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망명자 김옥균, 박영호의 파란만장한 굴곡진 삶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12.11 02:12

  

                                                           망명자 김옥균, 박영호의 파란만장한 굴곡진 삶



동아일보

조일수호조약 연회 기념도. 윗줄 가운데가 김옥균. 불평등 조약 이후 나라의 힘을 기르기 위해 개혁을 꿈꾸던 개화파 청년은 일본 망명 이후 청나라 이홍장과 담판을 지으려고 상하이를 찾았다가 하루 만에 암살됐다. 숭실대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아일보

박훈 서울대 동양사학과 교수


《갑신정변으로 일본에 망명한 김옥균을 일본 당국이 절해고도(絶海孤島), 오가사와라섬에 유배시킨 것은 지난 회에 살펴보았다. 여기서 약 2년간 고독, 질병과 싸우던 김옥균은 이번에는 홋카이도로 이송되었다. 일본 벽지에 그를 가둬 정치적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일본 정부의 의도였다. 김옥균이 다시 도쿄로 돌아올 수 있었던 것은 1890년 10월이었으니 4년이 넘는 유배였다.》

이홍장과 담판하려던 김옥균

도쿄로 돌아왔으나 그가 할 수 있는 일은 별로 없었다. 조선은 여전히 원세개와 민씨 일족이 장악하고 있었고, 일본은 청과 조선 정부를 의식해 계속 김옥균을 냉대했다. 일본에서 보낸 10년은 그에게는 문자 그대로 허송세월이었다. 나이도 어느덧 40대 중반이 되어 버렸다. 그를 도왔던 개화파도, 일본의 재야인사도 차츰 떨어져 나갔다. 1894년 3월 그나마 신변보호를 받을 수 있던 일본을 벗어나 사지나 다름없는 상하이로 건너간 것은 이를 돌파하기 위한 대도박이었다.

그런데 김옥균이 왜 위험을 무릅쓰고 청으로 갔는지, 그리고 암살의 진상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적잖은 의문이 남아 있다. 먼저 이경방(李經芳)과의 교류가 주목된다. 이경방은 이홍장의 양자이자 당시 청국의 주일 공사였다. 두 사람은 직접 대화와 서신을 통해 자주 접촉했다고 알려져 있다. 이경방은 본국으로 돌아간 후에도 후임 공사 왕봉조(汪鳳藻)를 통해 김옥균을 청에 초청했다. 더 이상 일본 정부에 기대를 할 수 없게 된 김옥균은 성공 가능성은 낮지만 조선을 쥐락펴락했던 이홍장을 만나 담판을 벌이려 했었던 것 같다(다보하시 기요시, ‘근대일선관계의 연구’ 하). 상하이로 가기 직전 미야자키 도텐(宮崎滔天)에게 “나도 아시아 문제는 중국의 흥망에 달려 있다고 본다. 그에 비하면 조선 문제는 작은 문제다. 이건 비밀인데 곧 상하이로 가 이홍장과 담판할 것이다”라고 한 것에서도 그의 흉중을 짐작할 수 있다.

박영효 암살 미수도 이용한 日

동아일보

김옥균은 수행하던 홍종우가 쏜 총탄 3발을 맞고 사망했다. 암살 당시의 모습을 담은 우키요에(목판화).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알려진 대로 김옥균은 상하이에 도착한 지 하루 만인 1894년 3월 28일 미국 조계에 있는 일본인 호텔 동화양행에서 수행하던 홍종우에게 암살됐다. 총 3발을 맞고 방 밖으로 뛰어나왔지만 절명했다. 그런데 이 무렵 도쿄에서는 박영효 암살 미수 사건이 일어났다. 국제적 암살단이라도 있었던 것일까. 이 두 사건에는 이일식(李逸植)이라는 조선인 무역상이 깊이 개입돼 있었다. 그는 상하이와 홍콩 등지를 오가며 거부를 모은 자였다. 갑신정변에서 민씨들을 도륙했던 김옥균이 고종과 민씨에게 불구대천의 원수라는 것은 세상 사람들이 다 아는 일이었다. 그를 죽이기만 하면 출세는 떼어 놓은 당상이었다. 야심가 이일식은 경제적으로 궁핍한 김옥균에게 접근하는 한편, 고종의 뜻이라며 홍종우를 꾀었다. 김을 죽이기에는 일본보다 상하이가 훨씬 유리했기 때문에 김이 청으로 간다고 하자 일체의 경비와 활동자금을 댈 것을 미끼로 홍종우를 동행시켰던 것이다. 김옥균은 평소 홍종우를 의심하고 있었지만 하는 수 없었다.

그런데 당시 일본에는 김옥균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개화파 인사 박영효가 있었다. 철종의 부마로 왕실의 일원이면서 갑신정변에 주역으로 참여했으니, 그에 대한 고종과 민씨들의 원한도 깊었다. 김옥균뿐 아니라 박영효의 목까지 손에 넣는다면 이일식은 그야말로 조선 정부의 영웅이 될 것이었다. 김옥균 암살 소식이 전해지면 박영효 암살은 어려워질 것이니 서둘러 암살을 시도한 것이다. 그는 조선인과 일본인 수하들을 확보한 뒤 자신의 거처로 박영효를 불러들이려 했다. 그러나 낌새를 챈 박영효가 움직이지 않자 그의 거처로 갔다가 오히려 박과 그 동지들에게 붙잡혀 구타를 당하는 신세가 되었다.

