현지인 성빈(成斌·70) 선생의 수고 덕분이었다. 그간 서울대 이항 동물유전자은행장과 흑룡강성 동물자원연구소 박인주 교수(62)의 탐문으로도 찾을 수 없었다.

한갓 박제된 동물 하나에 이렇게 매달린 것은 ‘조선’이 아침의 나라라는 전거도 전혀 없는 허황된 해석과 맞먹는, ‘솔롱고스’가 무지개의 나라라는 한국인의 그릇된 지식을 바로잡을 아주 긴요한 실물 자료기 때문이다. 몽골학의 거장 펠리오가 맨 먼저이를 문제로 제기했다. ‘솔롱고스’는 ‘솔롱고’의 복수로, 솔론을 잡아 모피(Fur) 시장에 팔아서 먹고사는 부족을 일컫는다는 것이다. ‘몽골비사’에도 이런 식으로 부족의 이름을 붙이는 사례가 종종 등장한다.

칭기즈칸 ‘출생의 비밀’ 담긴 어원







에벵키 민족박물관에 전시된 솔롱고스 박제. 한국인의 원류와 한·몽 관계의 그릇된 지식을 바로잡을 수 있는 긴요한 실물 자료다. <김문석 기자>

 

솔론은 누렁 족제비다. Baraga(바라가)가 Bar(호랑이)라는 명사에 ‘aga’가 붙어 ‘호랑이를 가진’이 되듯이, Solongo (솔롱고) 또한 Solon(솔롱)이라는 명사에 ‘go’가 붙어 ‘누런 족제비를 가진’이 된다. Solongo에 ‘s’가 붙어 복수가 되면 부족 이름도 된다. 훌룬부이르 몽골 초원 원주민들은 애호(艾虎)나 황서랑(黃鼠狼)이라고도 부른다. 보통 정도로 가늘고 긴 족제비과 동물로 서식권역이 매우 넓어서 각종 생태 환경에 모두 적응 능력이 있다. 삼림, 초원(스텝), 하곡(河谷), 소택(沼澤)이나 농작물 생산지와 백성들이 사는 지대에서도 혈거(穴居)한다. 새벽이나 황혼녘에 먹이를 찾아 활동한다. 주된 먹이는 설치류 동물, 개구리류나 새의 알과 병아리 등이다. 내몽골 중동부 및 동북의 대부분 지역, 한국, 몽골과 시베리아 일대에 분포돼 있다.

몽골에서 한국인을 솔롱고스라고 부르는 연원은 칭기즈칸의 ‘출생의 비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물이 바이칼 호로 흘러드는 셀렝게 강 일대에 자리 잡은 메르키드족 가운데 우두이드 메르키드 톡토아베키의 아우인 예케 칠레두가 아내를 빼앗기는 사건이 일어난다. 약탈자는 칭기즈칸의 호적상의 아버지 예수게이이고, 약탈당한 여인은 칭기즈칸-테무진의 어머니 후엘룬이다. 그는 물이 대흥안령 북서부 부이르 호수로 흘러드는 황하 강 지역의 처가에서 데릴사위로 있다가 그들의 관행에 따라 임신한 아내 후엘룬의 출산을 위해 고향으로 함께 귀가하던 길에 오논 강변에서 아내를 빼앗긴 것이다. 이 때문에 테무진의 생부는 예수게이가 아니라 예케 칠레두라는 것이 비공식적으로는 거의 공인된다. 칭기즈칸이 몽골 혈통이 아니고 메르키드 핏줄이라는 얘기다. 다구르족 몽골학자 아르다잡 교수는 메르키드는 발해의 말갈(靺鞨)이라고 고증한다.

그렇다면 칭기즈칸의 혈통적 소속은 발해 유민국, 곧 당시의 솔롱고스가 된다. 그런데 당시의 몽골 고원에서는 아내를 빼앗기면 반드시 보복하는 것이 관행이었다. 그래서 20여 년 후에 예수게이의 호적상 아들 테무진도 20대에 예케 칠레두의 아우 칠게르 부쿠에게 아내 보르테를 뺏긴다. 당시에 약체였던 칭기즈칸은 맹렬하고도 노회한 외교로 부족들의 연합전선을 구축해 자신의 친아버지가 되는 예케 칠레두의 혈족 메르키드를 섬멸시키고 뺏긴 아내를 되찾는다. 그렇게 되돌아와서 낳은 아들이 장자 주치다.

