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특별기고> 매헌 윤봉길 의사 상해의거 90주년을 경축하며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2.05.04 02:34


                                         <특별기고> 매헌 윤봉길 의사 상해의거 90주년을 경축하며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국학박사, 시인, 향토사학자) 신상구

 

                                                   1. 매헌 윤봉길 의사의 생애와 업적

  2022년 임인년(壬寅年)은 매헌 윤봉길 의사가 중국 상하이 홍구공원(虹口公園)에서 일본 군인들을 향해 폭탄을 투척한지 90주년이 되는 역사적인 해이다.


                                         

                                                      매헌 윤봉길(908-1932)의사

 

  매헌(梅軒) 윤봉길(尹奉吉, 본명 尹禹儀, 1908-1932)의사는 1932년 4월 29일 오전 일제가 상하이 홍구공원에서 천장절(天長節) 과 상해 점령 전승기념 축하행사를 진행하는 도중 단상을 향해 물통 폭탄을 투척해 막대한 피해를 끼쳤다.

  총사령관인 시라카와 요시노리(白川義則)와 상해 일본거류민단장인 가와바타 사다쓰구(河端貞次)는 사망하고, 중국 공사 시게미쓰 마모루(重光 葵)는 오른쪽 다리가 부러졌으며, 제9사단장 우에다 겐키치(植田謙吉) 중장은 왼쪽 다리가 잘리었고, 제3함대 사령관인 노무라 기치사부로(野村吉三郞) 중장은 오른쪽 눈을 잃었다.

  중국 국민당 장개석(蔣介石, 1887-1975) 총통은 "중국 100만 대군도 하지 못한 일을 조선의 한 청년이 했다"고 극찬했고, 이후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지원했다.

  윤봉길 의사의 상해의거로 많은 피해를 당한 일제가 보복으로 임시정부를 밀착감시하며 혹독한 탄압을 가하자 임시정부는 상해, 항저우, 전장, 청사, 광저우, 류저우, 치장, 충칭으로 무려 4000Km를 이동하며 광복군을 창설하고 무장 항일독립운동을 전개했다.

  윤봉길 의사는 거사 직후 체포 연행되어 5월 25일 상하이 파견 일본군법회의에서 사형선고를 받은 뒤 감옥에서 온갖 고초를 겪다가 11월 일본으로 호송되어 1932년 12월 19일 이시카와현 금택형무소 교외 미쓰코치 공병작업장 내 산골짜기에서 잔혹하게 총살되어 25세를 일기로 순국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윤봉길 의사의 공적을 기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했다.

  윤봉길 의사는 1908년 충남 예산군 덕산의 파평 윤씨 문중에서 아버지 윤황(尹璜)과 어머니 김원상(金元祥) 사이의 5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0세 되던 해에 덕산보통학교에 입학했으나 다음 해에 3·1운동이 일어나자 일제 식민지 교육을 거부하고 자퇴했다.

  그 후 동생 윤성의(尹聖儀)와 함께 마을의 최병대(崔秉大) 선생에게 한학을 공부했고, 1921년 14세부터는 예산군 덕산면 둔2리 노곡 16길에 위치해 있는 오치서숙(烏峙書塾)에서 매죽헌 성삼문(成三問, 1418-1456)의 후손인 매곡(梅谷) 성주록(成周錄)에게 사서삼경과 한시를 배웠다.

            

                                        

                               예산군 덕산면 둔2리 노곡 16길에 2016년까지 남아 있던 오치서숙 전경

 

  1923년 오치서숙 시 대회에서 장원을 했고, 1928년에는 시집인 ‘오추嗚推)’ · ‘옥수(玉睡)’ · ‘임추(壬椎)’ 등을 발간했다.

  1926년 오치서숙을 졸업하고 독학으로 국사와 신학문을 공부했으며 농민 운동에 관심을 갖고 오치서숙 동창들과 야학을 개설했다.

  1927년 20세 때에 학교에 다니지 못하는 농촌 청소년들에게 한글, 역사 등을 가르치면서 수업의 교재로 '농민독본(農民讀本)' 3권을 저술했다.

  1929년 부흥원(復興院)을 설립해 인기리에 '토끼와 여우'를 공연하기도 했다.

  윤 의사는 일본 경찰의 주목을 받게 됐지만 월진회(月進會)를 조직, 이를 기반으로 농촌 자활운동을 펼쳐나갔다.

  일제의 감시가 심해지자 1930년 3월 6일 새벽 '장부출가생불환(丈夫出家生不還)'이란 비장한 출향가를 써놓고 삽교역에서 기차를 타고 중국 상하이로 망명해 백범(白凡) 김구(金九, 본명 金昌洙, 1876-1949) 선생의 지도하에 항일 독립운동을 했다.

  그리하여 윤봉길 의사는 문무를 겸비한 애국지사로 항일독립운동가, 낭만적인 시인, 농촌개혁가, 농민계몽가로 불리고 있다.

  그런데 현행 국사교과서에는 홍구공원 폭탄투척만 간단하게 기록해 놓아 아직도 많은 사람들은 윤봉길 의사를 단지 테러리스트(terrorist)로만 기억하고 있다.