도쿄에서 열린 박영효 암살 미수사건 재판은 일본 언론의 지대한 관심 속에 두 달여간 진행되었다. 때마침 김옥균 암살과 그 시체가 조선으로 이송됐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재판정은 조선정부 규탄과 청과의 개전을 선동하는 장이 돼 버렸다. 재판 끝에 이일식은 무죄석방 되었다(김영작, ‘누가, 왜 김옥균을 죽였는가: 흑막에 가려져 온 김옥균 암살의 진상’). 재판에서는 이일식이 소지하고 있던 고종의 옥새와 밀지가 위조라는 것이 밝혀졌다. 김옥균 암살을 지령한 게 아닌가 하는 비난에 직면해 있던 조선 정부는 혐의를 벗었으니 손대지 않고 코 푸는 데 성공한 것이다.

김옥균 암살을 반긴 조선 조정

한편 조선 정부의 요청을 받은 원세개는 즉각 홍종우를 보호하라는 급전을 청 정부에 보냈다. 오가사와라 유배 시절 김옥균을 만나 상하이까지 따라온 섬 소년 와다 엔지로(和田延次郞)는 김옥균의 시체를 일본에 가져가기 위해 사방팔방으로 뛰어다녔다. 그러나 이미 원세개의 요청을 받은 상하이 당국은 김옥균의 시체를 조선 측에 넘겼다. 홍종우는 김옥균 시체를 조선행 배에 태우고 의기양양하게 귀국했다. 그 과정에서 벌어진 불법에 대해 상하이 주재 일본총영사는 침묵했다. 자기가 신임 총영사라 부임하자마자 외교적 항의를 하기가 적절치 않다는 말도 안 되는 이유에서였다.

김옥균의 죽음에 일본에서는 호외가 발행되는 등 한마디로 난리가 났다. 청과 조선이 김옥균을 죽였다며 분노를 표출했다. 이런 여론이 몇 달 뒤 청일전쟁 개전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김영작 교수는 일본 당국이 김옥균 암살범들의 동향을 상세하게 파악하고 있었던 점, 그리고 정계 거물로 암살 모의에 간여한 오미와 조베에(大三輪長兵衛)를 일본 정부가 끝까지 싸고 돈 점 등을 들어 일본 정부가 김옥균 암살을 방치, 방조했다고 주장한다(김영작, ‘누가, 왜 김옥균을 죽였는가: 흑막에 가려져 온 김옥균 암살의 진상’). 김옥균에게는 한중일 삼국 정부가 다 적이었다.

서울 주재 외교관들은 김옥균의 시체를 훼손하지 말 것을 권고했다. 그러나 다른 재주는 없어도 국왕과 민씨들의 맘을 읽는 데에는 도사이던 조정 신하들은 능지처참하라는 상소를 잇달아 올렸다. 이들은 김옥균이 인조와 영조 때 반역사건을 일으킨 이괄(李适)과 신치운(申致雲)보다 더한 대역죄를 저질렀다며 시체에 대한 추벌(追罰)을 주장했다. 왕이 이를 ‘가납(嘉納)’했다. 고종은 이를 대경사라며 종묘에 고하고 문무백관의 진하(進賀)를 받으며 특별사면을 실시했다. 갈기갈기 찢긴 김옥균의 시체를 안주 삼아 잔치를 벌이던 이때, 전봉준이 이끄는 농민군은 전주를 함락시키고 있었다.
                                                            <참고문헌>
   1. 박훈, "日 떠난 직후 암살… “망명자 김옥균에게는 한중일 모두가 敵”, 동아일보, 2021.12.10일자. A31면.


시청자 게시판

2,112개(7/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4407 2018.04.12
1991 대전 문화자본 신상구 193 2023.03.13
1990 악비, 천고에 길이 남을 忠의 화신 사진 신상구 409 2023.03.12
1989 도심융합특구 조성으로 새롭게 도약하는 대전을 기대하며 사진 신상구 373 2023.03.10
1988 초하(初河) 유성종 박사의 모범적인 삶 사진 신상구 270 2023.03.10
1987 3·1 독립정신 사진 신상구 234 2023.03.10
1986 <특별기고> 3.8민주의거 63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경과와 사진 신상구 347 2023.03.09
1985 대전 골령골 집단학살 백서 발간 사진 신상구 215 2023.03.08
1984 <특별기고> 3.1독립만세운동의 발생 배경과 경과와 영향 사진 신상구 265 2023.03.03
1983 쌀 종주국 한국의 긍지 신상구 422 2023.03.02
1982 윤석열 대통령 3.1운동 104주년 기념사 전문 신상구 245 2023.03.02
1981 천안·아산 3.1운동 공적 미서훈 독립운동가 250여 명 발굴 사진 신상구 352 2023.03.01
1980 해방 78년, 아직도 청산되지 못한 친일파 군상 신상구 425 2023.02.28
1979 사르후 전투에서 조선·명나라 연합군 10만명이 후금 3만 병력에 大敗 사진 신상구 251 2023.02.28
1978 독립운동가이자 작가인 심훈 선생, 시 영화 기사로 일제에 저항 사진 신상구 272 2023.02.27
1977 약탈 논란 문화재 ‘금동관음보살좌상’ 소유권 다툼 신상구 274 2023.02.26
1976 <특별기고> 자작나무의 특징과 한국 무속 신상구 315 2023.02.19
1975 92세에 사회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이상숙 씨 이야기 사진 신상구 235 2023.02.19
1974 조선 내각총라대신 김홍집 살해사건 사진 신상구 447 2023.02.19
1973 <특별기고> 연담 이운규 선생의 후천개벽사상과 남학의거운동 신상구 339 2023.02.19
1972 <특별기고> 2023년 정월대보름 맞이 대동 장승제 봉행을 신상구 252 2023.02.19