몽골 역사상 전설적 미인 훌란 공주


 








한·몽 관계사의 첫 유적이라고 할 수 있는 헤름투. 칭기즈칸과 발해 유민국의 훌란 공주가 총야를 지낸 이곳에 지금은 붉은 버드나무로 만든 오보(서낭당)가 서 있다 <최낙민 제공>

 
‘주치’란 손님이란 뜻으로 아내 자궁의 주인이 아니라는 점을 암시할 수 있다. 그래서 그런지 주치는 칭기즈칸의 장자로 관행상 칸 위의 승계자임에도 불구하고 형제들이 ‘메르키드의 사생아’라는 치명적인 저주를 퍼붓는 가운데 소외되고 셋째 아들 오고타이가 계승자로 선택된다. 칭기즈칸 생전의 일이다. 칭기즈칸과 그는 호적상으로는 부자 간이지만 혈통상으로는 종형제 사이다. ‘몽골비사’의 관계 내용들을 간추려본 것이다. 칭기즈칸은 자신의 반렵반목의 메르키드 혈통과 단절하기 위해 그 피가 흐르는 주치와 훌란 카툰의 아들마저도 철저히 소외시켰다. 애초부터 아예 멸족을 감행하며 제 혈통의 완벽한 부정을 통해 스텝의 온전한 순수 몽골 혈통으로 다시 나기 위해 일생을 오로지 끝없는 정복으로만 일관해야 했다. 이런 시각에서 예리하게 칭기즈칸의 일생을 천착해낸 몽골 영웅 일대기가 일본의 역사소설가 이노우에 야스이(井上靖)의 불후의 창작품 ‘푸른 이리’다.

메르키드를 섬멸한 후 칭기즈칸도 메르키드족의 아내와 딸들을 차지했다. 더러는 딸은 자기가 갖고 어미는 아들에게 주기도 했다. 우와스 메르키드 다이르 우순 칸의 딸인 훌란 공주도 헌납됐다. 훌란 공주는 몽골사상 전설적인 미인으로 알려지고 있어 원말의 기황후와 함께 한국 여인은 아름답다는 인상을 몽골인들에게 깊이 각인시킨 솔롱고스, 즉 고려 여인이다. 당시의 솔롱고스는 발해 유민국이었고 발해는 외교문서 상에 고려로도 자칭했다.

알려진 대로 훌란 공주는 17세기 문헌인 ‘몽골원류’와 ‘알탄톱치’에 솔롱고스의 공주라고 적고 있다. 그런데 당시의 솔롱고스가 발해이고 메르키드가 솔롱고스로 기록됐다면, 메르키드는 말갈일 수 있고 메르키드의 공주 훌란은 솔롱고스 공주가 된다. ‘알탄톱치’는 놀랍게도 훌란 공주의 아버지 다이르 우순 칸을 보카 차간 한이라고 적고 있다. 보카이(Booqai)의 보카란 ‘늑대’의 존칭어로 몽골에서 발해를 일컫는다. 차간은 ‘하얀’의 뜻으로 젖색을 상징하는 귀족 색깔이다. 즉 발해(渤海) 백왕(白王)이 되는 것이다.

결국 훌란 공주는 발해(유민국) 공주이고, 그래서 솔롱고스(한국) 공주라고 썼음이 자명하다. 몽골인에게 메르키드-말갈은 타이가에서 활을 쏘아 사냥하고 전투하며 사는 숲속의 사람들이다. 메르겐(麻立干: Mergen)이라는 명궁수의 복수형에서 유래된 부족명으로 이족(夷族)이랄 수도 있다. 따라서 메르키드는 흥안령 북부나 스텝과 타이가가 혼재하는 셀렝게 강 일대에서 연해주에 이르는 지역에 많이 분포되어, 발해와 역사적으로 밀착 관계를 맺어왔을 수 있다.

실제로 그들은 발해의 고급 문명을 체득하고 철의 주산지인 셀렝게 강 일대를 근거지로 삼아 강력한 무력을 과시했다. 더군다나 이 지대는 솔롱고스 부족의 원주지로 알려진 곳이 아닌가. 솔론족은 바이칼 호 동쪽에서 헨티 산맥에 걸치는 지역을 원주지로 하면서 초원의 주변으로 동진하기도 하고 초기에는 주로 셀렝게 강을 타고 서진한 것으로 보인다. 훌란은 셀렝게 강과 오르홍 강의 합류지점에 살던 우와스 메르키드 다이르 우순 칸의 공주다.