  따라서 윤봉길 의사 기념사업회가 우리 한민족이 윤봉길 의사의 진면목을 잘 인식할 수 있도록 국사 교과서의 윤봉길 의사 관련 기록을 수정·보완하는 데에 사업의 최우선 순위를 둬야 할 것이다.

                                             2. 매헌 윤봉길 의사 상해의거 90주년 기념식

  매헌 윤봉길 의사 상해 의거 90주년 기념식은 4월 29일 11시에 서울 서초구 양재동 매헌 윤봉길 의사 기념관 야외광장에서 매헌윤봉길의사기념사업회 주관으로 김부겸 국무총리, 황기철 국가보훈처장, 윤주경 의원 등 각계 인사와 기념사업회 회원, 독립유공자 유족 등 300여명이 참석한 기념사와 평전 헌정, 축하공연 순으로 개최되었다.

  당초 중국 상하이 루쉰공원(훙커우 공원)에서도 동시에 기념식을 개최할 예정이었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 때문에 온라인 행사로 대체됐다.


                                      

                          4월 29일 오전 10시 충의사에서 열린 윤봉길 의사 상해의거 90주년 기념 다례행사


  윤봉길 의사가 태어난 충남 예산에서는 대한독립을 위해 청춘을 나라에 바친 윤의사의 희생정신과 애국혼을 되새길 수 있는 자리를 만들기 위해 4월 29일 오전 10시 충의사에서 예산군 주관으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양승조 충남지사, 황선봉 예산군수, 홍경화 충남서부보훈지청장 등 각계 인사와 월진회원, 시민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헌관 분향·헌작 - 축관 독축 - 헌관 재배 - 대통령 헌화 - 유족대표 분향 - 추모가 합창 - 내빈 분향 순으로 추모다례가 열렸다. 그리고 윤봉길 의사 기념사업회가 사진전시회와 학술회의, 사적지 탐방 등 다양한 기념사업을 전개했다.

  황기철 보훈처장은 "윤봉길 의사님께서 단행하신 상하이 의거는 당시 일제의 폭압에 억눌려 있던 우리 민족의 자주 독립을 향한 희망을 되살린 횃불이었다"며 "올해 의사님의 의거 90주년 기념식을 비롯한 다양한 기념행사가 우리 국민들이 그 고귀한 독립정신을 다시 한 번 되새기고 계승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필자 신상구 국학박사 약력>

  . 1950년 충북 괴산군 청천면 삼락리 63번지 출생

  . 백봉초, 청천중, 청주고, 청주대 경제학사, 충남대 교육대학원 사회교육학 석사, 국 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박사 2호

  . 향토사학자, 시인, 문학평론가, 민속학자, 칼럼니스트

  . 통일문학상, 전국 향토문화 논문공모 대상(국무총리상) 수상

  . 학술논문「태안지역 무속인들의 종이 오리기 공예에 대한 일고찰」등 118편.

  . 대표 저서 :『한국 노벨문학상 수상조건 심층탐구』(도서출판 근화, 2019)

시청자 게시판

2,112개(8/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4346 2018.04.12
1971 주역과 천부경의 대가 대산 김석진 선생 타계를 추모하며 사진 신상구 467 2023.02.19
1970 <특별기고> 운초 계연수 선생의 생애와 업적<실존인믈&g 신상구 681 2022.09.15
1969 한국전통문화대 崔英成 교수, 목은 이색 문집서 ‘天符經’ 언급 발견 사진 신상구 811 2022.09.15
1968 세종시 원로서예가 송암 민복기(松巖 閔復基) 선생 사진 신상구 998 2022.09.06
1967 가난했던 이중섭은 병문안 선물 살 돈 없어 그림 건넸죠 사진 신상구 759 2022.09.01
1966 공덕동 빌딩 숲에 숨어 있는 권력의 쓸쓸함 사진 신상구 653 2022.09.01
1965 백제 ‘은꽃 장식’에 담긴 성왕의 강국건설 의지 사진 신상구 395 2022.08.31
1964 中, 70년 유지 조선족 한글 간판 단속 사진 신상구 360 2022.08.30
1963 지진아 아인슈타인 깨운 3가지...나침판, 바이올린, 토론 사진 신상구 457 2022.08.24
1962 그림자 없는 평등 세상, 장욱진의 이상향 사진 신상구 270 2022.08.24
1961 거문도 사건 전말 사진 신상구 518 2022.08.19
1960 중부권메가시티와 충청문화르네상스 사진 신상구 311 2022.08.18
1959 무속(巫俗)의 허와 실 신상구 552 2022.08.17
1958 위대한 문학은 제도·권력·유행의 경계 밖에서 ‘눈물 닦아주는 손’ 신상구 314 2022.08.17
1957 고려인 최초 정착지에 세운 ‘추모의 벽’, 15人 독립영웅 우뚝 사진 신상구 492 2022.08.17
1956 <특별기고> 8.15광복 77주년의 역사적 의미와 주요 과제 사진 신상구 339 2022.08.17
1955 윤석열 대통령 광복절 77주년 경축사 전문 신상구 232 2022.08.16
1954 군자금 모금한 의병장 찾았다 사진 신상구 280 2022.08.13
1953 조국 독립 김국의 혼 담긴 태극기, 보물된다. 사진 신상구 274 2022.08.13
1952 고조선의 대표적인 유물 비파형동검, 중국은 왜 부정하나 사진 신상구 943 2022.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