근하지역은 북부여를 세운 고리국 터







몽골 도로노드 아이막 할힝골 솜온 숑크 타반 톨로고이에 있는 석인상. 현지 원주민들이 '순록치기 임금'이라는 뜻인 '고올리칸 훈촐로'로 부르는 이 석인상을 수미야바아트르 교수는 동명성왕으로 비정하고 있다. <도브도이 바야르 교수 제공>

 
‘알탄톱치’에서는 칭기즈칸의 본거지인 헨티 산맥 일대에서 이들을 공격하면서 ‘해뜨는 쪽’의 메르키드를 쳤다고 기록하고 있다. 서쪽인데 동쪽을 쳤다고 해서 이를 오기로 보기도 한다. 하지만 여기서 ‘해 뜨는 쪽’이라는 관용구는, 코리족 시조 탄생 전설이 얽힌 바이칼호 알혼 섬이 이 지역 몽골로이드들의 주신을 모시는 중심지여서 그냥 따라붙은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솔롱고스의 메르키드 부족이 헨티 산맥의 서쪽 셀렝게 강 일대에 있든 동쪽인 훌룬부이르 초원 근하(根河) 일대에 있든 그대로 ‘해뜨는’, 즉 ‘동명(東明)’이라는 형용구가 따라붙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분명한 것은 솔론-솔롱고스의 본거지는 애초에 물이 북극해로 흘러드는 바이칼 호-셀렝게 강 일대에 주로 있었다는 점이다. 그래서 1921년 사회주의 혁명으로 교과서에 솔롱고스라고 찍어내기 전에는, 물이 태평양으로 흘러드는 훌룬부이르 호 대만주권에서는 한국을 ‘고올리’라고만 불렀지 솔롱고스라는 호칭은 전혀 몰랐다.

7월 23일에 탐사단원들은 근하에 들어섰다. 영하 40~50℃까지도 내려가 호랑이가 못 사는, 대흥안령에서 가장 추운 지역이다. 근하는 ‘껀허‘로 발음되는데, ‘껀’은 물이 ‘깊다’는 군(gu:n)이 아니라 빛이 ‘밝아오다’나 물이 ‘맑아지다’라는 뜻의 게겐(gegen)이라고, 구몽문(舊蒙文)인 내려 쓴 꼬부랑 글씨로 적힌 위구르친 비칙 현지 팻말을 보고 에르덴 바타르 교수가 지적했다. 나는 깜짝 놀랐다. ‘나르 가라크’-‘해 뜨는’이라고 하여, 솔롱고스라는 국명이나 종족명 앞에 으레 따라붙는 수식구와 동일한 내용의 이름이어서다.

나는 이미 이 지역을 동명왕이 말치기 노릇을 하다가 도망 나와 동남하해서 북부여를 세운 고리(槁離: Qori=순록)국 터로 추정해본 터여서 더욱 그랬다. 껀허의 ‘껀(根)’이 ‘동명(東明)’의 뜻을 가지리라고 이전에는 미처 꿈에도 생각할 수 없었다. 역시 바이칼 동남쪽이 원주지였던 솔롱고스 부족에 붙어내린 관용구에서 비롯된 이름일 터다. 수미야 바아타르 교수가 1990년 5월에 몽골 문화사절단 통역으로 따라와 내게 건네준 첫마디가 부이르호 남쪽 호반에 선 고올리 칸 석인상이 바로 ‘솔롱고스’ 임금인 ‘동명’ 성왕이라는 것이다. 이는 필자를 경악케 했다. 몽골 스텝엔 발도 들여놓아본 적이 없는 농경권 붙박이인 당시의 내게는 기마 양 유목민의 거리 개념이 있을 턱이 없어서다.

실로 이때까지 필자는 바이칼 동남부 셀렝게 강변의 메르키드 공주 훌란이 훌룬부이르 몽골 스텝의 하일라르 강변에서 칭기즈칸에게 헌상되고 헤름투라는 곳에서 초야를 보냈다고는 전혀 생각해본 적이 없다. 너무나도 먼 거리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런 생각이 농경적 거리 관념에만 매몰되었기 때문임을 유목 현지 답사 경력을 쌓아가며 점차로 깨달았다.

훌란 공주가 나이도 다른 아내들보다 어려 앳되고 아름다웠겠지만, 필시 고국 또는 고향의 동족이어서 칭기즈칸이 그토록 그녀를 사랑해 전장에까지 늘 함께 간 것 같다. 1990년 초에 몽골에 살면서 나는 몽골 소녀들을 많이 만났다. 그녀들은 저마다 자기가 한국 여자를 닮았느냐고 묻는다. 그래서 처음엔 대수롭지 않게 너는 많이 닮고 너는 조금 닮고 넌 아주 안 닮았다고 대답했다. 그런데 몇 번인가 그런 경험을 반복하면서 그녀들의 표정이 저마다 서로 달라지는 것을 알았다. 한국 여인을 닮았다는 게 아름답다는 말이 되는 사실을 비로소 깨달은 것이다. 훌란 공주의 전설적인 미모를 떠올렸음이리라. 많아 닮았다는 말을 들은 소녀는 나를 대하는 눈빛이 금방 달라지며 반색했다. 지금 우리가 만나온 이곳의 바르쿠족 몽골 처녀들도 그랬다.

<주채혁 : 세종대 역사학과 교수·몽골사>
 
테무진은 왜 유목전통을 잊지 말라고 했을까?
 
몽골족은 아버지보다 어머니를 더욱 존경하고 섬기는 가족전통을 가지고 있다. 그건 코리(구려=고구려)족 출신의 알랑고아가 유라시아을 경영한 위대한 테무진을 낳아서 양육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가족이 몰살직전에서 살아 남아 산전수전 다 겪고 몽골족을 대통합하고 유라시아 전역을 지배하고 자식들에게 4한국으로 땅을 분배해 준 징기즈 칸(한=간=안) 테무진(어머니 알랑고아가 코리족=고구려)은 자식들에게 말했다. "성을 쌓고 안주하면 망한다. 부디 유목민의 전통을 잊지마라."쿠빌라이는 중원을 지배하고 원나라 황제로 있으면서도 잠은 궁궐안에 만들어진 유목민천막에서 잤다고 한다. 그러나, 쿠빌라이 이후에 원나라는 내부분열로 명나라에게 망했다. 원나라의 가혹한 정치, 무능한 황실, 세금을 올렸고  여진족,한족,색목인에게 사람다운 정치를 펼치지 못하여 한족,홍건적에게 멸망된다. 즉, 원의 멸망은 원나라 황실 자체의 약화와  지나친 민족차별에 반발한 한족의 봉기가 겹친 결과라 할 수 있다.

 
 

 
원 황실 약화의 원인은 원 황실이 사치와 라마교에 지나치게 탐닉하면서 대규모 사찰의 건축과 화려한 법회 등으로 국고를 탕진하면서 심각한 제정적 타격으로 국가의 혼란을 자처했다는 것이다. 이는 곧 황실의 영향력 약화와 군비의 약화로 이어졌고 비어 가는 국고를 채우기 위한 지나친 착취는 피지배 민족들의 반발로 이어졌다. 이것은 테무진 가치관은 전혀 맞지 않는 내용으로 멸망은 당연한 결과였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고려 공민왕의 장인이 되는  바얀이라는 자는 원나라 마지막 황제 순제가 국정을 소월히 하는 틈을 타 전권을 쥐고 상식이하의 타민족 차별주의와 몽골제일주의로 나가면서 결국 한족봉기를 부추겨 원나라가 망하고 초원으로 쫓겨나게 된 것이다. 

 
 

 
당시 원나라는 유럽에서 흑사병이 도져 몽골군대가 엄청난 타격을 입고 퇴각하는 상황이여서 원나라는 한족봉기를 막아낼 군사력도 부재한 상황이기도 했다. 현재 빚더미에 오른 미국이 대북포용노선보다는 쓸데없는 패권주의를 내세워 북한을 코너와 위기로 몰 경우 결국 북한은 중국에 붙게 되는 것은 물론이요, 미국은 북한에게 얻어 터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나 다를 바가 없는 이치와 동일하다 하겠다.

 
 

 
또한  몽골인들이 중원지역에 들어와서 통치를 하다가 이문화 저문화를 접하다 보니 본래의 문화를 잃어버렸다. 그러다보니 거대한 원나라 제국은 내부분열을 일으켰고 원나라를 세운지 얼마 안되어 원나라는 다시 산산조각 수백개 나라로 다시 흩어져 버리고 만다. 아무것도 아닌 것 같지만 이게 바로 문화의 힘이다.

재물과 왕조는 결코 오래 가지 못한다고 하는데,왜 오래가지 못하나? 그건 처음에는 뜻을 세우고자 동지들로 뭉쳐 대업을 이룬 후에 고인 물이 썩듯이 정착하여 안주하게 되면 부와 권력에 눈이 멀어 서로 치고 박으며 상채기를 내면서 결국 내부분열로 망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래서 통합을 가로막는 패거리주의나 지역주의나 자주주권을 포기한 사대주의는 나라와 민족이 망하는 첩경이다. 징기즈칸 테무진은 가족들이 살아 남아야 하는 어린시절 남동생이 먹을 것을 가족과 나눠먹지 않고 혼자서 독차지하려고 하자, 화살로 동생을 쏴 죽인 일화는 너무나도 유명하다. 또한 원칙과 군율을 위반한 자는 법에 따라 엄하게 처리하고, 공로자들은 공로에 맞게 대우함으로써 공동체 조직과 통합된 몽골을 결속해 나갔다. 테무진은 몽골의 단군이지만, 결코 군림하지 않았으며, 허물없이 대화하고 부하들과 소통했으며, 타민족 출신이라도 유능한 인재들은 적재적소에 활용하여 몽골을 위해서 일하게 했다.

 
 

 

 
중요한 건 개인이든 나라이든 가치관을 부와 재물을 쌓아 두는데 보다는 부와 재물을 나누고 가난한 자들과 약자들의 복지가 실현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나눔과 섬김에 두고 찰떡처럼 뭉쳐 살도록 통치자와 지도층부터 일신 우일신하는 전통을 대대로 자식들이나 후손들에게 남겨줘야 오래가는 법이다. 징기즈칸이 자식들에게 남긴 유언의 참뜻일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 인간들은 책이나 성인들에게나 그런 소리를 듣지 정작 자신들에게는 해당되지 않는 일처럼 생각하며 탐욕을 따라 살다 죽는 자들이 허다하다.

떠돌아 사는 유목생활이든 정착하는 농경생활이든 의식(마음)이 새처럼 자유인이냐 아니면 갇힌 우물안 개구리들이냐의 차이가 아닐까 싶다.[윤복현]

태그 232

시청자 게시판

2,112개(83/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4346 2018.04.12
471 곡옥의 비밀 [1] wkscl7111 3115 2012.02.27
470 태호복희 다시보기-3가지 제안을 드립니다 [1] ilsimusi 2548 2012.02.27
469 중국 조선족자치주의 해체 위기 극복 방안 사진 localhi 3881 2012.04.23
468 구한말 갑신정변을 주도한 김옥균 선생 출생지 논쟁 localhi 3562 2012.07.02
467 아이폰 상생방송 어플 [1] jsd072 2646 2012.06.26
466 생방송 끊김현상 [1] hyopung 3318 2012.05.31
465 매킨토시 상에서는 다시보기를 할 수 없는 건가요? [1] lappiyul 2618 2012.05.15
464 상생방송 음향이 너무 작게 들려요~ [1] jss0101 2402 2012.05.05
463 또 들어와 헤매다 짜증납니다. [1] song007bs 2898 2012.05.02
462 방송보기가 너무 어렵습니다. [1] song007bs 2696 2012.05.02
461 충청문화역사연구 창간호 원고 모집 localhi 3048 2012.07.10
460 신흥종교 천명각에 대한 사료를 애타게 찾고 있습니다 localhi 3172 2012.08.04
459 질문이 있습니다. [1] pregito 2557 2012.07.19
458 부여 궁남지 연꽃향연 localhi 3127 2012.07.16
457 8.15광복 기념 특별기고 localhi 2548 2012.08.13
456 한국도 일본처럼 노벨상 수상자를 많이 배출하려면 localhi 3289 2012.10.22
455 단군팔조교(檀君八條敎)의 홍익인간 정신 localhi 2518 2014.07.13
454 모악산 산신령 고 김양순 할머니 localhi 3858 2012.10.12
453 '환단고기 역사 (북)콘써트 [1] lhwoo59 3115 2012.10.11
452 다시 볼 수 없나요? [1] tlcxpuccos 2598 2012.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